상권
일러두기 ⅹ
머리말1 ⅹⅰ
머리말2 ⅹⅱ
머리말3 ⅹⅲ
제1편 자학시대
제1장 서론 = 3
1. 철학의 내용 = 3
2. 철학의 방법 = 5
3. 철학에서의 논증의 중요성 = 6
4. 철학과 중국의 "의리지학" = 8
5. 중국철학의 약점과그 까닭 = 9
6. 철학의 통일성 = 12
7. 철학과 철학자 = 15
8. 역사와 철학사 = 16
9. 역사와 쓰인 역사 = 18
10. 서술식 철학사와 선록식 철학사 = 22
11. 역사는 진보적이다 = 23
12. 중국철학사 사료 선택의 기준 = 25
제2장 자학시대 통론 = 27
1. 자학시대(子學時代)의 개시 = 27
2. 자학시대 철학 발달의 원인 = 29
3. 자학시대의 종결 = 38
4. 고대 대(大)과도기 의 종결 = 41
5. 고대의 저술체재 = 42
제3장 공자 이전과 당시의 종교·철학사상 = 47
1. 귀신 = 47
2. 술수 = 53
3. 하늘 = 60
4. 일부 사람들의 개명적인 사상 = 62
5. 인간의 발견 = 64
제4장 공자와 유가의 흥기 = 79
1. 중국역사상 공사의 위치 = 82
2. 전통적 제도와 신앙에 대한 공자의 태도 = 93
3. 정명론 = 101
4. 계술을 통한 창작자로서의 공자 = 107
5. 적(直)·인(仁)·충(忠)·서(恕) = 112
6. 의(義)·리(利)와 성(性) = 124
제5장 묵자와 전기 묵가 = 129
1. 묵자에 관한 고증 = 129
2. 「경」, 「경설」, 「대취」, 「소취」 6편의 시대 = 135
3. 조직단체로서의 묵학도 = 136
4. 공리주의 의 묵자 철학 = 141
5. 무엇이 인민의 큰 이익인가? = 145
6. 겸애 = 152
7. 종교적 제재 = 160
8. 정치적 제재 = 167
9. 덧붙이는 말 = 172
제6장 맹자와 유가 중의 맹자학 = 177
1 맹자의 포부와 중국역사상 그의 위치 = 177
2. 주(周)의 제도에 대한 맹자의 태도 = 180
3. 맹자의 이상적인 정치·경제 제도 = 184
4. 성선(性善) = 196
5. 맹자의 반(反)공리주의 = 208
6. 천(天)·성(性)및 호연지기 = 210
제7장 전국시대의 "백가 학설" = 215
1 양주와 도가의 흥기 = 217
2. 진중자 = 233
3. 허행과 진상 = 234
4. 고자와 기타 인성론자 = 236
5. 윤문과 송경 = 240
6. 평몽, 전변, 신도 = 249
7. 추연과 기타 음양오행가의 언설 = 258
제8장 『노자』와 도가중의 『노자』학 = 273
1. 노담과 이이 = 273
2. 『노자』학과 장자학 = 277
3. 초나라 사람 정신 = 281
4. 도(道)·덕(德) = 283
5. 사물에 대한 관찰 = 289
6. 처세의 방법 = 294
7. 정치·사회 철학 = 298
8. 욕망과 지식에 대한 『노자』의 태도 = 301
9. 이상적인 인격과 이상적인 사회 = 304
제9장 혜시와 공손룡 및 기타 변자 = 309
1. 변자 학설의 대체적인 경향 = 309
2. 혜시와 장자 = 313
3. 「천하편」에 서술된 혜시 학설 10사 = 316
4. 혜시와 장자의 차이 = 324
5. 공손룡의 "백마론" = 327
6. 공손룡이 말한 "지(指)"의 의미 = 330
7. 공손룡의 "견백론" = 332
8. 공손룡의 "지물론" = 337
9. 공손룡의 "통변론" = 340
10. "합동이(合同異)"와 "이견백(離堅白)" = 344
11. 「천하편」에 서술된 변자 학설 21사 = 349
12. 감각과 이지 = 353
제10장 장자와 도가 중의 장자학 = 355
1. 장자와 초나라 사람 정신 = 355
2. 도(道)·덕(德)·천(天) = 358
3. 변화의 철학 = 362
4. 무엇이 행복인가? = 363
5. 자유와 평등 = 369
6. 죽음과 불사 = 378
7. 순수경험의 세계 = 383
8. 절대적 소요 = 389
9. 장자학과 양주의 비교 = 391
제11장 『묵경』과 후기 묵가 = 395
1. 전국시대 묵가의 상황 = 395
2. 『묵경』 중의 공리주의 = 398
3. 인식론 = 403
4. "논변"(論"辯") = 412
5. 『묵경』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