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입문

마르틴 하이데거
413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2.9(8)
0.5
1
2.5
5
Rate
2.9
Average Rating
(8)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하이데거가 1928~29년 겨울 학기에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강의한 내용을 수록한 강의록. 하이데거의 전집 제27권인 이 책은 "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을 던짐으로써 철학의 본질에 접근해가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하이데거에 의하면, 철학은 인간존재에서 일어나는 근본 사건이며, 철학함은 곧 인간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특히 이 책에서는 설명에 인색한 하이데거가 자신의 다른 저서에서는 볼 수 없는 중요한 개념들과 논제들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들을 수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2.9(8)
0.5
1
2.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안내 ∥ 철학 입문의 과제 제1절 인간존재는 이미 철학함을 의미한다 제2절 입문한다는 것은 철학함을 일으킨다는 의미이다 제3절 철학에 관한 앞선 이해 제4절 철학은 학문, 세계관 그리고 역사와 어떻게 관계를 맺는가? 제 1 부 ∥ 철학과 학문 제1장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5절 철학은 [하나의] 학문인가? 제6절 철학에 대한 고대와 근대의 이해 제7절 “철학”이라는 표현 제2장 학문의 본질에 대한 물음 제8절 위기에 놓인 학문의 본질에 대한 선행적 물음 1) 개인이 맺는 학문에 대한 관계에서의 위기 2) 역사적-사회적 현존재 전체에서 학문이 가진 위치와 관련된 학문의 위기 3) 학문 자체의 내적 본질구조에서의 위기 제9절 학문의 본질에 대한 새로운 성찰 1) 방법적, 체계적, 정확한 그리고 보편타당한 인식으로서의 학문 2) 학문과 진리 ― 지성의 사물에로의 일치 제10절 명제진리로서의 진리 1) 전통적 진리개념 2) 명제의 성격으로서의 진리:주어와 술어의 연결 3) 고대에서 진리 문제의 단초 제11절 주체-객체-관련의 문제. 서술적 그리고 진리적 관련 제3장 진리와 존재. 비은폐성으로서 진리의 근원적 본질에 관하여 제12절 진리의 근원적인 본질 1) 주체-객체-관련의 배후로 돌아감:……곁에 있음 2) 현존재의 실존규정으로서 ……곁에 있음 3) 사용사태연관들에서 존재자의 알림 4) 비은폐성으로서의 진리. 존재자의 개방됨의 다양한 방식들 제13절 존재양식과 개방됨. 존재자의 상이한 존재양식들 1) 함께 눈앞에 있음 ― 서로 함께 있음 2) 서로 함께 있음: 여럿이 동일한 것과 관계맺음 3) 동일성(Selbigkeit) 4) 공유되는 것(Gemeinsames)으로서 동일한 것 5) 참여권(Teilhaberschaft)이 공유되는 것인가? 6) 사물을 존재하게 함에 관하여 제14절 우리는 존재자의 비은폐성을 나눈다 1) 서로 함께 있음은 진리를 나눔이다 2) 눈앞의 것의 비은폐성 3) 진리가 현존재에 귀속함은 진리를 어떤 “주관적인 것”으로 설명하는 것은 아니다 4) 눈앞의 것 곁에 있음 그리고 서로 함께 있음은 동일근원적으로 현존재의 본질에 속한다 5) 현존재의 발견하며 있음. 발견되어 있음으로서 눈앞의 것과 손안의 것의 진리 제4장 진리 ― 현존재 ― 함께-있음 제15절 초기시대, 초기인간의 현존재에서 발견하며 있음 제16절 눈앞의 것의 발견되어 있음과 현존재의 개방됨 제17절 거기-있음으로서 현존재의 개방됨 제18절 현존재와 함께-있음 제19절 라이프니츠의 단자론과 서로 함께 있음의 해석 제20절 서로 함께함에 근거하는 공동체 제5장 진리의 본질영역과 학문의 본질 제21절 진리의 해석에 대한 요약 제22절 근원적인 진리개념에서 학문의 본질을 규정함 1) 학문은 진리의 한 양식인가? 2) 학문이전의 현존재와 학문적인 현존재 3) 학문적 진리 제23절 인간 실존의 가능적인 근본태도로서 학문. 관조하는 삶(‘테오레티코스 비오스’ ― ‘비타 콘템프라티바’) 제24절 존재자를 개방함으로서의 ‘테오레인’에서 드러나는 이론과 실천의 근원적인 공속성 제25절 학문 본질의 구성 1) 진리 때문에 진리-안에-있음[진리-내-존재] 2) 근본행위. 존재자를 존재하게 함 제26절 학문적인 기획투사에서 존재이해의 변화. 자연으로서의 존재자에 대한 새로운 규정 1) 모든 개념파악보다 존재이해가 선행함 2) 존재이해의 변화:물리학의 예 3) 학문의 실증성. 존재구성틀의 선행적, 비대상적, 영역분할적 기획투사 제6장 학문과 철학의 구별 제27절 실증성, 즉 학문의 본질을 내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존재자의 존재구성틀에 대한 기획투사. 존재론이전의 존재이해와 존재론적 존재이해 제28절 존재적 진리와 존재론적 진리. 진리와 현존재의 초월 제29절 초월함으로서의 철학함은 인간 현존재의 본질에 속한다 제30절 철학과 학문이 구별되는 물음의 영역 제31절 지금까지 논의의 요약. 현존재의 근본현사실로서의 존재이해: 존재론적 차이의 가능성. 존재론적 차이 그리고 철학과 학문의 차이 제2부 ∥ 철학과 세계관 제1장 세계관과 세계개념 제32절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1) ‘세계관’이라는 낱말 2) 세계관에 대한 해석들:딜타이 ― 야스퍼스 ― 셸러 제33절 세계란 무엇인가? 1) 고대 철학과 초기 그리스도교의 세계개념 2) 강단형이상학의 세계개념 제34절 칸트의 세계개념 1)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세계개념 2) 보론:칸트의 형이상학 정초 3) 보론:칸트의 변증론 4) 칸트의 ‘이념’ 개념 5) 현상들의 총체성에 대한 이념으로서의 세계:유한한 인간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