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엄마, 저는 꿈이 없는데요!” “걱정하지 마. 엄마가 좋은 걸로 하나 사 줄게!” 이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 “네 꿈은 뭐니”에 대한 아이의 대답은 분명 달라질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1위가 ‘공무원’인 시대, 미래의 박태환, 안철수, 반기문이 될 아이들을 위한 통 큰 동화 요즘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1위는 대통령도, 슈퍼맨도, 과학자도 아닌 ‘공무원’이다. 지독히도 현실적이다. 조금은 엉뚱하지만 진정성 가득했던 아이들의 꿈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진 걸까? 지금, 대한민국엔 미래를 위한 꿈 대신 강퍅한 현실만이 남아 있다. 팍팍한 현실 탓에 아이들은 꿈을 잃었고 어른들은 꿈을 빼앗고 있다. 아이들의 꿈은 조금 더 현실성 없고 웃기고 엉뚱해야 한다. 어른들이 원하는 꿈이 아닌 아이 스스로 택하는 꿈이어야 한다. 이 책은 미래의 박태환, 미래의 안철수, 미래의 반기문이 될 이 땅의 모든 아이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을 읽기 전과 읽은 후 “네 꿈은 뭐니”에 대한 대답은 분명 달라질 것이다. 꿈을 잃은 아이들과 꿈을 뺏는 어른들이 읽어야 할 철학 동화 “엄마 꿈은 네가 의사가 되는 거야”, “아빠는 네가 판검사가 되었으면 좋겠다”, “제 꿈은 변리사예요. 그게 뭔지 잘 모르지만 엄마가 제 꿈은 그거래요”. 아이들이 꿈을 꾸지 않는다. 마음껏 미래를 상상하지 않는다. 아이들이 눈을 반짝반짝 빛내며 자신의 꿈을 이야기할 때 그 기발한 엉뚱함에 감탄해 본 지 너무 오래되었다. 부모가 아이의 꿈을 정해 주는 시대, 어른들이 아이들의 꿈을 빼앗는 이 시대에 <나는 꿈 같은 거 없는데>는 진정한 꿈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미래’의 박태환, 안철수, 반기문이 될 아이들의 길잡이 아이들의 미래는 열려 있다. 그들의 꿈 그릇은 어른들이 상상하지 못할 만큼 크다. 아이들의 거대한 꿈 그릇을 어른들의 작은 직업관으로 채우지 말아야 한다.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미래를 상상하고 현재를 즐기며 마음껏 꿈을 꿀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박태환, 안철수, 반기문처럼 우리나라를 대표할 큰 인물로 자랄 아이의 꿈을 ‘공무원’으로 축소시켜 한정 지어 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이 책은 아이들이 보다 큰 꿈을 되찾을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디스토피아로 향하는 결말, 그러나 그것이 끝이 아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동화로는 거의 최초로 디스토피아적인 결말을 제시한다. 다소 충격적인 결말로 치닫는 과정이 비약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은 전체의 구성이 그만큼 탄탄하고 흥미진진하기 때문이다. 또한 한 번쯤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하는 열린 결말은 이 책의 주제를 오히려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디스토피아 뒤에 숨은 진짜 결말을 눈치 챈 독자들은 어쩌면 충격에 빠질지도 모른다. 네이버 인기 웹툰 작가 권혁주의 위트 넘치는 그림 네이버에서 인기리에 연재되고 있는 <움비처럼>의 작가 권혁주의 위트 넘치는 그림은 아이들에게 이 책이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해 준다. 특유의 귀엽고도 발랄한 그림체는 다소 무거울 수 있는 이야기를 경쾌하게 풀어 주는 역할을 한다. 동화 일러스트레이션으로서는 다소 파격적인 형식의 그림으로, 만화에 익숙한 우리 아이들이 부담감 없이 책을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