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서문
서문
들어가며
01 정신화의 개요
정신화하기란 무엇인가?
정신화하기와 정서적 삶
연관 개념들
정신화 초점의 임상적 합의
결론
02 정신화 모델에서 본 경계성 인격 장애
발달 모델 개관
애착의 붕괴
혼란형 애착과 자기의 와해: 이질적인 자기
타인을 조종하는 내적 작동 모델
경계성 장애에서의 정신화 실패
애착 체계의 각성과 과활성화
정신화 억제 모델에서 본 경계성 인격 장애
결론
03 경계성 인격장애를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
BPD 경과에 대한 새로운 평가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와 변화
치료로 인해 생기는 부작용의 실상
04 정신화에 기초한 치료 구조
치료 경로
초기 단계
진단에 과한 대화 시작하기
중기 단계
최종 단계
외래에서의 정신화 유지
05 정신화 능력의 평가
정신화 평가의 주요 원칙
대인관계 맥락에서 정신화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평가에 필요한 자료를 끌어내는 구조화된 장법과 비구조화된 방법
빈약한 정신화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훌륭한 정신화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평가 과정에서 드러나는 극히 빈약한 정신화 기능
전반적인 어려움과 부분적인 어려움
특정 상황에 국한된 정신화 실패에 뒤따른 느린 회복
유사-정신화
융통성 없는 이해
정신화의 오용
결론
06 대인 관계의 평가
대인 관계 패턴
왜 대인관계 패턴을 평가해야 하는가?
현재와 과거의 대인 관계
07 치료자의 자세
정신화하는 자세, 혹은 잘 모른다고 생각하는 태도
08 중재 원칙들
중재의 일반적 특징
중재의 임상적 결론
언제 어떤 중재?
기본 원칙들 - 임상 사례
09 정신화 초점과 기본적 중재
동기
멈추기와 서기 - 도전 혹은 의표 찌르기
기본적 정신화
해석적 정신화
전이의 정신화
10 정신화와 집단치료
명시적 정신화
암묵적 정신화
11 자주 하는 질문
이후 학습에 참고할 도서
부록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