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부 이미지 문화를 보는 방법들: 정영상에서 VR영상까지 1장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2장 영상언어와 커뮤니케이션 3장 하이퍼텍스트 시대 영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새로운 과제 4장 가상현실의 커뮤니케이션 양식: 상호작용성과 몰입의 상호작용 칼럼 1 2부 영화, 이념, 정치 1장 영화기호학이란 무엇인가 2장 자본주의 영화에 대한 제3세계의 도전 3장 미국 영화와 한국 영화의 문화 4장 제3공화국 이후 한국의 영화 육성책 연구 5장 한국 영화와 리얼리즘 6장 영화산업의 욕망 관리 체제: 스타 제도 칼럼 2 3부 탈현대와 디지털 영상문화 1장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후기 영상문화의 현상 2장 즐거움, 저항, 이데올로기 3장 청소년과 새로운 미디어 문화: 포스트모던 문화의 관점 4장 전자매체와 청소년 문화: 전자게임의 경우 5장 정보 격차와 세대 차이 칼럼 3 4부 새로운 영상예술과 시대 전망 1장 진보와 아방가르드의 붕괴, 그리고 새로운 시간성의 가치: 레지스 드브레에게 듣는다 2장 디지털 영상예술, 해독과 해석의 체험에서 감각과 놀이적 체험으로: 앤드루 달리에게 듣는다 3장 재현예술의 대안으로서 시뮬레이션 예술의 가능성 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