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

매릴린 케이건 and other
29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0(7)
0.5
3
5
Rate
3.0
Average Rating
(7)
Comment
More

“왜 사람들은 내 진심을 몰라줄까?” 방어기제 뒤에 숨은 ‘진짜 마음’을 찾아 더 행복해지기. 방어기제는 상황에 따라 우리에게 필요하고 자연스러운 심리적 반응이지만, 반복해서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의지할 경우에는 삶을 제한하고 행복을 훼방놓는다는 것을 다양한 상담사례와 연구결과를 통해 알려준다.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를 알아내기 위한 목록, 방어기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습도구, 방어기제에서 벗어나 지금은 행복하고 만족스럽게 살아가는 사람들의 꾸밈없는 고백도 방어기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0(7)
0.5
3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Introduction 무엇이 내 행복을 훼방놓는가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1 부정_ “난 괜찮아, 우린 괜찮아, 모든 게 괜찮아” 이것이 ‘부정’이다! 부정이 도움이 될 때도 있다 직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술로 해결한 톰 자신이 원하는 것과 현실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은 다나 이럴 때 당신은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부정’에서 벗어나면 Punch! | FINE으로 부정을 억제하라! 자기 이야기 하기 | 라이언 시크레스트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2 투사_ “내가 끔찍한 게 아니야. 당신이 그래!” 이것이 ‘투사’다! ‘감정 차트’와 ‘결점 찾기’로 관계를 회복한 신디와 잭 엄격한 감독에게서 자신의 본모습을 발견한 아트 이럴 때 당신은 ‘투사’라는 무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투사에서 벗어나면 Punch! | 투사와 싸워 이겨라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3 합리화_ “그건 나한테 그렇게 중요하지 않아” 이것이 ‘합리화’다! 합리화의 잘못된 사용으로 아버지와 멀어진 오스틴 이 경우, 당신은 ‘합리화’를 사용하는 것이다! 합리화에서 벗어나면 Punch! | 합리화의 순간을 포착하라 자기 이야기 하기 | 조 크러미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4 지성화_ “슬프고 두려운 감정을 억누르고 이론적·논리적으로 생각해!” 이것이 ‘지성화’다! 지성화를 이용해 자신을 고립시킨 수전 감정에서 도망치다 위기를 맞은 마커스 지성화의 또 다른 모습 이런 경우 당신은 ‘지성화’를 사용하는 것이다 ‘지성화’에서 벗어나면 Punch! | 머리에서 마음으로 자기 이야기 하기 | 워런 벨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5 유머_ “분위기가 불편하거나 어색해? 그럴 땐 사람들을 웃게 만들어!” 이것이 ‘웃음’이다! ‘코미디의 왕’ 역할에 빠진 브래드 잘못 사용한 유머로 중요한 것을 잃을 뻔한 바비 다음에 해당된다면 당신은 ‘유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유머’에서 벗어나면 Punch! | 역할놀이는 이제 그만! 자기 이야기 하기 | 메리 린 라이스컵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6 전치_ “A 때문에 불쾌한 이 기분을 무엇에, 누구에게 풀지?” 이것이 ‘전치’다! 관찰하지 않는 삶 교수에게 혼나고 남자 친구에게 화풀이한 클로에 당신은 아직도 ‘전치’를 사용하고 있다! ‘전치’에서 벗어나면 Punch! | 리허설,리허설, 리허설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7 승화_ “편치 않은 욕구나 감정을 남들이 인정할 만한 활동에 쏟아부어!” 승화로부터 받는 영감 이것이 ‘승화’다! 도가 지나친 승화로 무너지고 만 샬럿 안절부절못하는 충동과 승화 ‘승화’에서 벗어나면 Punch! | 나는 어떤 사람일까? 자기 이야기 하기 | 패트릭 뎀시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8 지연행동_ “지금 당장 하지 않아도 돼~” 이것이 ‘지연행동’이다! 완벽함을 추구하다 ‘능력이 부족한 어린아이’로 머문 레니 두려움 외에는 두려워할 것이 없다 ‘지연행동’에서 벗어나면 Punch! | 자신의 두려움을 직면하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9 이타주의_ “내 존재의 의미는 남을 위해 살아가는 데 있어” 이것이 ‘이타주의’다! 이타주의의 이면, ‘이타적 양도’ 다음과 같다면 당신은 ‘이타주의’에 빠져 있는 것이다! ‘이타주의’에서 벗어나려면 Punch! | 내면의 ‘멍청이’를 모니터하라 자기 이야기 하기 | 웬디 조 스퍼버의 이야기 본심을 가리는 마음의 보호자 10 소극적 공격성_ “A가 방심하고 있을 때 미소를 지으며 분노를 터트려!” 소극적 공격성의 의미 이것이 ‘소극적 공격성’이다! 여자 친구에 대한 불안감과 자기혐오를 소극적 공격으로 드러낸 남자 소극적 공격성으로 동생과의 사이에 벽을 만든 패티 다음과 같다면, 당신은 ‘소극적 공격성’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소극적 공격성’에서 벗어나면 Punch! | 화와 편안하게 공존하기 위한 3단계 접근법

Description

무엇이 내 행복을 훼방놓는가?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상황에 맞닥뜨리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성취도 하고, 인간관계도 넓어지며, 가정도 원만하게 굴러간다. 그런데 이렇듯 아무런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왠지 마음 한쪽이 허전하고, 삶이 정체된 것만 같고, 또 뭔가 부족한 것만 같을 때가 있다. 심지어 “나는 행복하지 않아”라는 말이 불쑥 튀어나오기도 한다. 마치 내 행복을 무언가가 자꾸 휘저어놓는 것만 같다. 왜일까? 자꾸만 뭔가를 갈망하는 이유는 뭘까? 욕심이 많아서일까? 아니면 지금의 삶이 나에게 맞지 않아서일까? ‘나도 모르는 사이에’ 내 마음에서 벌어진 일들 우리가 생각하기에 우리는 최선을 다해 살고 있다. 일할 때는 완벽하게 해내려고 노력하고,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진심으로 배려하고 친절하게 대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누구든 나처럼만 살면 세상은 참 평화로울 것이라는 생각까지 든다. 하지만 진실은 다르다. 우리 스스로 생각하는 것만큼 자기 자신은 진실되지도, 남에게 그리 친절하지도 않다. 이는 ‘방어기제’에 의해 본심(진짜 마음)이 가려진 반쪽짜리 마음으로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행복을 온전히 느끼지 못하는 진짜 이유다. 방어기제는 자아가 위협받거나 상처받을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보호하는 심리적 행위다. 방어기제가 있어서 우리는 느끼기 싫어하는 감정을 외면할 수 있고, 불편한 감정이나 생각을 느끼지 않으며 살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말하는 진심 내가 모르는 본심》에 의하면, 방어기제가 우리에게 도움만 주는 것은 아니다. 방어기제가 문제 상황을 모면하는 데는 도움을 주지만, 과도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 자신의 진짜 감정과 생각을 외면하는 것을 넘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자꾸 피하게 된다. 그 결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일에서, 사랑에서 번번이 어려움을 겪고 성취감?만족감?마음의 평화를 충분히 느끼지 못하게 만든다. 한 마디로, 방어기제는 마음을 보호한다는 미명하에 온전한 삶을 제한하고 행복을 가로막는다. 문제는 이러한 방어기제의 움직임을 우리 스스로가 눈치 채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짜 진심’을 진짜 마음으로 오해하고, 방어기제 때문에 생긴 문제를 또 다른 방어기제로 외면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어떤 방어기제가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로 인해 생긴 문제들엔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하면 자신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방어기제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생각하지도 않고 있다. 방어기제의 영향을 오랫동안 받아온 사람들의 행동 특징 ·문제 없이 평탄하게 살면서도 ‘내 문제는 뭘까?’를 항상 고민한다. ·더 많은 돈, 더 큰 집, 더 호화로운 휴가, 더 평화로운 가정을 꿈꾼다. ·인생이 비교적 평탄한데도 의욕이 없고 공허함을 느낀다. ·결정적인 순간, 일도 사랑도 관계도 자꾸 어긋나고 만족스럽지 못하다. ·목표 달성을 해도 성취감이나 만족감을 느끼지 못한다. ·‘내 삶은 완벽하지 않고, 행복하지도 않아’라고 자주 느낀다. 방어기제로 인한 문제가 이처럼 심각하다면, 살면서 만족감과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면 매릴린 케이건과 닐 아인번드의 충고에 따라 방어기제의 올바른 사용법을 익힐 필요가 있다. 방어기제 뒤에 숨은 ‘진짜 마음’을 되찾아 더 행복해지기 무수한 방어기제들 중에서 매릴린 케이건과 닐 아인번드가 ‘행복과 삶의 발전을 훼방놓는 방어기제’로 꼽은 것은 10가지다. 각 방어기제와 관련된 사례를 읽고 치유 레시피를 실천하면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통해 자신을 들여다보고, 방어기제가 생겨난 계기를 알고, 삶에서 더 큰 만족감을 얻을 만한 방법을 찾게 되어 그만큼 자신의 본심에 다가갈 수 있다. 아울러 다른 사람들을 향한 관대한 마음이 자라고, 자신에게 더 친절해지고, 자신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정 ·의미 : 불안감을 줄이고자 명백한 사실을 외면하는 전술로, 가장 원초적인 방어기제 ·극복법 : ‘F-I-N-E’ 연습으로 부정을 억제한다. 투사 ·의미 : 받아들일 수 없거나 충격적이거나 당황스러운 생각, 기분, 충동 등의 불안감을 덜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탓으로 돌리는 것 ·극복법 : 자신의 결점을 찾고, 긍정적인 혼잣말로 자신의 부정적 특성을 재구성한다. 합리화 ·의미 : 참을 수 없는 상황에서 느낀 실망감, 분노, 상처받은 기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난해하고도 논리적으로 보이는 변명’으로 덮는 것 ·극복법 : ‘L-I-E’ 연습을 통해 합리화의 순간을 포착, 합리화를 몰아낸다. 지성화 ·의미 : 고통스럽고 불편한 사건이나 생각과 관련 있는 감정들을 해명, 없애버리기 위해 단어?정의?이론적 개념 등을 이용하는 것. 즉 가슴으로 느껴야 할 것을 머리로 해결하는 것 ·극복법 : ‘B-R-A-I-N’ 연습을 통해 머리에서 마음으로 들어간다. 유머 ·의미 : 곤란한 상황에서 빠져나오거나, 특정 상황에서 괴롭거나 불편한 기분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웃음과 농담, 풍자와 아이러니를 이용하는 것 ·극복법 : 남을 웃기고 상황을 즐겁게 하는 역할에서 벗어난다. 전치 ·의미 : 놀랍거나 굴욕적이거나 불쾌한 기분과 충동을 좀 덜 위협적으로 보이는 사람이나 사물에게 돌리는 것 ·극복법 : 자신의 삶을 관찰하고, 전치를 사용할 만한 상황을 대본으로 만들어 연습한다. 승화 ·의미 : 자신 혹은 사회구성원 대부분이 받아들이기 힘든 생각이나 기분을 용인할 수 있는 행동으로 바꾸는 것 ·극복법 : 자신이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인식한다. 지연행동 ·의미 :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내면의 고민을 피하기 위해서 시작하거나 완료해야 할 일 혹은 행동을 미루는 것 ·극복법 : 할 일을 미루게 하는 마음속 두려움과 직면한다. 이타주의 ·의미 : 자신의 욕망과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회피하기 위해 시간이든 돈이든 에너지든 자신의 것을 남에게 헌신적으로 바치는 것 ·극복법 : 내면의 ‘멍청이’를 모니터하고 자신의 이타성을 점검한다. 소극적 공격성 ·의미 : 분한 마음이나 적대감, 상처받은 기분을 그것과 관련 없는 상황에서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극복법 : ‘깨어 있기’ 연습을 하고, 가족관계에서 소극적 공격성의 근원을 밝혀 화와 편안하게 공존한다. 사람마다 변화의 속도와 시간표가 다르고 방어기제의 영향력을 줄이는 것은 분명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조금만 노력한다면 삶은 더욱 활기차고 생기 있어지리라. 그리고 진정 마음과 영혼을 다해 살아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