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1부 상처와 고난에서 자긍심을 싹틔우다: 김순애의 반은 좋고 반은 안 좋았던 삶 원가족 아버지, 술만 춰가지고 오면 뚜드려 패고│잘 좀 살지 왜 다들 이혼하냐구요 서울 식모살이와 공장 생활 시집살이의 고됨과 부부생활 쌀 많은 집이 부러웠는데 말이 씨가 돼서│남편의 외도를 계기로 경제적 자립을 하다│싫지만 남편에 대한 포기는 안 되고│부부간에 엎치락뒤치락하는 성생활│아들이 두부랑 축사 받아서 하고 삶을 바꾼 여성농민회 활동 농민회 안 했으면 이렇게 강단 있겠어요?│못 배운 서러움과 울화│쉬다보면 길이 또 나온다고│현재의 농사, 퇴임 후의 계획│학교와 교회에 대한 양가감정 운동과 죽음에 대한 성찰 아직 풀리지 않는 모녀관계 후기_진심과 열정이 상처로 주저앉지 않기 위하여 2부 가난이 씨 뿌린 예민한 삶과 농촌에서 일군 보람의 나날들: 정금순이 말하는 생애 원가족에 대한 애환 순종 요물로만 자랐어요│부모가 사랑 줬는데도 형제간 우애롭지 않아│1970년대, 광주 여고 시절 첫 결혼 그리고 이혼 세신노동, 골병과 당당함 농부와 재혼하며 시작된 나주 생활 농을 병행하며 대농을 꾸리다│나락 농사 하는 과정│청각장애 신랑이 이장을 열심히 하고 농민회와 부녀회 활동, 고생과 재미 새엄마, 새 가족 되기 ‘할머니, 왜 이모하고 엄마하고 성이 틀려요?’│성질 급한 남편하고 함께 살기 농민수당이 좌우할 농촌의 미래 내가 겪은 광주항쟁 후기_시행착오는 제대로 직면하면 힘의 원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