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

Im Sol-ah · Novel
32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6(79)
Rate
3.6
Average Rating
(79)
나와 다른 타인들로 이루어진 세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잃지 않고 살아가려는 이들의 뜨거운 움직임을 그려온 작가 임솔아의 두번째 장편소설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가 출간되었다. 한 가출 청소년이 겪어낸 가장 냉혹하고 잔인한 성장의 경로를 가감 없이 따라가는 첫 장편 『최선의 삶』 이후 8년 만에 선보이는 긴 이야기이다. 『최선의 삶』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을 것 같던 십대 시절의 악몽을 맹렬히 복기하던 임솔아의 인물들은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에 이르러 각자의 내밀한 상처를 통과해 슬픔 이후에 마련된 삶을 살아나가는 법을 터득한다. 소설은 서로 다른 인생을 살아온 네 여자의 삶을 어린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좇아나간다. 각자의 이유로 남들과는 조금 다르다고 여겨지던 그들은 원하는 무리에 속하기 위해, 소중한 존재와 함께 있기 위해 자기 자신을 버려본 적이 있다. 자신을 잃는 방식으로만 맺을 수 있는 관계는 필연적으로 깨어진다는 것을, 그들은 각양각색의 절절한 이별을 겪으며 몸소 체험한다. 소설 속 인물들이 애인에게, 친구에게, 부모에게, 복잡하고도 아름다운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느끼는 애틋하고 먹먹한 감정을 임솔아는 그 어느 때보다 섬세하게 묘파한다. 그 결과 이 소설에서는 얼음처럼 차가운 이별의 순간마저도 보이지 않는 격정들로 달궈진 듯 홧홧하게 감지된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6(79)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0+

Table of Contents

I. 종일 옷을 지킨 적이 있다 _007 II. 관찰의 끝 _085 III. 화롯불 속의 알밤 _171 IV.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 _247 작가의 말 _324

Description

임솔아는 중간 색조의 작가다. 너무 환하지도 어두컴컴하지도 않으면서 조용히 빛나는 회색을 잘 쓰는 작가다. _이미상(소설가) 지독한 결핍과 오해에 시달리며 자신을 감춰온 인물들이 마침내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라고 말할 때, 내밀한 고통의 순간들은 근사한 예술이 된다. _강지희(문학평론가) 2022 젊은작가상 대상 수상작가 임솔아의 얼음처럼 뜨거운 이별 이야기 나와 다른 타인들로 이루어진 세상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잃지 않고 살아가려는 이들의 뜨거운 움직임을 그려온 작가 임솔아의 두번째 장편소설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가 출간되었다. 한 가출 청소년이 겪어낸 가장 냉혹하고 잔인한 성장의 경로를 가감 없이 따라가는 첫 장편 『최선의 삶』 이후 8년 만에 선보이는 긴 이야기이다. 『최선의 삶』에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을 것 같던 십대 시절의 악몽을 맹렬히 복기하던 임솔아의 인물들은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에 이르러 각자의 내밀한 상처를 통과해 슬픔 이후에 마련된 삶을 살아나가는 법을 터득한다. 소설은 서로 다른 인생을 살아온 네 여자의 삶을 어린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좇아나간다. 각자의 이유로 남들과는 조금 다르다고 여겨지던 그들은 원하는 무리에 속하기 위해, 소중한 존재와 함께 있기 위해 자기 자신을 버려본 적이 있다. 자신을 잃는 방식으로만 맺을 수 있는 관계는 필연적으로 깨어진다는 것을, 그들은 각양각색의 절절한 이별을 겪으며 몸소 체험한다. 소설 속 인물들이 애인에게, 친구에게, 부모에게, 복잡하고도 아름다운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느끼는 애틋하고 먹먹한 감정을 임솔아는 그 어느 때보다 섬세하게 묘파한다. 그 결과 이 소설에서는 얼음처럼 차가운 이별의 순간마저도 보이지 않는 격정들로 달궈진 듯 홧홧하게 감지된다. 외부 세계에 받아들여지기 위해 자기 자신을 지워야 했다는 공통점은 네 인물을 제도권 밖에서 소수자로서 분투하는 예술가를 위한 그룹 전시에 참여하도록 이끈다. 별다른 접점이 없던 네 사람이 각자의 삶을 고유한 예술작품으로 만들어내며 교류하는 동안, 그들은 상처받지 않으면서도 서로와 다정한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었음을 확인한다. 지난 이별을 거치며 타인과 함께인 동시에 자기 자신으로 있을 수 있는 알맞은 거리를 스스로 찾아내었음을. 이 조용히 빛나는 깨달음의 순간에 이르기 위해 아픈 시간을 지나왔는지도 모른다는 인생의 비의가 각자의 깊은 상처를 근사한 기억으로 완결시킨다. 있는 그대로의 자신이 되기 위한 노력은 상처를 남기고 상처는 모여서 예술이 된다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보이지 않는 선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는 임솔아는 세상의 다양한 경계에 걸쳐 있는 인물들을 작품 속으로 불러모은다. 이번 소설의 주인공은 눈에 띄지 않고 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 장애를 지닌 ‘화영’, 가짜 정체성을 연기하며 지내오다가 진정한 사랑을 찾은 퀴어 ‘우주’, 부당한 일들에 맞서 싸우며 역설적으로 약자가 되어가는 노동자 ‘보라’, 남다른 창의성과 공감 능력을 억누르고 사회가 원하는 모범생으로 살다가 예술에 눈뜬 ‘정수’다. 소설은 네 사람의 일생이 각각 하나의 부를 이루는 구성을 취하며 지금 한국문학장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들을 인물의 삶을 통해 다뤄나간다. 1부: 종일 옷을 지킨 적이 있다 ― 화영의 이야기 한쪽 귀의 청력을 잃은 화영은 다른 한쪽 귀의 청력을 유지중이므로 장애 등급 기준에 따르면 장애를 인정받을 수 없다.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지만 장애인은 아닌 화영은 내내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다는 불안감을 느껴왔다. 예술계에서 비주류인 미술 이론을 전공한 후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황 또한 화영의 불안을 가중시킨다. 어느 날, 화영은 청년 예술가 석현이 기획한 그룹 전시에 비평가로서 참여해달라는 제안을 받는다. 한쪽 팔목을 절단했지만 그러한 신체에 제약받지 않고 원하는 만큼 예술 활동을 해내려는 석현의 열정에 감화된 화영은 석현과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석현의 장애가 이끌어냈을 그 열정이 화영조차 배려하지 않는 이기심으로 변질되는 순간들이 누적되자, 화영은 장애를 지닌 두 사람의 관계가 비장애인들의 관계와는 다르리라 기대했던 자신의 진심을 마주하게 된다. 무엇을 기대했던 걸까. 어째서 석현은 다르다고 여겨왔을까. 어째서 자신은 다를 수 있다고 여겨왔을까. 손 하나가 없는 사람과 귀 한쪽이 안 들리는 사람의 사랑은 다른 사람들과는 다를 거라고, 마땅히 그럴 거라고 여겼던 걸까. 석현을 사랑하게 된 것도 귀 때문일까. 한쪽 귀가 잘 들렸다면 어땠을까. 그래도 석현을 사랑하게 되었을까.(77쪽) 2부: 관찰의 끝 ― 우주의 이야기 우주는 어렸을 적 자신이 동성인 여자 친구들과는 다르다는 점을 깨닫고 친구들 무리에 끼기 위해 본모습을 감춰왔다. 동성 친구들의 습성을 관찰하고 모방하느라 언제나 긴장되어 있던 우주의 일상은 고등학교 진학 후 선미를 만나며 변화를 맞는다. 선미와 연애를 시작하고, 선미의 작은 방에서 함께 지내며 우주는 자기 자신으로 사는 시간을 누린다. 반면 선미는 우주와 함께하는 삶에 만족하지 못한다. 번듯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누리고 싶다는 선미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우주는 최선을 다한다. 하지만 선미가 원하는 대로 대학에 가고 취직을 하고 차를 구입해도, 생물학적 여성인 우주는 선미에게 안정감을 줄 수 없는 운명이다. 서로를 연인이라 칭할 수 없는 관계를 어떻게든 이어가기 위해, 우주는 선미가 살고 싶어할 집의 모습을 상상해 미니어처로 제작하여 석현이 기획한 전시에 출품하고 선미를 그 전시에 초대한다. “애인이라고 말하고 싶어.” 선미는 우주를 빤히 바라보았다. “애인?” 이상하다는 듯 선미가 고개를 갸우뚱했다. “나는 네 애인이 아니잖아.” (…) “그럼 뭔데?” 선미가 손끝으로 미간을 긁적였다. “없어. 우리를 가리키는 단어는.”(158~159쪽) 3부: 화롯불 속의 알밤 ― 보라의 이야기 보라는 사이가 나쁜 부모 밑에서 눈치를 보며 자랐다. 엄마는 아빠가 보라를 유독 예뻐한다는 점을 이용해 부부싸움을 할 때 보라에게 아빠를 껴안고 있으라고 했다. 보라는 늘 엄마를 위해 아빠를 껴안았지만, 엄마는 이혼할 때 아빠와 더 친밀하다는 이유로 보라를 버렸다. 분노에 휩싸인 보라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더욱 적극적으로 쟁취해야 했다고 자책하고, 부당한 일들에 온몸으로 맞서 싸우기 시작한다. 성인이 되어 얻은 일자리에서 보라는 치졸한 선임에게 물드는 대신 그에게 저항하며 후임을 위하는 좋은 사람으로 남으려 애쓴다. 그러나 그런 보라의 노력을 눈여겨보는 사람은 없다. 허망함을 느끼며 직장을 떠난 보라는 남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하는 담배 회사의 불법 판촉에 동원되는 ‘여성 특수 요원’으로, 국내 영업이 금지된 타투이스트로 직업을 바꾸며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삶을 살게 된다. 어느덧 보라의 싸움은 옳은 일을 하기 위한 투쟁이 아니라 생계를 지탱하기 위한 지난한 노력이 되어 있다. 보라는 자신의 타투와 그것을 새긴 사람의 눈동자를 사진으로 남겨 전시에 출품한다. 끌어안지 말고 맞서 싸웠어야 했다. 다 내다버릴 것처럼. 보라는 몸을 감싸고 있던 두 팔을 풀었다. 어항이 깨졌다. 물이 바닥으로 쏟아졌다. 물을 밟으며 보라는 걸어갔다. 두 눈을 똑바로 뜨고서.(190쪽) 4부: 나는 지금도 거기 있어 ― 정수의 이야기 정수는 뛰어난 공감 능력과 남다른 표현력의 소유자이지만, 어린 시절 정수의 창의성은 유별난 것, 정답이 아닌 것으로 취급받았다. 성장하면서 정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대로 행동하고 정해진 답을 맞히는 모범생이 된다. 그런 정수가 정답을

Collections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