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정치적 개념
제1장 정치적 개념
제2장 이론적 접근법
제3장 연구전략
제2부 국가와 정치체제
제4장 국가
제5장 민주주의
제6장 권위주의 통치체제
제3부 정치동원
제7장 정치문화
제8장 정치커뮤니케이션
제9장 정치참여
제10장 선거와 유권자
제11장 정당
제12장 이익집단
제4부 정부와 거버넌스
제13장 헌법과 법
제14장 다층 거버넌스
제15장 입법부
제16장 정치적 행정부
제17장 공공관리
제5부 공공정책
제18장 정책과정
제19장 정치경제
<전체 목차>
제1부 정치적 개념
제1장 정치적 개념
정치란 무엇인가?
정부 또는 거버넌스?
정부의 분류
권력
권위와 정통성
국가와 주권
민족과 민족주의
이데올로기
좌파와 우파
학습자료
제2장 이론적 접근법
제도주의 접근법
행태주의 접근법
구조주의 접근법
합리적 선택 접근법
해석주의 접근법
결론
학습자료
제3장 연구전략
사례연구
비교연구
질적 비교
양적 분석
역사 분석
학습자료
제2부 국가와 정치체제
제4장 국가
부상, 팽창과 재조정
안보와 감시
탈식민 국가
붕괴된 국가와 국가 건설
국가를 넘어서
학습자료
제5장 민주주의
직접민주주의
심의민주주의
대의민주주의
자유민주주의와 비자유민주주의
민주화의 물결
학습자료
제6장 권위주의 통치체제
권위주의 통치체제의 본질
개인독재자
군주
정당
대통령
군부
종교지도자
학습자료
제3부 정치동원
제7장 정치문화
정치문화에 대한 연구
정치적 신뢰와 사회자본
세대분석과 탈물질주의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정치문화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정치문화
엘리트 정치문화
문명의 충돌?
학습자료
제8장 정치커뮤니케이션
대중매체의 발달
미디어의 구조
미디어의 영향
여론
권위주의 국가의 미디어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미디어
학습자료
제9장 정치참여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참여
사회 운동
정치적 폭력에의 참여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참여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참여
학습자료
제10장 선거와 유권자
선거의 범위와 참정권
의회선거
대통령선거
국민투표, 발의, 소환
투표율
투표행태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선거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선거
학습자료
제11장 정당
정당의 조직과 당원
후보자 및 지도자의 선출
정당의 자금
사회적 기반의 약화
정당체제
권위주의 국가의 정당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정당
학습자료
제12장 이익집단
이익집단의 분류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이익집단
영향력의 통로
영향력의 조건
권위주의 국가의 이익집단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이익집단
학습자료
제4부 정부와 거버넌스
제13장 헌법과 법
헌법
위헌심사와 헌법재판소
사법적극주의
사법부의 독립과 충원
행정법
권위주의 국가의 법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법
법적 다원주의
학습자료
제14장 다층 거버넌스
다층 거버넌스의 소개
연방주의
유럽연합:특별 사례
단일국가
지역 거버넌스
지방 정부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중앙지방 관계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중앙지방 관계
학습자료
제15장 입법부
구조
기능
위원회
구성원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입법부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입법부
학습자료
제16장 정치적 행정부
대통령제 정부
의원내각제 정부
준 대통령제 정부
유럽연합의 행정부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행정부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행정부
학습자료
제17장 공공관리
발달
충원
조직
책무
신공공관리
권위주의 국가의 공공관리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공공관리
학습자료
제5부 공공정책
제18장 정책과정
정책결정의 모델
정책과정의 단계
정책도구
규제
권위주의 국가에서의 공공정책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공공정책
학습자료
제19장 정치경제
이론적 기초
자본주의의 종류
수렴?
권위주의 국가의 정치경제
비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정치경제
학습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