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1장. 길을 헤매기 위한 길잡이
: 좀비 영화에서 죽지 않고 사는 법
‧ 복작복작 모여들어 (다른 사람 말은 듣지 않고) 웅성웅성 떠들어대는 사회
‧ 현대인은 자기 혼자 판단하고 결정한다
‧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평온하다
‧ 우리는 좀비 영화에서 일찍 죽는 사람처럼 살고 있다
‧ 현대인은 즉각적이고 단편적인 자극에 둘러싸여 있다
‧ 수수께끼를 수수께끼인 채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
‧ ‘후련함’과 ‘답답함’을 구별해서 쓴다
‧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
‧ 자신을 의심한다는 ‘모험’
[칼럼] 대중사회이론과 미디어이론 그리고 대상관계이론
2장. 스스로 생각하지 않기 위한 철학
: 천재들의 문제 해결 방식을 토대로 생각하는 힘
‧ 철학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일까?
‧ 철학자도 넷플릭스를 보고 닥터마틴을 신는다
‧ 스스로 생각하면 아웃풋이 평범하다
‧ 자기 힘보다는 신중함이 중요하다
‧ 숲을 걷는 방법을 배우듯 생각하는 기술을 배운다
‧ 일문일답으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
‧ 지식과 상상력이라는 두 개의 바퀴
‧ 2,500년간의 문제 해결 능력을 내 것으로
‧ 섣부르게 이해하려고 하면 안 되는 이유
‧ 철학을 배울 때 흔히 하는 두 가지 실수
‧ 언런(탈학습)하기 전에 런(학습)하자
‧ 센스메이킹에도 지식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은 상상력의 레퍼토리가 넓다는 것
‧ 내 안에 다양한 사람을 살게 한다
‧ 철학을 탐험할 때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칼럼]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3장. 연결되는 동안 잃어버린 ‘고독’
: 스마트폰 시대의 철학
‧ 스마트폰이 바꿔버린 우리 사회
‧ ‘상시 접속 사회’에서 잊힌 감각
‧ ‘고독’의 상실 – 반사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산만해진 사람들
‧ 관심경제와 스마트폰이 집중을 빼앗는다
‧ ‘고독’의 상실 – 자기 자신과 함께하지 못하는 사람들
‧ ‘고립’ 속에서 ‘고독’해질 수 있다 – 한나 아렌트의 철학
‧ ‘고독’과 ‘외로움’은 어디로 갔는가
‧ 제대로 상처받기 위한 고독
‧ 감정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 기쁠 때도 고독은 필요하다
‧ 빈 시간을 또 다른 멀티태스킹으로 채우는 사람들
‧ 스마트폰은 감정 이해를 더디게 만든다
‧ 감각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 <용쟁호투>의 교훈, 첫 번째
‧ “생각하지 말고 느껴!”의 진정한 의미 - <용쟁호투>의 교훈, 두 번째
‧ 손끝에 시선을 빼앗기지 말라 - <용쟁호투>의 교훈, 세 번째
[칼럼] 고독과 고립의 가치 되찾기
4장. 고독과 취미를 만드는 방법
: 소극적 수용력이 불러오는 대화
‧ 소외될까 불안한 사람들
‧ 감정은 인스턴트처럼 간편하지 않다
‧ 외로움에 휘둘리는 우리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첫 번째
‧ 외로움에 대처하는 방법, 취미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두 번째
‧ 내 안에는 여러 사람이 존재한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세 번째
‧ 취미는 고독을 불러온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네 번째
‧ 취미는 수수께끼와의 대화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다섯 번째
‧ ‘글로 쓰인 나’와 ‘다시 쓰는 나’의 대화
‧ 무언가를 만들 때 시작되는 자기대화
‧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몇 번이고 다시 만들기
‧ ‘불확실함’을 끌어안는 능력
‧ 시대를 초월한 소극적 수용력
‧ 불확실함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
‧ 자신을 의심하는 자세, 소극적 수용력
‧ 철학에 대한 탐구는 소극적 수용력을 기르는 일
‧ 고독 속에서 불확실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