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장. 길을 헤매기 위한 길잡이 : 좀비 영화에서 죽지 않고 사는 법 ‧ 복작복작 모여들어 (다른 사람 말은 듣지 않고) 웅성웅성 떠들어대는 사회 ‧ 현대인은 자기 혼자 판단하고 결정한다 ‧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사람일수록 평온하다 ‧ 우리는 좀비 영화에서 일찍 죽는 사람처럼 살고 있다 ‧ 현대인은 즉각적이고 단편적인 자극에 둘러싸여 있다 ‧ 수수께끼를 수수께끼인 채로 남겨둘 필요가 있다 ‧ ‘후련함’과 ‘답답함’을 구별해서 쓴다 ‧ 앞으로 우리가 가야 할 길 ‧ 자신을 의심한다는 ‘모험’ [칼럼] 대중사회이론과 미디어이론 그리고 대상관계이론 2장. 스스로 생각하지 않기 위한 철학 : 천재들의 문제 해결 방식을 토대로 생각하는 힘 ‧ 철학은 스스로 생각하는 것일까? ‧ 철학자도 넷플릭스를 보고 닥터마틴을 신는다 ‧ 스스로 생각하면 아웃풋이 평범하다 ‧ 자기 힘보다는 신중함이 중요하다 ‧ 숲을 걷는 방법을 배우듯 생각하는 기술을 배운다 ‧ 일문일답으로 돌아가지 않는 세상 ‧ 지식과 상상력이라는 두 개의 바퀴 ‧ 2,500년간의 문제 해결 능력을 내 것으로 ‧ 섣부르게 이해하려고 하면 안 되는 이유 ‧ 철학을 배울 때 흔히 하는 두 가지 실수 ‧ 언런(탈학습)하기 전에 런(학습)하자 ‧ 센스메이킹에도 지식과 상상력이 필요하다 ‧ 상상력이 풍부하다는 것은 상상력의 레퍼토리가 넓다는 것 ‧ 내 안에 다양한 사람을 살게 한다 ‧ 철학을 탐험할 때 주의해야 할 세 가지 [칼럼] 프래그머티즘의 관점 3장. 연결되는 동안 잃어버린 ‘고독’ : 스마트폰 시대의 철학 ‧ 스마트폰이 바꿔버린 우리 사회 ‧ ‘상시 접속 사회’에서 잊힌 감각 ‧ ‘고독’의 상실 – 반사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산만해진 사람들 ‧ 관심경제와 스마트폰이 집중을 빼앗는다 ‧ ‘고독’의 상실 – 자기 자신과 함께하지 못하는 사람들 ‧ ‘고립’ 속에서 ‘고독’해질 수 있다 – 한나 아렌트의 철학 ‧ ‘고독’과 ‘외로움’은 어디로 갔는가 ‧ 제대로 상처받기 위한 고독 ‧ 감정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 기쁠 때도 고독은 필요하다 ‧ 빈 시간을 또 다른 멀티태스킹으로 채우는 사람들 ‧ 스마트폰은 감정 이해를 더디게 만든다 ‧ 감각을 억누르지 않으려면 – <용쟁호투>의 교훈, 첫 번째 ‧ “생각하지 말고 느껴!”의 진정한 의미 - <용쟁호투>의 교훈, 두 번째 ‧ 손끝에 시선을 빼앗기지 말라 - <용쟁호투>의 교훈, 세 번째 [칼럼] 고독과 고립의 가치 되찾기 4장. 고독과 취미를 만드는 방법 : 소극적 수용력이 불러오는 대화 ‧ 소외될까 불안한 사람들 ‧ 감정은 인스턴트처럼 간편하지 않다 ‧ 외로움에 휘둘리는 우리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첫 번째 ‧ 외로움에 대처하는 방법, 취미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두 번째 ‧ 내 안에는 여러 사람이 존재한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세 번째 ‧ 취미는 고독을 불러온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네 번째 ‧ 취미는 수수께끼와의 대화다 - <에반게리온>으로 생각하기, 다섯 번째 ‧ ‘글로 쓰인 나’와 ‘다시 쓰는 나’의 대화 ‧ 무언가를 만들 때 시작되는 자기대화 ‧ 스스로 만족할 때까지 몇 번이고 다시 만들기 ‧ ‘불확실함’을 끌어안는 능력 ‧ 시대를 초월한 소극적 수용력 ‧ 불확실함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 ‧ 자신을 의심하는 자세, 소극적 수용력 ‧ 철학에 대한 탐구는 소극적 수용력을 기르는 일 ‧ 고독 속에서 불확실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