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의 시작

서유미 · Novel
18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277)
Rate
3.4
Average Rating
(277)
신선하고 다양한 문학을 시도하는 신인 작가들 위주로 이루어진 장편소설 시리즈 '오늘의 젊은 작가' 6권. 2007년 <판타스틱 개미지옥>으로 문학수첩작가상을, <쿨하게 한걸음>으로 창비장편소설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등단한 서유미의 장편소설이다. 기존의 작품들에 강했던 세태 반영적 성격이 줄어들고 보통 사람들이 한두 번씩은 다 경험하는 이별의 아픔과 상처 그리고 그것들이 극복되는 예민하고 섬세하고 신성하기까지 한 과정을 특유의 서사성과 서정성 짙은 슬프고 담백한 이야기로 표현했다. 벚꽃이 시작되는 4월부터 꽃 진 자리를 연잎이 대신하는 5월이 시작되기까지 한 달 동안, 영무.여진.소정 세 사람은 자기만의 방식으로 인생의 고비를 넘는다. 시한부 환자인 어머니를 돌보는 중 결혼 생활의 위기를 맞은 영무, 영무가 일하는 우편 취급국에서 임시직으로 일하며 취직도 연애도 난항을 겪고 있는 소정, 영무와 결혼 생활의 위기를 맞은 가운데 열두 살 어린 남자에게 빠져든 그의 아내 여진. 각자의 '끝'을 살아가고 있는 인물들의 상실과 공허가 다중 시점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삶의 진창을 구원하는 눈부신 재생의 순간이 가슴 벅찬 감동으로 다가온다.
Rating Graph
Avg3.4(277)

Author/Translator

Comment

20+

Table of Contents

1부 2부 작가의 말

Description

“베인 상처 위에 붙일 수 있는 밴드 같은 소설” -이승우(소설가) “그 어느 때보다 인생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을 내재하고 있는 듯 보이는 이 소설은 차가운 자본주의 질서, 세속의 풍경을 신랄하게 묘사해 왔던 서유미의 소설 세계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될 것 같다.” -강지희(문학평론가) 인생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으로 따뜻하고 믿음직한 이야기를 쓰는 작가 서유미 이별, 상실, 공허……. 저마다의 끝에서 상처받은 사람들과 그들을 위로하듯 다시, 또다시 자라나는 삶의 재생력 서유미 장편소설 『끝의 시작』이 민음사 ‘오늘의 젊은 작가’로 출간되었다. ‘오늘의 젊은 작가’는 기존의 장.단편으로 구분되어 있는 경직된 소설 흐름에서 탈피하고자 500매 내외 분량을 시리즈화한‘민음 경장편’의 새로운 이름으로, 신선하고 다양한 문학을 시도하는 신인 작가들 위주로 이루어진 장편소설 시리즈다. 『끝의 시작』은 조해진 『아무도 보지 못한 숲』, 오현종 『달고 차가운』, 윤고은 『밤의 여행자들』, 이장욱 『천국보다 낯선』, 박솔뫼 『도시의 시간』에 이어 여섯 번째로 선보이는 작품이다. 2007년 『판타스틱 개미지옥』으로 문학수첩작가상을, 『쿨하게 한걸음』으로 창비장편소설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등단한 서유미는 『판타스틱 개미지옥』에서 강렬한 사회의식과 독특한 이야기 전개로 우리 시대의 인간 군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출간된 『쿨하게 한걸음』으로는 삼십대 여성들의 지치고 불안한 내면과 욕망을 섬세하게 성찰하면서도 냉소 대신 애정과 공감의 시선을 견지하며 특유의 건강함을 보여 줬다는 호평을 받았다. 소설집 『당분간 인간』에 이르러 더욱 깊어진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생에 대한 신뢰를 보여 준 작가는 서유미식 소설에 대한 기대와 함께 ‘서유미 독자’를 형성하며 작가 서유미를 고단한 현실을 위로하는 따뜻하고 믿음직한 이야기를 쓰는 대표적인 작가로 만들었다. 이번에 선보이는 『끝의 시작』은 기존의 작품들에 강했던 세태 반영적 성격이 줄어들고 보통 사람들이 한두 번씩은 다 경험하는 이별의 아픔과 상처 그리고 그것들이 극복되는 예민하고 섬세하고 신성하기까지 한 과정을 특유의 서사성과 서정성 짙은 슬프고 담백한 이야기로 표현했다. 벚꽃이 시작되는 4월부터 꽃 진 자리를 연잎이 대신하는 5월이 시작되기까지 한 달 동안, 영무 ․ 여진 ․ 소정 세 사람은 자기만의 방식으로 인생의 고비를 넘는다. 시한부 환자인 어머니를 돌보는 중 결혼 생활의 위기를 맞은 영무, 영무가 일하는 우편 취급국에서 임시직으로 일하며 취직도 연애도 난항을 겪고 있는 소정, 영무와 결혼 생활의 위기를 맞은 가운데 열두 살 어린 남자에게 빠져든 그의 아내 여진. 각자의 ‘끝’을 살아가고 있는 인물들의 상실과 공허가 다중 시점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삶의 진창을 구원하는 눈부신 재생의 순간이 가슴 벅찬 감동으로 다가온다. ■ 소진된 사랑과 소진된 열정을 구원하는 가장 낮고 평범한 곳에서 들려오는 삶에 대한 예찬 영무는 말기 암 환자인 엄마의 마지막 나날을 돌보던 중 아내로부터 이혼 통보를 받는다. 우편 취급국에서 영무와 함께 일하는 임시 직원 소정은 대학 졸업 후 막막하고 암울한 시간을 견디던 중 자신의 가난을 어색해하는 남자친구와의 관계가 소원해진다. 열두 살 아래 남자에게 빠져들어 자기도 모르는 사이 가슴이 뛰는 걸 느끼는 여진은 무미건조한 관계를 지속해 나가던 남편에게 이혼을 통보한다. 저마다 소진된 사랑과 소진된 열정으로 지쳐 있는 이들과 달리 삶에 강한 애착을 가지고 목숨을 갈망하는 인물, 영무의 엄마.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녀는 생에 대한 강한 의지와 무관하게 속수무책으로 죽어 가고 있다. 영무 엄마의 몸이 죽어 가는 동안 만개했던 벚꽃이 피었다 지고 봄꽃같이 화사했던 소정과 진수의 사랑의 꽃잎도 떨어진다. 소박하지만 보기 좋았던 영무와 여진의 사랑도 마찬가지. 하지만 인생은 절망으로 끝나지 않고 이야기도 소진된 채 끝나지 않는다. 꽃이 진 자리를 녹음이 대신하듯 그들의 상처에도 새살이 돋아난다.

Collections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