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센셜 시네마

조너선 로젠봄
63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3.6(37)
0.5
3.5
5
Rate
3.6
Average Rating
(37)

예술, 오락, 그리고 상업으로서의 영화에 대해 새롭고 빛나는 통찰을 전해주면서 미국을 대표하는 영화비평가로 꼽히고 있는 조너선 로젠봄이 영화 연구의 영역에서 반감을 사고 있는 정전(正典)의 수립을 위해 나선다. 방대한 영역에 걸치는 영화 및 작가들에 대해 깊이 있는 평가를 전해주고 있다. [이창], [M], [탐욕] 같은 이미 그 권위가 확립되었다고 해도 좋은 고전에서 출발해 야심적이긴 하나 적지 않은 결점이 있는 [씬 레드 라인], [브레이킹 더 웨이브] 같은 영화들에 대해 언급하고 ‘기괴한 걸작’이라고 할 만한 작품들인 [이르마 베프]나 [아크앤젤]을 다루고 있는가 하면 평자들을 양분시키다시피 했던 [아이즈 와이드 셧]이나 [에이 아이]같은 영화도 논쟁적인 자세로 평하고 있다. 이 책에 실려 있는 “비평적인 간격: 고다르의 [경멸]”에서 영화사적인 해박함을 바탕으로 한 그의 통찰이 유난히 빛을 발하는데, 그는 다소 난해하게 보일 수 있는 고다르의 이 작품과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조셉 맨키위츠, 프리츠 랑 등의 영화들과의 연관 관계를 밝혀내어 [경멸]을 명쾌하게 설명함으로써 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감지되는 석연치 않은 부분을 해소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다. 그리고 자크 드미의 [쉘부르의 우산]에 대한 글인 “일상생활의 본질에 대한 노래들”에서는 자크 드미의 영화를 설명하기 위해 그와 언뜻 보기에는 유사해보이지 않는 오즈 야스지로를 끌어들여 드미의 영화 세계를 보다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얼핏 보기엔 단순한 비평 선집처럼 보일 수 있겠으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이 책의 부록에는 그가 세심하게 선정한 세계 영화 1,000편의 리스트가 실렸는데 본문의 평론들은 이 리스트에서 언급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따라서 이 책 전체가 영화 정전의 복원과 그를 통한 미적 판단력의 회복이라는 프로그램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6(37)
0.5
3.5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감사의 말 9 서문 10 1부 고전들 복원의 우화-4시간 짜리 [탐욕] 27 매혹적인 리듬-[M] 41 천국의 색깔-[축제의 날] 49 뒷마당의 윤리학-히치콕의 [이창] 58 일상생활의 본질에 대한 노래들-[쉘부르의 우산] 66 [바람 이야기]-요리스 이벤스의 유언 74 키라 무라토바의 고국의 진실-[무기력 증후군] 80 풍자적 태도의 중요성-벨라 타르의 [사탄탱고] 87 [홍분] 93 [의식] 100 [도둑들] 105 진정한 용기-[로제타] 111 2부 특별한 문제들 테렌스 맬릭의 궤적 121 알트만의 세계에서의 즉흥과 상호작용 128 뒤섞인 감정-[브레이킹 더 웨이브] 150 [빠르고 싸고 통제 안 되는] 159 달콤한 사기극-[되찾은 시간] 164 제임스 베닝의 [포 코너스] 174 과대평가된 해결책 :[휴머니티] 181 독일의 사운드 : 스트로브와 위예의 [엠페도클레스의 죽음] 187 [구름 저편에] : 아름다움으로의 회귀 196 남부의 천박함의 정점 : 현실과 역사-[피닉스 시티 스토리] 204 오즈는 과연 느린가 인간의 손길 :[십계]와 [파고] 225 3부 또 다른 정전들 삶은 예술을 위협한다-[이르마 베프] 239 관금붕의 [완령옥]-모래 위에 역사 쓰기 249 비평적인 간격 : 고다르의 [경멸] 261 기억상실을 기억하는가? (가이 매딘의 [아크앤젤]) 272 거칠지만 옳은 ; 리베트의 [파리의 숨바꼭질] 283 카메라를 든 비평가 : 마르케르가 찍은 타르코프스키 290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 [진 세버그의 일기] 297 국제적인 수확-비디오로 만들어진 국가별 영화사 305 국제적 샘플링 : [고스트 독] 313 똑같은 옛날 노래와 춤이 아니다-[로슈포르의 연인들] 322 [플레이밍 크리츄어]와 [스카치 테이프] 330 방랑하는 루이즈와 숨겨진 보물들 : 12개의 선택된 장소들 337 4부 논란의 경쟁자들 원래의 폼으로 돌아오다 : [하나의 선택] 357 [영 원] : 브뉘엘의 버림받은 걸작 365 책임은 꿈에서 시작된다 :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372 두 세계에서의 최고의 것들 : [에이 아이] 385 차도르 아래 : [내가 여자가 된 날] 398 무지의 연쇄 : 찰스 버넷의 [나잇존] 404 기분 좋은 진동 : [웨이킹 라이프] 412 움직이는 지옥 : [택시 드라이버] 417 육욕과 돈-[프리티 우먼] 427 타슐린적인 세계 432 기괴하면서도 멋진-기타노 다케시 [기쿠지로의 여름] 442 [코푸스 칼로숨] 447 5부 영화작가들 서부의 사나이 안소니 만 453 오토 프레민저 459 니콜라스 레이 470 모더니티에의 망명자들 : 에드워드 양 476 허우샤오시엔 : 대만인이 된다는 것 486 루디 울리처의 카운터컬처적인 역사들 492 사무엘 풀러 : 순진한 전사의 말들 500 일레인 메이 : 대낮에 숨어서 지내는 것 510 야심에 찬 선동영화 : [소이 쿠바] 518 오슨 웰즈를 둘러싼 투쟁 526 느낄 수 있는 자격 : [먼 목소리, 조용한 삶]과 [네온 바이블] 539 삶과 죽음 : 알렉산더 도브첸코의 영화와 영혼의 풍경 556 부록 및 후기 1,000편의 걸작들(개인적인 정전) 569 저자의 새로운 후기(2007) 613 저자의 한국어판 후기 620 옮긴이 후기 623 찾아보기 627

Description

조너선 로젠봄, 영화 정전의 수립을 위해 나서다 그의 예리하고 해박한 영화 리뷰와 에세이를 통해 조너선 로젠봄은 예술, 오락, 그리고 상업으로서의 영화에 대해 새롭고 빛나는 통찰을 전해주면서 미국을 대표하는 영화비평가로 꼽히고 있다. 현재 정전, 혹은 고전이라는 개념은 우리에게도 낡고 시대착오적이며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접근처럼 격하되고 있다. 하지만 로젠봄은 영화 연구의 영역에서 반감을 사고 있는 정전正典이라는 개념을 다시 들고 나오고 있다. 그는 정전이 이렇듯 의심의 대상이 된 원인을 거대 영화자본과 그에 결탁된 저널리즘, 그리고 사회과학적 객관주의에 경도된 영화학계의 공모에서 찾는다. 즉 영화 연구는 미디어라는 단어 하에 TV, 게임, 인터넷 등을 포괄하면서 형식주의적인 방향으로 전개되었고 좋은 영화와 그렇지 않은 영화를 판별할 예술적 가치 판단은 스스로 포기해버렸다. 이는 정전이라는 개념을 무효화하려는 적극적 시도가 아니라 단지 책임을 방기하는 것일 뿐으로 결국 공석이 된 정전의 자리에 자본의 이윤 추구의 시도가 들어서게 된다. 자본에 동조하는 매스미디어는 흥행순위로 영화를 가치 판단하거나 팬 문화에 편승하면서 반지성주의를 유포하게 되고 동시에 관객 수준이 저급하다는 이유로 정보 제공을 제한함으로써 대중들을 사실상 조작하게 된다. 그 결과 현재의 영화문화는 압도적으로 홍보담당자의 편의성 추구와 한 줄 짜리 리뷰 등으로 대변되는 할리우드의 홍보시스템에 의해 지배되고 있으며 이들은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을 희생시키면서 그저 그런 영화들을 최고의 것으로 내세우는 데 혈안이 되어 있다. 1997년에 AFI(미국영화협회)의 “위대한 미국영화 100편”은 자본이 자신의 욕망을 잘 드러낸 전형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는데 로젠봄은 “야만적인 상업적 계략이고 친숙한 상품을 다르게 포장한 것”일 뿐이라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100편의 영화를 꼽아『무비 워즈』에 수록한다. 『에션셜 시네마』는 그의 이러한 대안적 정전 구성의 시도의 연장선에 있다. 얼핏 보기엔 단순한 비평 선집처럼 보일 수 있겠으나 하이라이트라 할 수 있는 이 책의 부록에는 그가 세심하게 선정한 세계 영화 1,000편의 리스트가 실렸는데 본문의 평론들은 이 리스트에서 언급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따라서 이 책 전체가 영화 정전의 복원과 그를 통한 미적 판단력의 회복이라는 프로그램의 실천이라 할 수 있다. 1,000편의 ‘최고의’ 영화 선정 이 책의 뒷부분에는 앞에서 본 대로 로젠봄이 직접 선정한 ‘개인적인 정전’으로 1,000편의 영화 리스트가 실려 있다. 그는 이 책의 서문에서 그 리스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책의 종결부에서 나는 대담한 시도로서 내 자신의 특별한 정전을 제시한 것인데 이것은 말하자면, 기술적이기보다는 규범적인 의미(그리고 제약하는 것으로서)의 정전으로서, 나 자신의 취향과 우선순위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가능한(혹은 이상적인) 영화관람 리스트이자 혹은 논쟁을 불러일으킬 비평적 선언으로 간주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그가 작성한 리스트는 그의 40년이 넘는 시네필로서의 영화 경험을 반영한 것으로 영화 선택에 있어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독자들로 하여금 그와 같은 리스트를 스스로 작성하도록 유도한다는 면에서 도전적인 것이기도 하다. 국내에도 유명한 로저 에버트 같은 ‘대중적’ 평론가들이 꼽는 영화들의 목록에 비해 그 폭과 깊이에 있어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로젠봄의 1,000편의 리스트는 영화사에 관심을 가진 관객들에게 영화 보기를 재정의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한국판을 위해 저자가 보내준 최신 리스트까지 포함하면 실제로는 1,120편에 이른다.) 신랄한 비평이 주는 쾌감 로젠봄의 글의 신랄함은 비판하는 데에서 드러난다. 그는 20여 년간 대안 매체인 《시카고 리더》에서 비평가로 활동했는데, 전임자 데이브 커 Dave Kehr가 그를 추천했던 이유대로 “대안 언론의 자유로움을 최대한 누릴 수 있었다.” 검열과 외압에서 자유로운 환경을 활용하여 그는 자신의 정치적, 미학적 입장을 밀어붙였는데, 거대 기업이나 저명한 학자, 블록버스터, 동료 평론가를 비판할 때의 신랄함은, 쓴 소리는 찾기 힘들고 비판은 에둘러야 가능하며 대안조차 한없이 중심을 지향할 뿐인 한국의 영화문화에는 낯선 것이다. 로젠봄은 라스 폰 트리에의 [브레이킹 더 웨이브]가 가진 문제로 아이러니를 너무 많이 던지다보니 일정한 형식의 믿음 혹은 불신을 추출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는 것을 지적한다. 그리하여 영화는 “스타일이 거의 모든 것이 되고 내용은 거의 아무 것도 아닌 것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흔히 ‘문제적인 걸작’으로 꼽히는 마틴 스콜세지의 [택시 드라이버]를 평하면서 “표현주의적인 예술의 휘황함이 덧붙여지고 있지만 관객들에게 줄 수 있는 도덕적인 결론이란 것은 거의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영화사적인 해박함과 통찰의 결합 『에센셜 시네마』는 방대한 영역에 걸치는 영화 및 작가들에 대해 깊이 있는 평가를 전해주고 있다. [이창], [M], [탐욕] 같은 이미 그 권위가 확립되었다고 해도 좋은 고전에서 출발해 야심적이긴 하나 적지 않은 결점이 있는 [씬 레드 라인], [브레이킹 더 웨이브] 같은 영화들에 대해 언급하고 ‘기괴한 걸작’이라고 할 만한 작품들인 [이르마 베프]나 [아크앤젤]을 다루고 있는가 하면 평자들을 양분시키다시피 했던 [아이즈 와이드 셧]이나 [에이 아이]같은 영화도 논쟁적인 자세로 평하고 있다. 이 책에 실려 있는 “비평적인 간격: 고다르의 [경멸]”에서 영화사적인 해박함을 바탕으로 한 그의 통찰이 유난히 빛을 발하는데, 그는 다소 난해하게 보일 수 있는 고다르의 이 작품과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조셉 맨키위츠, 프리츠 랑 등의 영화들과의 연관 관계를 밝혀내어 [경멸]을 명쾌하게 설명함으로써 이 영화를 처음 보았을 때 감지되는 석연치 않은 부분을 해소시키는 데 성공하고 있다. 그리고 자크 드미의 [쉘부르의 우산]에 대한 글인 “일상생활의 본질에 대한 노래들”에서는 자크 드미의 영화를 설명하기 위해 그와 언뜻 보기에는 유사해보이지 않는 오즈 야스지로를 끌어들여 드미의 영화 세계를 보다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국제주의자’로서의 비평가 영문학과 대학원생이던 로젠봄은 1969년 파리로 건너가 《필름 코멘트》, 《사이트 앤 사운드》, 《빌리지 보이스》에서 특파원 자격의 전문 리뷰어로 기고하면서 비평가 활동을 시작했다. 파리에 체재하는 동안에 그는 로베르 브레송의 [몽상가의 나흘 밤]에 엑스트라로 출연도 하고 짧게는 자크 타티의 조수 일을 맡기도 했는데 ‘시네필의 수도’ 파리가 가장 빛나던 시기에 파리 체험을 했던 셈이다. 이런 경험은 로젠봄을 미국인으로서는 드물게 ‘국제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국제주의적인 측면은 미국의 영화문화의 편협성에 대해 비판적인 시선을 던지고 반면에 해외 영화의 좋은 부분에 대해서는 열렬히 옹호하게끔 했다. ‘전 세계적으로 1960년생 중에는 왜 시네필이 많은가’라는 다소 엉뚱한 질문으로 시작하는 책 『영화의 변이 Movie Mutations』는 그 무렵 태어난 세계의 시네필-비평가 5인과 서로 편지를 주고받는 것으로 시작하여, 하스미 시게히코와는 상대방 국적 감독인 하워드 혹스와 마스무라 야스조를 상호 비평한다는, 독특한 시도를 하기도 한다. 이런 시도를 하는 데에서도 그의 국제주의적인 면모를 엿볼 수 있다.

Collections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