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옮긴이의 말 | 7 지은이의 말 | 17 가르치는 사람이 주목할 사항 | 21 제1장 서론 | 23 1.1 준비 작업 | 23 1.2 이론의 범위 | 25 1.3 어떤 종류의 이론인가? | 30 1.4 세 가지 답, 또는 한 가지 답의 조각들 | 34 1.5 역사적 막간: 과학 혁명에 대한 개관 | 44 더 읽을거리 | 51 제2장 논리+경험주의 | 53 2.1 경험주의적 전통 | 53 2.2 비엔나 학단 | 58 2.3 논리 실증주의의 핵심 사상 | 63 2.4 문제와 변화 | 72 2.5 논리 경험주의 | 77 2.6 논리 경험주의의 몰락에 대하여 | 83 더 읽을거리 | 83 제3장 귀납과 확증 | 85 3.1 모든 문제의 어머니 | 85 3.2 귀납, 연역, 확증, 설명적 추리 | 87 3.3 까마귀 문제 | 96 3.4 굿맨의 “귀납의 새로운 수수께끼” | 104 더 읽을거리 | 113 제4장 포퍼: 추측과 논박 | 115 4.1 과학철학에서 포퍼의 독특한 위치 | 115 4.2 포퍼의 과학이론 | 116 4.3 과학적 변화에 대한 포퍼의 견해 | 122 4.4 반증에 관한 포퍼의 견해에 대한 반론 | 126 4.5 확증에 관한 포퍼의 견해에 대한 반론 | 132 4.6 구획 문제에 대한 또 다른 논평들 | 139 더 읽을거리 | 144 제5장 쿤과 정상과학 | 147 5.1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 147 5.2 패러다임: 좀 더 면밀한 검토 | 150 5.3 정상과학 | 155 5.4 변칙 현상과 위기 | 159 5.5 정상과학의 결말 | 162 더 읽을거리 | 166 제6장 쿤과 혁명 | 167 6.1 상당한 혼란 | 168 6.2 혁명과 그 여파 | 169 6.3 공약불가능성, 상대주의, 진보 | 174 6.4 X 등급 “제10장” | 182 6.5 쿤에 관한 최종 판단 | 186 더 읽을거리 | 190 제7장 라카토슈, 라우든, 파이어아벤트, 틀 | 193 7.1 『구조』 이후 | 193 7.2 라카토슈와 연구 프로그램 | 195 7.3 라우든과 연구 전통 | 203 7.4 어떻게 해도 좋다 | 207 7.5 철학을 괴롭히는 역사에 의거한 논증 | 212 7.6 다원주의와 미친 사람들의 두서없는 지껄임 | 215 7.7 현황 파악하기: 틀과 두 수준 과정 과학이론 | 219 더 읽을거리 | 225 제8장 과학사회학으로부터의 도전 | 227 8.1 철학을 넘어서서? | 227 8.2 로버트 머틴과 “낡은” 과학사회학 | 227 8.3 강한 프로그램의 발흥 | 232 8.4 『리바이어던』과 라투르 | 238 더 읽을거리 | 248 제9장 여성주의와 과학학 | 249 9.1 “과학은 정치적이다” | 249 9.2 이성의 남자 | 250 9.3 영장류학 사례 | 255 9.4 여성주의 인식론 | 257 9.5 과학학, 과학전쟁, 소칼의 날조 | 262 더 읽을거리 | 268 제10장 자연주의 철학: 이론과 실제 | 271 10.1 자연주의란 무엇인가? | 271 10.2 콰인, 듀이, 그 밖의 사람들 | 274 10.3 관찰의 이론 적재성 | 281 더 읽을거리 | 292 제11장 자연주의와 과학의 사회적 구조 | 293 11.1 과정으로서의 과학 | 293 11.2 키처와 과학적 분업 | 299 11.3 사회적 구조와 경험주의 | 304 더 읽을거리 | 308 제12장 과학적 실재론 | 309 12.1 이상한 논쟁들 | 309 12.2 과학적 실재론에 다가가기 | 310 12.3 과학적 실재론의 진술 | 312 12.4 전통적 경험주의로부터의 도전 | 320 12.5 형이상학적 구성주의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