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과 함께하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마흔 번째 책 출간!
이 책에 대하여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신작 시와 소설을 수록하는 월간 『현대문학』의 특집 지면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마흔 번째 소설선, 서수진의 『유진과 데이브』가 출간되었다. 2020년, 장편소설 『코리안 티처』로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하며 우리 문단에 혜성처럼 등장한 서수진의 이번 작품은 국적과 인종을 달리하는 두 연인의 사랑의 불가능성에 관한 진지한 고찰을 담은 소설이다.
“우리가 외면해선 안 될 이 나라의 진짜 모습을 가르쳐준다는 의미에서, K-자부심에 취해 있을지 모를 우리에게 때마침 찾아온 반가운”(문학평론가 신샛별) 소설이었던 전작의 연장선상에서 더 확장된 세계관을 보여주는 이번 소설은 2021년 『현대문학』 10월호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 내놓은 것이다.
나는 무엇을 꿈꾸는가?
심사위원 만장일치를 끌어내며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서수진의 등단작 『코리안 티처』는 한국어학당에서 일어나는 네 명의 여성 시간 강사의 이야기를 담은 이 소설이다. 좁게 보면 오늘을 살아가는 비정규직 여성들의 이야기인 듯 보이나, 각 인물들이 봉착한 위기와 그 극복의 과정을 통해 “인간은 마땅히 어떻게 살아가야 하나”라는 근원적 고민 앞에 독자들을 세운다는 평을 받았다. 서수진의 이번 신작 『유진과 데이브』 역시 좁게 보면 국적과 인종을 달리하는 두 연인의 사랑과 갈등을 둘러싼 이야기인 듯 보이나, 결국에는 ‘나답게 사는 것은 무엇인지’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존재론적 화두를 다시 한 번 독자들에게 던지고 있다.
한국에서 미술을 전공했으나 여러 번의 좌절을 경험하고 도망치듯 호주로 간 유진은 시드니의 한 펍에서 건축 프로젝트 매니저 데이브를 우연히 만난다. 처음 본 유진에게 담배를 얻어 피우며 데이브는 자신이 뭘 하고 있는지, 왜 그걸 해야 하는지를 모르겠다는 선문답을 유진에게 던진다. 그날 이후 연인으로 발전한 유진과 데이브는 호주와 서울을 오가며 양가에 인정받는 사이가 되지만 인생의 중요한 결정 앞에서 여전히 의견차를 좁히지 못한다. 둘이 함께 정착한 호주의 최남단 섬 태즈메이니아에서 유진은 그림을 다시 그리며 새로운 삶을 꿈꾸지만 그녀에게 돌아오는 건 소외와 배제, 자기부정의 슬픔뿐이었다. 데이브의 여동생이 동성의 파트너와 결혼을 하던 날, 둘 사이의 갈등은 최고조을 향해 치닫고, “자신이 왜 우는지 도무지 알 수 없”고 “삶이 엉망진창이 되어버린 이유를 찾을 수 없”는 유진은 데이브에게 삶의 답을 찾아 떠나겠다 선언한다.
성장 배경과 과정이 다른 두 연인의 각자 다른 듯 닮은 고민과 그것을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삶이 마땅히 추구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그 과정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하게 만드는 소설이다.
소설가에게 과녁을 정확히 그려달라는 요구는 사실 온당치 않으며, 반대로 그런 요구 앞에서 적당히 미끄러져나갈 수 있는 소설적 기법도 있다. 그러나 부사를 용납하지 않고 인물을 함부로 구원하지 않는 직설적인 작가는 얕은수를 쓰지 않는다. “우리에게는 우리뿐이잖아”라는 데이브의 하소연은 결연하지도, 낭만적이지도 않다. “정말 우리한테는 우리뿐인 거야? 그게 답이야?”라는 유진의 반문이 훨씬 더 단단하다. (장강명)
월간 『현대문학』이 펴내는 월간 <핀 소설>, 그 마흔 번째 책!
<현대문학 핀 시리즈>는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월간 『현대문학』 지면에 선보이고 이것을 다시 단행본 발간으로 이어가는 프로젝트이다. 여기에 선보이는 단행본들은 개별 작품임과 동시에 여섯 명이 ‘한 시리즈’로 큐레이션된 것이다. 현대문학은 이 시리즈의 진지함이 ‘핀’이라는 단어의 섬세한 경쾌함과 아이러니하게 결합되기를 바란다.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은 월간 『현대문학』이 매월 내놓는 월간 핀이기도 하다. 매월 25일 발간할 예정인 후속 편들은 내로라하는 국내 최고 작가들의 신작을 정해진 날짜에 만나볼 수 있게 기획되어 있다. 한국 출판 사상 최초로 도입되는 일종의 ‘샐러리북’ 개념이다.
001부터 006은 1971년에서 1973년 사이 출생하고, 1990년 후반부터 2000년 사이 등단한, 현재 한국 소설의 든든한 허리를 담당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렸고, 007부터 012는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 출생하고, 2000년대 중후반 등단한, 현재 한국 소설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013부터 018은 지금의 한국 문학의 발전을 이끈 중추적인 역할을 한 1950년대 중후반부터 1960년대 사이 출생 작가, 1980년대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등단한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려졌으며, 019부터 024까지는 새로운 한국 문학의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패기 있는 젊은 작가들의 작품으로 진행되었다.
세대별로 진행되던 핀 소설은 025~030에 들어서서는 장르소설이라는 특징 아래 묶여 출간되었고, 031~036은 절정의 문학을 꽃피우고 있는 1970년대 중후반 출생 작가들의 작품으로 꾸려졌다.
발간되었거나 발간 예정되어 있는 책들은 아래와 같다.
001 편혜영 『죽은 자로 하여금』(2018년 4월 25일 발간)
002 박형서 『당신의 노후』(2018년 5월 25일 발간)
003 김경욱 『거울 보는 남자』(2018년 6월 25일 발간)
004 윤성희 『첫 문장』(2018년 7월 25일 발간)
005 이기호 『목양면 방화 사건 전말기』(2018년 8월 25일 발간)
006 정이현 『알지 못하는 모든 신들에게』(2018년 9월 25일 발간)
007 정용준 『유령』(2018년 10월 25일 발간)
008 김금희 『나의 사랑, 매기』(2018년 11월 25일 발간)
009 김성중 『이슬라』(2018년 12월 25일 발간)
010 손보미 『우연의 신』(2019년 1월 25일 발간)
011 백수린 『친애하고, 친애하는』(2019년 2월 25일 발간)
012 최은미 『어제는 봄』(2019년 3월 25일 발간)
013 김인숙 『벚꽃의 우주』(2019년 4월 25일 발간)
014 이혜경 『기억의 습지』(2019년 5월 25일 발간)
015 임철우 『돌담에 속삭이는』(2019년 6월 25일 발간)
016 최 윤 『파랑대문』(2019년 7월 25일 발간)
017 이승우 『캉탕』(2019년 8월 25일 발간)
018 하성란 『크리스마스캐럴』(2019년 9월 25일 발간)
019 임 현 『당신과 다른 나』(2019년 10월 25일 발간)
020 정지돈 『야간 경비원의 일기』(2019년 11월 25일 발간)
021 박민정 『서독 이모』(2019년 12월 25일)
022 최정화 『메모리 익스체인지』(2020년 1월 25일)
023 김엄지 『폭죽무덤』(2020년 2월 25일)
024 김혜진 『불과 나의 자서전』(2020년 3월 25일)
025 이영도 『마트 이야기―시하와 칸타의 장』(2020년 4월 25일)
026 듀 나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었다』(2020년 5월 25일)
027 조 현 『나, 이페머러의 수호자』(2020년 6월 25일)
028 백민석 『플라스틱맨』(2020년 7월 25일)
029 김희선 『죽음이 너희를 갈라놓을 때까지』(2020년 8월 25일)
030 최제훈 『단지 살인마』(2020년 9월 25일)
031 정소현 『가해자들』 (2020년 10월 25일)
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