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감상법까지
인류의 시간과 함께한 위대한 도구의 인문학
시계의 역사는 기원전 3000년경 고대 이집트에서 발명된 해시계에서 시작되었다. 13세기 유럽에 교회의 탑시계가 등장하였고, 이후 부품과 장치가 소형화되어 17세기 말 회중시계가 완성되었다. 그리고 20세기 초,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의 손목시계가 개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시계 전문가이자 칼럼니스트인 저자는 이처럼 5,000년이 넘는 시계의 역사에 새겨진 사건, 인물, 기념비적인 기술과 도시, 게다가 예술까지 시계에 관한 모든 지식을 소개한다.
알프스 고산지대에 둘러싸인 고립된 국가 스위스가 어떻게 유럽을 뛰어넘어 세계 최고의 시계 강국이 되었는지, 퍼페추얼 캘린더·미닛 리피터·투르비용 등 3대 복잡장치로 불리는 초고도 시계술은 어떻게 개발되었는지, 또한 최초의 손목시계는 여성의 필요에 의해 탄생했고 남성용은 이후 전쟁 때문에 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 등등 우리가 궁금했던 시계 지식이 매 페이지마다 이어진다. 예를 들어 유럽에 대량생산을 일으킨 미국식 제조 시스템, 20세기 냉전 덕분에 살아남은 독일 시계의 아이러니, 스위스와 일본의 시계 시장 패권사, 시계 디자인의 두 조류 아르데코와 바우하우스, 회화에 그려진 시계를 통해 알아보는 시대상과 문화, 시대 혁신을 일으킨 시계 모델들, 올림픽 타임키퍼로 대표되는 시간 측정의 발전사, 시계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재로 꼽히는 아브라함 루이 브레게부터 현대 시계의 슈퍼스타 프랭크 뮬러까지 선구적인 시계 장인, 세계 3대 시계 그룹 리치몬트, 스와치, LVMH의 전략을 통해 알아보는 트렌드 등등 시간과 시계에 얽힌 역사, 문화, 기술이 망라되어 있다.
저자의 말처럼 시계의 역사는 인간이 지닌 지적 호기심의 역사이며, 시계를 안다는 것은 인류가 터득한 지혜의 역사를 배운다는 뜻이다. 그렇기에 시계의 문화적 가치와 역사적 사실을 이해할 때 비로소 우리는 진정으로 만족하고 자신에게 걸맞은 손목시계를 만날 수 있다.
나의 결을 나타내고 나의 격을 높이는 특별한 도구
시계는 자기 표현의 도구로 진화하고 있다
“요즘 같은 시대에 누가 손목시계로 시간을 봅니까?”
스위스 시계 브랜드 ‘블랑팡’을 부흥시키고 ‘위블로’를 메가브랜드를 키워낸 스위스 시계업계의 거물 장 클로드 비버는 위와 같은 말을 남겼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현재, 그의 예언은 적중했다. 이제 시계는 시간을 확인하는 도구나 액세서리를 넘어서 나의 가치를 나타내고 나의 품격을 높이는 중요한 아이템이 되었다. 한마디로 시계를 착용한다는 것은, 가장 나다운 모습을 표현하는 행위 중 하나가 된 것이며, 따라서 시계를 아는 만큼 나를 더욱 잘 드러낼 수 있다.
이를 돕기 위해 이 책은 다이얼, 인덱스, 시곗바늘, 케이스, 스트랩 등 시계 사양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그 사양들을 꼼꼼히 읽는 법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소재와 표면 처리법, 첨단 동력 장치, 방수 시스템 같은 최신의 시계 기술은 물론이고 파텍필립, 바쉐론 콘스탄틴, 오데마 피게, 브레게, 랑에 운트 죄네, 예거 르쿨트르 등 세계적인 시계 브랜드의 역사와 트렌드까지 소개하고 있어 시계 입문자와 애호가 모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이를 통해 브랜드와 모델을 보는 안목을 기르는 동시에 시계의 진정한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이 있는데 굳이 무겁게 시계를 차야 하느냐고 할 수 있지만, 이제 시계는 새로운 가치로 우리 곁에 함께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손목시계가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준다면 어떤 제품을 고르든 그것이 ‘정답’이라고 말한다. 마음에 드는 손목시계를 만나 함께 시간을 새겨 나가는 것 자체에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모든 물건에는 이야기가 있다. 안경에는 광학과 의학 발전의 역사가, 자동차에는 자연 물리에 맞서는 동역학의 역사가 담겨 있듯이, 시계에는 인류 발전의 시간사가 켜켜이 쌓여 있다. 디지털 기기들이 끊임없이 등장해도 아날로그 시계가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는 최신 기기들이 따라잡고 싶어도 절대 그럴 수 없는 오랜 시간의 이야기가 있기 때문인지 모른다. 이 책 《손목시계의 교양》은 바로 그 시간의 역사를 다시 새길 기회를 선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