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걸어서 에덴까지” 삶의 내부를 확장하는 시어의 발걸음 마지막에 유안진 시인에게 초월은 헛된 가상이며, 현재(present)는 잘못 배달된 선물(present)이다. 이것이 시집에 무수한 소리은유(동음이의어와 유음이의어들을 활용한 말장난)들을 심어놓는다. 우리는 세계를 뒤틀 수는 없으나 말을 뒤틂으로써 적어도 그것의 상징질서를 뒤틀 수는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든 은유가 강제하는 질서에서 벗어나, “궤도탈출”의 여정에 오를 수 있다. “내 발길”만이 “길이 된다.” ―권혁웅·시인 삶을 내부에서 확장하려는 의지가, 단지 삶을 이어가려는 욕망과는 전연 다른 것임을 이 시집은 보여준다. 이 시집에는 두 발로 시간 위를 활보할 때 우리가 미처 넘보지 않던 바깥이 문득 반대방향의 팽팽한 인력으로 불거지며 펼치는 시간의 곡예가 담겨 있다. “걸어서 에덴까지” 가는 일은 에덴을 당겨서가 아니라 삶의 내부를 확장함으로써 가능한 일임을 시는 증언한다. ―조강석·문학평론가 유안진 시인의 열여섯 번째 시집 『걸어서 에덴까지』가 문예중앙시선(017)으로 출간되었다. 유안진 시인이 추구해온 시세계가 보다 촘촘하고 단단한 88편의 시로 수 놓여 있다. 시인은 “거꾸로 살아와서, 거꾸로의 거꾸로인 로꾸거로 썼고, 이 또한 거짓말로 참말하기의 심화로 시도하고 싶었다”(「시인의 말」)고 말한다. ‘거꾸로의 거꾸로’로 되짚어가면서 나아가는 시어들은, 전후좌우 사방을 확장하고 수렴하는 걸음이다. 돌아보기 위해서 거꾸로를, 나아가기 위해서 거꾸로의 거꾸로를 탐색하기에, 세계와 삶의 이치에 관한 순리적인 깨달음이 묻어난다. 득도의 경지를 원하기보다 물러섬의 깨달음을 지향하는 시인의 걸음을 닮은 시편들이다. 거꾸로 로꾸거로, 거짓말로 참말하기, 참말로 참말하기 나는 늘 내 두려움이 두렵지 최대치로 치솟아 눈멀어버리는 햇빛 공포도 한밤중에는 가라앉아 밝아지는 눈으로 정오와 자정을, 웃음과 울음을 갈팡질팡 거꾸로 로꾸거로 살다 말다 하느라고. ―「백색 어둠」 부분 로꾸거 기법, 거짓말과 참말 사이 소리은유의 말장난들이 쉬이 휘발되지 않는 것은 곧은 뼈대에 유연한 살결들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뜨겁고도 깊게, 유머와 진지함을 가로질러 시는 더욱 풍요롭게 전개된다. “‘기법’이라는 겸손한 예의 뒤에는 유일무이한 편편의 창조와 느낌만으로 충분하게 식목되는 시림(詩林)에 대한 기대가 울울하다.”(최현식 해설, 「‘어둠빛’을 노래하다」) 나 말고도 누구든 다 믿지는 마시기를 사람이란 대체로 관리의 대상이기보다는 관심의 대상이며 믿음의 대상이기보다는 사랑의 대상일 따름인 줄을 부디 알고나 믿어주시기를. ―「참말로 참말하면」 부분 시인은 ‘나’와 ‘세계’의 자리를 끊임없이 치환하며 사유한다. 관찰과 사유가 가닿은 데서 “로꾸거”로 시인 자신에게로 돌아와 거꾸로의 거꾸로 기법, 거짓말로 참말하기를 완성해간다. 그 안에 거꾸로의 거꾸로가 찾아내는 자리, 진정한 “참”을 향한 믿음이 뿌리를 내린다. 시어의 전복을 통해 참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인 것이다. 그렇게 “걸어서 에덴까지” 이르는 여정, 이 시집에서 점점이 떨어지는 ‘사랑’은 그런 의미에서 끊임없는 갱신과 변전을 실천하고 기약해온 존재들을 위한 정중한 ‘경의’인 동시에 명랑한 ‘애도’이다. 물론 이때의 ‘애도’는 존재를 삶의 저편으로 추방하는 망각의 제의(祭儀)와 거의 무관하다. 잃어버린 대상의 빈자리를 메우는 슬픔이라는 점에서 애도는 우리의 상흔을 치유하고 또 여타의 타자들을 다시 사랑하게 하는 생명 운동의 일종이다.(최현식 해설, 「‘어둠빛’을 노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