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 기쁨에게

정호승 · Poem
144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89)
Rate
3.4
Average Rating
(89)
창비시선 19권. 맑고 부드러운 언어로 전통 서정시의 순정한 세계를 펼쳐온 '우리 시대 최고의 감성 시인'으로서 독자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는 정호승 시인의 첫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1993년 첫 개정판에 이은 두번째 개정판이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부 가름을 다시 하고 연작시를 해체하여 작품마다 제목을 새롭게 달았으며, 초기 시 4편을 추가로 수록하였다. 1979년 초판이 출간된 지 35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냉철한 현실 인식과 삶의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진정성과 '슬픔을 수반한 아름다움'이 보석처럼 빛나는 정결한 시편들이 여전히 가슴을 적시는 뭉클한 감동을 일으키며 고요한 울림을 선사한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4(89)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7

Table of Contents

제1부 슬픔으로 가는 길 슬픔을 위하여 슬픔은 누구인가 슬픔이 기쁨에게 슬픔 많은 이 세상도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파도타기 눈사람 맹인 부부 가수 구두 닦는 소년 어느 청년의 애인에게 이민 가는 자를 위하여 눈발 제2부 풀잎 새벽별 새벽 눈길 거리에서 겨울밤 별 청량리에서 첫사랑 헤어짐을 위하여 다시 헤어짐을 위하여 용산역에서 첫눈 사랑에게 밤기차를 탄다 제3부 바다와 피난민 촛불을 들고 거울 밖으로 어느날 밤 언덕이 두 마을이 날마다 산으로 가는 귀 낙산을 오르며 넥타이를 맨 그리스도 꿀벌 꼽추 혼혈아에게 종이배 무악재 소문 제4부 바다에서 눈길 어머니 서울역에서 소록도 눈물 새벽에 쓴 편지 봄편지 쥐 백정의 피 목숨과 안경 산이 여인에게 페스탈로치 제5부 출감 벼꽃 뽕밭 감자 이장 경주 할머니 매춘 장터 지게 낫 아버지의 무덤 사격장에서 첨성대 아버지의 눈물 사육신의 한사람 발문 - 박해석 시인의 말

Description

서정시의 진면목, 한국시의 소중한 발자취 정호승 시인의 첫 시집을 새로이 만나다 맑고 부드러운 언어로 전통 서정시의 순정한 세계를 펼쳐온 ‘우리 시대 최고의 감성 시인’으로서 독자들의 열렬한 사랑을 받고 있는 정호승 시인의 첫 시집 『슬픔이 기쁨에게』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1993년 첫 개정판에 이은 두번째 개정판이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부 가름을 다시 하고 연작시(「가두낭송을 위한 시」 「유관순」 「옥중서신」)를 해체하여 작품마다 제목을 새롭게 달았으며, 초기 시 4편(「백정의 피」 「목숨과 안경」 「산이 여인에게」 「페스탈로치」)을 추가로 수록하였다. 1979년 초판이 출간된 지 35년이라는 오랜 세월이 흘렀어도 냉철한 현실 인식과 삶의 깊이에서 우러나오는 진정성과 “슬픔을 수반한 아름다움”(박해석, 발문)이 보석처럼 빛나는 정결한 시편들이 여전히 가슴을 적시는 뭉클한 감동을 일으키며 고요한 울림을 선사한다. 슬픔을 만나러/쥐똥나무숲으로 가자./우리들 생(生)의 슬픔이 당연하다는/이 분단된 가을을 버리기 위하여/우리들은 서로 가까이/개벼룩풀에 몸을 비비며/흐느끼는 쥐똥나무숲으로 가자./(…)/무릎으로 걸어가는 우리들의 생/슬픔에 몸을 섞으러 가자./무덤의 흔적이 있었던 자리에 숨어 엎드려/슬픔의 속치마를 찢어 내리고/동란에 나뒹굴던 뼈다귀의 이름/우리들의 이름을 지우러 가자./가을비 오는 날/쓰러지는 군중들을 바라보면/슬픔 속에는 분노가/분노 속에는 용기가 보이지 않으나/이 분단된 가을의 불행을 위하여/가자 가자./개벼룩풀에 온몸을 비비며/슬픔이 비로소 인간의 얼굴을 가지는/쥐똥나무숲으로 가자.(「슬픔은 누구인가」 부분) 시집을 아우르는 주된 정서는 당대의 비극적 현실을 바라보는 시인의 시대 인식, 곧 ‘슬픔’이다. 그러나 그의 ‘슬픔’은 전통적인 정서인 한(恨)의 세계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다. 시인은 비애의 감상에 젖기보다는 오히려 차분하고 관조적인 자세로 “슬픔으로 슬픔을 잊”는 “슬픔 많은 이 세상”(「슬픔 많은 이 세상도」)을 따스한 마음으로 끌어안는다. 결핍의 상태가 아니라 인간의 보편적인 존재 조건으로서의 ‘슬픔’을 순순히 받아들이며 시인은 “어디에서나 간절히 슬퍼할 수 있고/어디에서나 슬픔을 위로할 수 있는”(「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애틋한 마음으로 “사랑보다 소중한 슬픔의 힘”(「슬픔이 기쁨에게」)을 노래한다. 슬픔을 위하여/슬픔을 이야기하지 말라./오히려 슬픔의 새벽에 관하여 말하라./첫아이를 사산(死産)한 그 여인에 대하여 기도하고/불빛 없는 창문을 두드리다 돌아간/그 청년의 애인을 위하여 기도하라./슬픔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새벽은 언제나 별들로 가득하다./나는 오늘 새벽, 슬픔으로 가는 길을 홀로 걸으며/평등과 화해에 대하여 기도하다가/슬픔이 눈물이 아니라 칼이라는 것을 알았다./이제 저 새벽별이 질 때까지/슬픔의 상처를 어루만지지 말라./우리가 슬픔을 사랑하기까지는/슬픔이 우리들을 완성하기까지는/슬픔으로 가는 새벽길을 걸으며 기도하라./슬픔의 어머니를 만나 기도하라.(「슬픔을 위하여」 전문) 등단 초기부터 맹인 부부 가수, 혼혈아, 구두닦이, 넝마주이, 동냥아치 소년, 피난민, 창녀, 머슴, 꼽추 등 고통의 삶을 살아가는 민중들과 함께해온 시인은 “가난한 자는 또다시 가난하여”(「헤어짐을 위하여」)지는 냉엄한 현실 속에서 “단 한번 인간에 다다르기 위해”(「파도타기」) 발버둥 치며 “눈물의 칼을 씻고”서 “홀로 새벽 강가에서 우는 사람들”(「거리에서」)의 아픔에 주목한다. 시인은 우리 사회의 아픔을 드러내는 이들 소외된 계층의 애절한 삶을 따듯한 눈길로 바라보며 “희망을 품고 죽은 사람들의 희망”(「겨울밤」)과 “돌보다 무거운 눈물”(「바다에서」)의 아픔을 연민과 위로의 목소리에 담아 이야기한다. 눈 내려 어두워서 길을 잃었네/갈 길은 멀고 길을 잃었네/눈사람도 없는 겨울밤 이 거리를/찾아오는 사람 없어 노래 부르니/눈 맞으며 세상 밖을 돌아가는 사람들뿐/등에 업은 아기의 울음소리를 달래며/갈 길은 먼데 함박눈은 내리는데/사랑할 수 없는 것을 사랑하기 위하여/용서받을 수 없는 것을 용서하기 위하여/눈사람을 기다리며 노랠 부르네/세상 모든 기다림의 노랠 부르네/눈 맞으며 어둠속을 떨며 가는 사람들을/노래가 길이 되어 앞질러 가고/돌아올 길 없는 눈길 앞질러 가고/아름다움이 이 세상을 건질 때까지/절망에서 즐거움이 찾아올 때까지/함박눈은 내리는데 갈 길은 먼데/무관심을 사랑하는 노랠 부르며/눈사람을 기다리는 노랠 부르며/이 겨울 밤거리의 눈사람이 되었네/봄이 와도 녹지 않을 눈사람이 되었네(「맹인 부부 가수」 전문) 시인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그늘진 면을 들여다보는 냉철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결 고운 서정성을 잃지 않는 온화한 작품 세계를 보여준다. 깊이있는 현실 직시를 통해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낙산(落山)을 오르며」)는 우리 사회의 모순을 통찰하는 시인은 전쟁으로 인한 죽음과 폐허, 분단과 독재, 가난과 소외 등 굴곡진 우리 근대사 이면의 상처를 다양한 모습으로 보여준다. “빈혈의 세상”(「밤기차를 탄다」)에 억눌린 민중들의 삶을 좇는 시인의 시선에는 무엇보다도 “세상 모든 무관심”(「겨울밤」)과 슬픔에 짓눌린 “가장 가난한 사람들”(「새벽별」)에 대한 뜨거운 사랑, 다스운 인간애가 깃들어 있다. 너의 고향은 아가야/아메리카가 아니다./네 아버지가 매섭게 총을 겨누고/어머니를 쓰러뜨리던 질겁하던 수수밭이다./찢어진 옷고름만 홀로 남아 흐느끼던 논둑길이다./지뢰들이 숨죽이며 숨어 있던 모래밭/탱크가 지나간 날의 흙구덩이 속이다.//(…)//전쟁은 가고/나룻배에 피난민을 실어 나르던/그 늙은 뱃사공은 어디 갔을까/학도병 따라가던 가랑잎같이/떠나려는 아가야 우리들의 아가야/너의 조국은 아프리카가 아니다./적삼 댕기 흔들리던 철조망 너머로/치솟아오르던 종다리의 품속이다.(「혼혈아에게」 부분)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시인은 고통스러운 삶을 노래하면서도 절망이나 체념의 감정을 드러내기보다는 참혹한 현실 속에서도 “눈물의 향기”(「눈물」)를 어루만지며 슬픔 뒤에 오는 희망을 이야기한다. “슬픔이 눈물이 아니라 칼이라는 것”(「슬픔을 위하여」)을 깨닫는 시인은 이제 슬픔을 넘어서 삶의 고통을 벗어나려는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세상의 모든 슬픔이 아름다움으로 빛나는 세상을 꿈꾸는 간절함 속에서 “자신의 눈물로 온몸을 녹이며/인간의 희망을 만드는 눈사람”(「눈사람」)을 기다리며 시인은 “슬픔으로 가는 저녁 들길에”(「슬픔으로 가는 길」) 서서 “모든 사람들의 눈물이 끝날 때까지”(「눈길」) 어둠의 시대를 밝히는 희망의 불꽃을 지핀다. 내 진실로 슬픔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슬픔으로 가는 저녁 들길에 섰다./낯선 새 한마리 길 끝으로 사라지고/길가에 핀 풀꽃들이 바람에 흔들리는데/내 진실로 슬픔을 어루만지는 사람으로/지는 저녁 해를 바라보며/슬픔으로 걸어가는 들길을 걸었다./기다려도 오지 않는 사람을 기다리는 사람 하나/슬픔을 앞세우고 내 앞을 지나가고/어디선가 갈나무 지는 잎새 하나/슬픔을 버리고 나를 따른다./내 진실로 슬픔으로 가는 길을 걷는 사람으로/끝없이 걸어가다 뒤돌아보면/인생을 내려놓고 사람들이 저녁놀에 파묻히고/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 하나 만나기 위해/나는 다시 슬픔으로 가는 저녁 들길에 섰다(「슬픔으로 가는 길」 전문) 『슬픔이 기쁨에게』는 한국 서정시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리매김한 정호승 시의 출발점으로서 초기 시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준다. 1970년대를 대표하는 빼어난 시집이자 한국 시문학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이 소중한 시집은 강한 흡인력으로 문학의 저변 확대에도 크게 기여했다. 특히 표제작 「슬픔이 기쁨에게」는 문학교과서에 실릴 만큼 널리 애송되고 있다. 세월은 가도 시는 남는 법. 무릇 좋은 시는 언제 읽어도 우리의 가슴을 울리는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 아니겠는가.

Collections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