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시인 피츠제럴드에 의해 재탄생한 페르시아의 4행시
지식을만드는지식 큰글씨책은 약시나 노안으로 독서에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만든 책입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책은 모두 큰글씨책으로 제작됩니다.
밥 딜런도 노래 가사에 사용한 루바이
<<루바이야트>>의 시편들은 T. S. 엘리엇,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등 여러 문학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201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밥 딜런의 노래 가사에도 여러 차례 인용되었다.
“열네 살 무렵 내 주위에 놓여 있던 피츠제럴드의 ≪오마르≫를 우연히 집어 들었던 그 순간을, 그리고 그 시가 내게 펼쳐 보인 감정의 새 세계로 압도당한 채 끌려들어 갔던 것을 아주 또렷하게 기억한다. 그것은 느닷없는 개종과도 같은 것이었다. 이 세계는 눈부시고 유쾌하고 고통스러운 색깔로 채색되어 새롭게 나타났다.”-T. S. 엘리엇(영국 시인, 1948년 노벨문학상 수상), ≪시의 용도와 비평의 용도≫
“어쩌면 1857년경에 오마르의 영혼이 피츠제럴드의 영혼 속에 자리를 잡았던 듯하다. ≪루바이야트≫에서 우리는 우주의 역사란 신이 구상하고 무대에 올리고 지켜보는 장관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런 관념은(전문 용어로는 범신론이라고 하는데) 우리로 하여금 피츠제럴드가 오마르를 재창조할 수 있었다고 믿게 만들어 줄 것이다. 왜냐하면 두 사람 다 본질적으로는 신이거나 신의 순간적 얼굴들이기 때문이다. (…) 어떤 합작이건 다 신비롭다. 피츠제럴드와 오마르의 합작은 훨씬 더 신비하다. 두 사람은 서로 달랐고, 어쩌면 살아생전에는 벗이 되지 못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죽음과 변천과 시간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알게 만들고 그들을 하나의 시인이 되게끔 묶어 주었던 것이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아르헨티나 시인, 소설가, 1980년 세르반테스상 수상), <에드워드 피츠제럴드의 수수께끼>
여가 시간에 흥겹게 놀며 짓던 즉흥시 ‘루바이’
페르시아 니샤푸르 태생의 11∼12세기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오마르 하이얌은 19세기 영국 시인 피츠제럴드가 번역한 시집 ≪루바이야트≫의 원작자다. 페르시아어 ‘루바이’는 ‘4행시’를 뜻하고, ‘루바이야트’는 그 복수형으로 ‘4행시 모음’을 말한다. ‘루바이야트’는 페르시아 시에서 오래된 시 형식의 하나이긴 하지만 특별히 중요하게 여겨지진 않았다. 시인들과 교육 수준이 높은 이들은 여가 시간에 루바이를 재미 삼아 짓거나 벗들과 흥겹게 저녁 시간을 보내며 즉흥적으로 짓곤 했다. 이 때문에 하이얌의 루바이야트가 당대에 중요한 작품으로 인식되지 않았던 것 같다. 또한 페르시아 문학 전통에서 루바이야트는 개별 루바이들의 모음에 불과했고, 따라서 어떤 일관된 스토리나 연속성을 갖춘 것은 아니었다. 피츠제럴드는 루바이의 압운 체계를 따르면서도 좀 더 관례적인 영국 시의 리듬과 율격을 활용했다. 하이얌의 루바이들을 번역하면서 그가 활용한 4행 연은 영시에서 ‘루바이야트 4행 연’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원작자 오마르 하이얌과 번안자 피츠제럴드의 쌍둥이 영혼
피츠제럴드는 하이얌의 루바이들 중 마음에 드는 것들을 골라 번역했다. 그는 하이얌의 정신과 정서를 살리면서도 자신만의 방식으로 새로운 시를 재창조했다. 피츠제럴드의 ‘자유로운’ 번역을 비판해 온 많은 학자들조차도 그가 빼어난 시를 창조해 냈을 뿐만 아니라 원시의 정신 속으로 들어가는 데 성공했음을 인정했다.
서구의 한 페르시아 문학 연구자는 피츠제럴드의 ≪루바이야트≫가 가진 강렬함에 주목하면서 피츠제럴드가 하이얌에게서 ‘쌍둥이 영혼’을 발견하고 동질감을 느낀 감수성의 결과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두 개의 필사본을 토대로 35편을 번역한 피츠제럴드는 1858년 초에 ≪프레이저 매거진≫에 번역 원고를 보냈지만 회답이 없자 도로 돌려받았다. 이후 40편을 더 번역한 그는 1859년 초에 버나드 쿼리치 출판사에서 ≪오마르 하이얌의 루바이야트≫라는 표제 아래 익명으로 250부를 자비로 발간했다. 그렇지만 발간된 직후 거의 주목받지 못하자 서점 주인이자 발행인인 쿼리치는 결국 이 시집의 재고본들을 ‘1페니 떨이본 박스’에 따로 치워 두었다. 그러다가 2년 후 우연히 이 시집을 발견한 두 명의 문인이 친구 로제티와 스윈번에게 보냈고, 라파엘 전파 문인·화가 그룹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로써 이 시집은 이후 널리 알려져 대중의 인기를 끌었다.
불확실한 삶,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도주가 있어 행복
원작자 하이얌과 번역자 피츠제럴드가 함께 관심을 기울였던 문제는 삶의 불확실성에 관한 것이었다. ≪루바이야트≫ 초판본이 발간된 1859년은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과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에 관해≫가 발간된 해이기도 하다. 종교적·철학적 체계에 회의적인 눈길을 던질 수밖에 없었던 당대인들에게 피츠제럴드의 유려한 번역을 통해 재해석된 하이얌의 사색은 불확실하긴 하지만 삶과 우주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 시들은 삶의 덧없음에 대한 슬픔과 감각적 쾌락이라는 두 축을 매혹적으로 직조하고 있다. 인간은 이 세상에서 왜 고통을 감내하고 살아가야 하는지 알지 못하지만 지금 당장 내 눈앞에 사랑하는 사람과 아름다운 장미꽃과 향기로운 포도주가 있으니 행복하지 않은가? 이러한 메시지는 시집이 발간된 지 160년이 지난 지금까지 전 세계에서 끊임없이 읽히고 갖가지 형태로 변주되고 있는 이유를 뚜렷하게 말해 준다.
19세기 영문학 연구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