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서장 두 개의 전후/전후 민주주의의 언어/언설과 심정에 대해 1부 1장 윤리의 초토화 전쟁과 사회 상황 분파주의와 무책임/군수 공장의 실태/조직 생활과 통제 경제/지식인들/학도병의 경험/전후의 시작 2장 총력전과 민주주의 마루야마 마사오, 오쓰카 히사오 애국으로서의 민주주의/근대에 대한 재평가/국민주의의 사상/초국가주의와 국민주의/근대적 인간 유형의 창출/대중에의 혐오/굴욕의 기억 3장 충성과 반역 패전 직후의 천황제 전쟁 책임의 추궁/어느 소년병의 천황관/천황 퇴위론의 대두/공산당의 애국/주체성과 천황제/무사도와 천황의 해방/천황 퇴위와 헌법/퇴위론의 종식 4장 헌법 애국주의 제9조와 내셔널리즘 내셔널리즘으로서의 평화/환영받은 제9조/순응으로서의 평화주의/공산당의 반대론/국제 공헌의 문제 5장 좌익의 ‘민족’, 보수의 ‘개인’ 공산당·보수계 지식인 회한과 공산당/공산당의 애국론/전쟁과 리버럴리스트/올드 리버럴리스트/개인을 내세우는 보수/세대의 차이 6장 민족과 시민 정치와 문학 논쟁 개인주의의 주장/전쟁 체험과 이기주의/근대의 재평가/공산당의 근대주의 비판/고바야시 히데오와 후쿠다 쓰네아리/시민과 난민 2부 7장 가난과 단일 민족 1950년대의 내셔널리즘 격차와 내셔널리즘/아시아의 재평가/반미 내셔널리즘/공산당의 민족주의/1955년의 전환/사의 변용/사랑하는 조국의 의미 8장 국민적 역사학 운동 이시모다 쇼, 이노우에 기요시, 아미노 요시히코 외 고립에서 탈출하기/전후 역사학의 출발/계몽에서 민족으로/민족주의의 고조/역사학의 혁명/운동의 종언 9장 전후 교육과 민족 교육학자·일교조 전후 교육의 출발/전후 좌파의 신교육 비판/아시아를 향한 시각/공통어 보급과 민족주의/애국심의 연속/정체기의 도래 10장 피로 물든 민족주의의 기억 다케우치 요시미 정치와 문학의 관계/저항으로서의 12월 8일/전장의 악몽/두 개의 근대/국민 문학의 운명 11장 자주독립과 비무장 중립 강화 문제에서 55년 체제까지 1950년의 전환/미국의 압력/내셔널리즘으로서의 비무장 중립/아시아에 대한 주목/유엔 가입과 배상 문제/55년 체제의 확립 12장 60년 안보 투쟁 전후의 분기점 샌프란시스코 체제라는 족쇄/5월 19일의 강행 채결/전쟁의 기억과 애국/새로운 사회 운동/시민의 등장/사심 없는 운동/투쟁의 종언 13장 자본주의가 이루어 낸 19세기 세계화 8장 세계화의 재구성 9장 자본주의의 미래는 있을까? 10장 맺음말 3부 13장 대중 사회와 내셔널리즘 1960년대와 전공투 고도 경제 성장과 대중 내셔널리즘/전쟁 체험의 풍화/평화와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신좌익의 민족주의 비판/전공투 운동의 대두/베트남전 반대 운동과 가해 14장 ‘공적인 것’의 해체 요시모토 다카아키 전중파의 심정/초월자와 가족/신에 대한 증오/전쟁 책임의 추궁/뒤틀림의 구조와 대중/안보 투쟁과 전사자/국가에 대항하는 가족/전사로부터의 이탈 15장 시취에 대한 동경 에토 준 죽음의 세대/몰락한 중산 계층의 소년/죽음과 생활자/시취를 풍기는 1960년 안보/미국에서의 메이지 발견/환상의 사자들 16장 죽은 자의 월경 쓰루미 ??스케, 오다 마코토 위안소 대원으로서 체험한 전쟁/근저에의 지향/새로운 조직론의 발견/난사의 사상/부정형의 운동/국가와 탈주 결론 전쟁 체험과 전후사상/전후사상의 한계점/전쟁 체험의 다양성/제3의 전후/호헌에 대해서/언설의 변천과 이름 없는 것 원주 후기 옮긴이 후기 인명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