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 브리스트

테오도어 폰타네 · Novel
43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48)
0.5
4
5
Rate
3.4
Average Rating
(48)
Comment
More

디킨스, 새커리, 플로베르와 더불어 사실주의의 대가로 평가받는 폰타네의 대표작. 토마스 만에게 "유럽 산문의 보배이며 서술문학의 행운이자 영예"라는 극찬을 받았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작품이다. 당시 출간된 지 채 1년도 안 되어 5쇄가 발간될 만큼 큰 인기를 끌었으며, 지금까지 네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졌다.폰타네는 60세를 목전에 둔 1878년 첫 소설 <폭풍 전야>를 발표한 이래 총 18편의 소설을 남겼는데 대부분이 당시의 사회 현실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에피 브리스트> 역시 당시의 실화를 토대로 한 소설로, 어머니의 권유로 철모르는 17세의 나이에 결혼한 무남독녀 에피 브리스트의 결혼생활을 그리고 있다. 간통을 소재로 19세기 후반 귀족 계층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삶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안나 카레니나>, <보바리 부인>과 함께 결혼 이야기 3부작으로 꼽힌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4(48)
0.5
4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4

Table of Contents

에피 브리스트해설. 사랑과 결혼, 그 치명적인 경계테오도어 폰타네 연보

Description

19세기 독일 사실주의 문학의 대가 테오도어 폰타네의 대표작가장 훌륭한 소설을 엄선하여 열두 권, 열 권, 아니 여섯 권을 고르라고 한다면 『에피 브리스트』를 빠뜨릴 수 없다. _토마스 만디킨스, 새커리, 플로베르와 더불어 사실주의의 대가로 평가받는 폰타네의 대표작 『에피 브리스트』는 토마스 만에게 “유럽 산문의 보배이며 서술문학의 행운이자 영예”라는 극찬을 받았을 정도로 완성도 높은 작품이다. 당시 출간된 지 채 1년도 안 되어 5쇄가 발간될 만큼 큰 인기를 끌었으며, 지금까지 네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진 데서 볼 수 있듯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인기를 잃지 않고 있다. 폰타네는 60세를 목전에 둔 1878년 첫 소설 『폭풍 전야』를 발표한 이래 총 18편의 소설을 남겼는데 대부분이 당시의 사회 현실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에피 브리스트』 역시 당시의 실화를 토대로 한 소설로, 어머니의 권유로 철모르는 17세의 나이에 결혼한 무남독녀 에피 브리스트의 결혼생활을 그리고 있다. 간통을 소재로 19세기 후반 귀족 계층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삶을 보여주는 이 소설은 『안나 카레니나』『보바리 부인』과 함께 결혼 이야기 3부작으로 꼽히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문제인 결혼과 사랑, 여성의 지위, 나아가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냉혹한 사회, 살아 숨쉬는 욕망그 경계에서 스러져가는 한 여성의 삶에 대한 시선토마스 만은 폰타네의 소설『에피 브리스트』를 엄선한 가장 훌륭한 소설 6권 안에 반드시 넣어야 하는 작품으로 꼽는다. 60세가 다 되어 첫 소설을 발표하고 80세를 앞두고 작가로서 최고의 기량을 드러낸 폰타네는 소설에서 모든 일을 공정하게 바라보고 너그럽게 이해하는 온화함과 함께, 앞을 내다보는 현명하고 넓은 시야를 보여준다. 그의 객관적인 서술 형식은 잘못을 저지른 인물을 결과만 보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맥락 속에서 보면서 스스로 판단하게 해준다. 작가가 77세가 되는 1895년 단행본으로 출간된『에피 브리스트』는 그의 소설의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준다.실화를 토대로 한 이 작품은 한 여인의 간통 사건을 통해 인간의 자연스러운 마음과 사회의 갈등을 직접적인 개입을 극도로 자제하는 특유의 담담한 필치로 그리고 있다. 폰타네는 평범한 등장인물들이 집에서 혹은 소풍, 사교 모임, 연극 공연 등을 계기로 나누는 일견 사소해 보이는 대화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갈등 관계를 짚어내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마음의 순수한 요구를 따르려는 주인공 에피 브리스트는 사회의 인습과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으며, 소설에서는 사회의 인습이 승리를 거두지만 이미 사회는 도덕적인 힘을 상실한 부당한 것으로 폭로된다.간통을 소재로 19세기 후반 프로이센 귀족 계층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보여준 폰타네의 소설은 우리에게 결혼과 사랑, 여성의 지위, 더 나아가 인간과 사회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해준다. 이 점에서 폰타네의 소설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의미를 갖는다.

Collection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