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시인의 말 1부 의미심장(意味深長) 하문(下問) 1 하문(下問) 2 가난을 모시고 담장 가을 저녁의 말 고대(古代) 호수 장마 끝물 나의 유산은 옛집에 들어 오솔길을 염려함 2부 중년 불임 큰 눈 가라앉는 발자국들 수로(水路)에서 무쇠 솥 독강에서 탑(塔) 바람과 더불어 하나 난롯가 저물녘 모과의 일 초당에 가서 해변의 자화상 들판에서 고창 선운사 다시, 오래된 정원 다랑이길 파도 소리 성(城) 정자의 주춧돌을 세우며?이상에게 나의 불빛 옥수수밭의 살림 시월의 석류?평창의 김도연 아코디언 물미역 씻던 손 축소 인쇄 안견의 를 펴놓고 3부 기차 법문 냉이야 냉이야 수월(水月) 스님 낙법(落法) 발굴(發掘) 와운산방(臥雲山房) 노래가 되기는 멀었어라 빈방 남지암(南枝庵)을 기록함 탱자 향기 물과 빛과 집을 짓는다 생활 벌 치는 사람 첫눈을 기다림 어찌하여 민들레 노란 꽃은 이리 많은가? 민화 동화(童話) 안부 망명 생일 술래 3 물의 여정(旅程) 입적(入寂) 시월(十月) 해설 | 호젓함을 모시다 | 엄경희(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