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장 아이들은 화면에 ‘중독’된 걸까 ◆ “스마트폰을 부수는 건 나를 부수는 것” ◆ N세대가 낳은 N세대 ◆ 온라인이 세상을 집어삼킨다? ◆ 화면이 실제 삶보다 중요하다면 ◆ “‘보정’을 법으로 규제하라” ◆ 가짜 이름이 ‘내 이름’이 될 때 ◆ 온라인의 숫자와 오프라인의 숫자 ◆ 화면 속에서 ‘삶’을 찾는 사람들 ◆ 화면을 통해 ‘기회’를 보는 세대 ◆ 그들의 화면은 꺼지지 않는다 2장 인공지능 이후의 세상 ◆ AI와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 ◆ “그거 인공지능 합성 아냐?” ◆ 더 이상 유일하지 않은 인간 ◆ 구글 30퍼센트, 애플 20퍼센트 ◆ 거스를 수 없는 변화 앞에서 ◆ 변함없는 가치는 무엇인가 ◆ 세상을 ‘만드는’ 사람들 ◆ 온라인을 타고난 아이들의 세상은 3장 인생은 게임처럼, 게임은 인생처럼 ◆ 게임은 도피처에 불과한가 ◆ 우리는 왜 게임에 몰입하는가 ◆ 로블록스, 게임이자 생활이 되다 ◆ 과연 어디까지 게임인가 ◆ 게임의 소셜미디어화 ◆ 나를 둘러싼 ‘게임스러운’ 세상 ◆ 게임이라는 조기교육 ◆ 화면에서 현실을 배우다 ◆ 자퇴와 창업이라는 ‘경로 이탈’ ◆ 이기적인 게 아니라 보수적인 것 ◆ 게임과 함께 성장하는 세대 4장 화면은 외로움을 조장하는가? ◆ 기이한 친족 만들기 ◆ 화면이라서 외롭지 않아 ◆ 초개인화와 세계화의 연결망 ◆ 또 다른 정체성, 마음의 자전거 ◆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수 있다” ◆ 온라인은 연대의 공간이 되고 ◆ 새로운 종교와 사회적 결속 ◆ 관계를 점유하려는 플랫폼의 등장 ◆ 정말로 화면만의 문제인가 5장 화면에 의존하며 살아도 될까 ◆ 가난할수록 화면친화적이다? ◆ 화면친화성 vs 화면의존성 ◆ 미래 세대를 길들이는 온라인 ◆ 점점 인간적으로 진화해온 화면 ◆ 종이 지도를 모르는 세대의 등장 ◆ 어디까지 ‘화면 의존’이라 볼 수 있나 ◆ 화면은 비싸게 팔리고 있다 ◆ 내 것이지만 내 것이 아니었다? ◆ 기계와 합체하는 버추얼 크리에이터 ◆ NPC에도 인공지능이 탑재되는 미래 ◆ 스스로 질문의 답변자가 돼야 한다 6장 지속가능성을 위한 저항 ◆ “부모님 계정에서 제 사진 지워주세요” ◆ 화면과 중독의 상관관계 ◆ 꿈조차 온전히 내 것일 수 없다면 ◆ 지금까지와 다른 길은 가능할까? ◆ ‘저의 잘못을 고백합니다’ ◆ 이대로는 어두운 미래뿐일지 몰라 ◆ 저울의 반대편에 서는 사람들 ◆ 인간 문명의 종말? ◆ 다시, 균형을 잡아야 할 때 7장 나다움을 찾는 N세대를 위하여 ◆ 노력의 배신 ◆ 정해진 답이 지배하는 사회 ◆ ‘유능한 답변 기계’를 이길 수 있나 ◆ “모든 걸 다 느껴버린 것 같아요” ◆ 인간은 확률적 앵무새가 아니다 ◆ 학교 밖에서 생존하기 위한 학습 ◆ 질문하는 기회가 주어질 때 ◆ 오픈월드에서 살아남기 ◆ 실패하며 배울 수 있는 자유 ◆ 나다움을 향해 페달을 밟으며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