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고 바라옵건대

김주영 and 4 others · Novel/Fantasy
22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5(70)
0.5
3.5
5
Rate
3.5
Average Rating
(70)
Comment
More

안전가옥 옴니버스 픽션 시리즈 FIC-PICK의 일곱 번째 책. 《원하고 바라옵건대》는 상상 속 동물인 ‘신수’ 즉, ‘신령스러운 짐승’을 소재로 쓴 다섯 편의 소설을 묶은 앤솔로지다. 2021년 《On the Origin of Species and Other Stories(종의 기원과 그 외의 이야기들)》로 전미도서상 번역 문학 부문 후보에 오른 김보영 작가를 필두로, 동시대 작가 중에서 가장 깊이 있고 개성 있는 작품을 쓰는 이수현, 위래, 김주영, 이산화 작가가 각각 ‘호랑이’, ‘용’, ‘맥’, ‘진묘수’, ‘곤’을 택해 SF와 환상문학, 역사소설과 모험소설의 장르적 재미와 완성도를 고루 갖춘 수작을 완성했다. 때로는 무섭고 심술궂지만, 어떤 면에선 귀엽고 엉뚱하기까지 한 신수들과 당차고 솔직한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다섯 편의 소설은 일상과 환상이 만나는 지점을 황홀하게 그려내며 더없이 새로운 독서의 경험을 선사한다. 인간은 인간성을 잃지 않고, 신수 또한 신수성을 잃지 않으면서, 겨울밤처럼 차고 명징한 주옥같은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5(70)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9

Table of Contents

김보영 〈산군의 계절〉 이수현 〈용아화생기(龍芽化生記)〉 위래 〈맥의 배를 가르면〉 김주영 〈죽은 자의 영토〉 이산화 〈달팽이의 뿔〉 작가의 말 프로듀서의 말

Description

기묘하고 괴이한 다섯 편의 신수 이야기 안전가옥 옴니버스 픽션 시리즈 FIC-PICK의 일곱 번째 책. 《원하고 바라옵건대》는 상상 속 동물인 ‘신수’ 즉, ‘신령스러운 짐승’을 소재로 쓴 다섯 편의 소설을 묶은 앤솔로지다. 2021년 《On the Origin of Species and Other Stories(종의 기원과 그 외의 이야기들)》로 전미도서상 번역 문학 부문 후보에 오른 김보영 작가를 필두로, 동시대 작가 중에서 가장 깊이 있고 개성 있는 작품을 쓰는 이수현, 위래, 김주영, 이산화 작가가 각각 ‘호랑이’, ‘용’, ‘맥’, ‘진묘수’, ‘곤’을 택해 SF와 환상문학, 역사소설과 모험소설의 장르적 재미와 완성도를 고루 갖춘 수작을 완성했다. 우리를 인간답게 하는 신묘한 존재들의 이야기 신수 이야기에서 인간은 대부분 신수의 영험함에 의해 구원받는 단순한 존재로만 그려진다. 하지만, 《원하고 바라옵건대》 속 인간은 전혀 다른 방식으로 묘사된다. 다섯 신수들이 제각각 역사의 한 장면과 현대의 동물원에서, 오래된 시골 마을이나 어느 허름한 슈퍼마켓에서, 심지어 바다의 한가운데에서 다양한 시대와 장르의 옷을 입고 생동감 있게 등장하듯이, 그들의 짝으로 나오는 인간 또한 능동적이고 당차며 살아 있는 존재로 등장한다. 신수와 인간은 상호작용하며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고, 때론 적이었다가 때론 공생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서로를 구원하고 성장시키는 존재가 되기도 한다. 때로는 무섭고 심술궂지만, 어떤 면에선 귀엽고 엉뚱하기까지 한 신수들과 당차고 솔직한 인간들이 만들어내는 다섯 편의 소설은 일상과 환상이 만나는 지점을 황홀하게 그려내며 더 없이 새로운 독서의 경험을 선사한다. 인간은 인간성을 잃지 않고, 신수 또한 신수성을 잃지 않으면서, 겨울밤처럼 차고 명징한 주옥같은 이야기들 속에서 인간인 우리는 신수를 통해 비로소 인간다워진다. “너는 내가 젖 먹여 키운 아이니, 오래오래 잘 살아야 한다.” (김보영, 〈산군의 계절〉) 동천왕의 어머니인 ‘후녀’와 ‘산군 밀우인 호랑이’의 이야기로, 산천의 주인인 위대한 ‘산군’과 더 없이 용감한 한 ‘소녀’의 긴 인연을 다루고 있다. 다르게 말하면 ‘산군 밀우’의 좌충우돌 후녀 육아기이기도 하고, 산군에게서 길러졌지만 결국 스스로의 힘으로 목숨을 지켜내는 ‘후녀’의 생존 분투기이기도 하다. 또, 어떻게 보면 왕위를 둘러싼 왕후 우은현과 산상왕의 권력 쟁탈전 사이에 놓이게 된 ‘산군’과 ‘후녀’의 이야기이기도. 200여 년간 나라를 위해 전장에 나가고, 인간들의 지리한 혈통 전쟁을 봐 온 ‘산군 밀우’이지만, 후녀의 사랑스러운 기백에는 두 손 두 발을 들고 항복하고야 만다. 그렇게 후녀는 ‘산군 밀우’의 젖을 물고 자라게 되고, 아홉 살 무렵에는 기척을 숨기고 냄새를 지우는 법도 배운다. 후녀가 어느 정도 크자 ‘산군 밀우’는 후녀와 조금 떨어져 멀리서 지켜보기만 한다. 그렇게 혼자가 된 후녀는 연고 없는 아이들이 주로 하던 수묘인이 되고, 어느 날엔 무당의 점지로 저승 시녀로 발탁된다. 하지만, 다행히도 ‘산군 밀우’의 “오래오래 살거라”라는 축복이 명령이 되어 후녀는 기지를 발휘해 잠시 시간을 벌게 된다. ‘산군 밀우’가 그다음 후녀의 소식을 들은 건 그녀가 스물둘이 되던 때다. 그리고 그때 후녀는 제사장이 놓친 교시를 잡아 왕과 마주하게 된다. 왕은 후녀에게 고구려의 태모가 되라고 하고, 왕후는 후녀를 쫓아 병사들을 보낸다. 그리고 그동안 왕후의 일을 해주었던 ‘산군 밀우’는 뒤늦게 후녀를 구하기 위해 달려간다. ‘후녀’는 무사할 수 있을까? ‘산군 밀우’는 무사할까? 뜨겁고 차가운 숨처럼, 소설은 전설의 고향처럼 읽히다가, 역사 드라마처럼 변신했다가, 무게감 있고 단정한 소설로 다가온다. ‘후녀’는 산다. 혈통의 전쟁과 여러 음모와 암투를 지나서. 참으로 다행스럽게도. “용은 제가 태어난 곳을 이해한 다음에 허물을 벗고 날아올라야 하지.” (이수현, 〈용아화생기(龍芽化生記)〉) 가뭄에 시달리는 어느 마을. 청년 ‘규’는 평소처럼 가파른 산길을 올라 연못에 다다른다. 한여름에도 얼음장처럼 차갑고, 한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신비로운 못 ‘용소’. 하지만 바로 그때, 규의 앞에 초록색 옷을 두른 사람이 나타나 호통을 친다. 자기 집에서 무얼 하고 있느냐는 거다. 선녀인 줄 알고 고개를 조아리던 규에게 그는 자신이 선녀가 아니고 ‘용’이라고 말한다. 용은 신령한 동물이라, 화생(化生)을 한다. 즉, 처음부터 용으로 태어나는 게 아니라, 다른 동물로 태어났다가 오랜 수련으로 몇 단계의 변화를 거쳐 용이 되는 것이다. 용이 될 자질을 타고난 짐승을 용의 싹이라 하여 용아(龍芽)라고 불렀다. ‘용아’가 이 용소에서 도마뱀으로 태어난 것은 벌써 몇백 년 전의 일이었다. 인간에게는 아주 긴 시간이지만, 용아의 성취는 아주 빨랐다. 무서운 속도로 훼룡이 되고, 교룡이 되고, 반룡이 되었다. 결국 마지막 단계인 승천만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상하게 승천이 잘 되질 않았다. 승천에 실패해 꼴사납게 하늘에서 떨어지다가 만난 게 ‘규’였다. 우리는 ‘규’와 ‘용아’의 만남이 서로에게 원하는 걸 주지 않을까 하고 기대하며 소설을 읽게 된다. 규에겐 ‘가뭄’이 용아에겐 ‘승천’이 그거다. 하지만 작가는 이 소설을 인간의 관점이 아닌 신수의 관점에서 끌고 간다. 소설의 끝에서 우리는 ‘규’의 비극적인 결말과 그런 ‘규’를 바라보는 ‘용아’의 시선을 통해, ‘신수’와 ‘인간’이 얼마나 다른지를 깨닫는다. 하지만, 이 소설을 단순히 비극이라 부를 수 있을까. 희극인가 하면 역시 그렇지 않다. 모든 건 ‘인간’의 눈이 아닌 ‘신수’의 눈, 그러니까 ‘용’의 눈으로 바라보아야 하기에. “비참한 사람만이 꿈을 꾸잖아.” (위래, 〈맥의 배를 가르면〉) 아무도 없는 놀이공원을 가로지르는 다섯 사람이 있다. 그들의 발길이 닿은 곳엔, 코끼리를 닮아 툭 불거진 코와 하마를 닮아 투실한 몸뚱이, 그리고 곰처럼 둥근 귀를 한 아메리카 테이퍼가 있다. ‘맥’이라고 부르는. ‘너’와 동료들은 오늘 ‘맥’을 죽이러 동물원에 왔다. 월간지 기자인 ‘너’는 편집장에게 재미있는 기사를 써 내라는 압박을 몇 달째 받고 있었다. 그러던 중 너는, 자신들의 꿈이 상상 속 동물인 ‘맥’에 의해 잡아먹혔다고 믿는 ‘몽상가들’이라는 SNS 비밀 모임을 알게 되었다. 도시 전설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출처가 명확했다. 너는 트위터에 맥 목격담을 지어내 트윗을 올렸고, 곧 DM이 왔다. 너는 아메리카 테이퍼의 꿰뚫린 아랫배를 살폈다. 아메리카 테이퍼의 배에선 피 대신 손가락이 나와 상처를 위아래로 잡아당겼고, 곧 끔찍한 것을 토해 냈다. 꿈이었다. 그리고 곧 온 세상은 꿈과 뒤섞였다. 〈맥의 배를 가르면〉은 ‘꿈’에 대한 이야기다. 소설을 읽다 보면 무엇이 ‘꿈’이고 무엇이 ‘현실’인지에 대한 질문이 남는다. 무엇이 ‘나’이고 무엇이 ‘너’일까. 무엇이 ‘꿈’이고 무엇이 ‘꿈’이 아닐까. 죽음을 갈망하는 ‘나’와 한 번쯤 제대로 살아보고 싶은 ‘너’의 이야기는 맥의 갈라진 배를 통해 모래시계처럼 뒤집힌 채 서로를 비춘다. 소설을 쓸지, 다시 맥의 배를 가를지, 이제 어떻게 할지 결정하는 건 결국 누구의 몫일까? “저승 일은 모르겠고.” (김주영, 〈죽은 자의 영토〉) 죽으면 대대로 저승사자로 일해야 하는 가문의 외동 손녀인 무명은 어느 날 할아버지에게서 이젠 딸들도 대를 이어 저승사자로 일해야 한다는 얘기를 듣는다. 하지만 아끼는 손녀가 저승에서 노동력을 착취당하는 꼴은 못 보겠다는 할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무명은 이름을 바꾸고 전국을 떠돌아다니게 된다. 어느 날, 배달 노동자로 일하던 무명은 한 아파트로 피자 배달을 가지만 주인여자는 피자를 시킨 적이 없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때 무명의 눈에 해골처럼 삐쩍 마른 대여섯 살짜리 남자애가 들어온다. 하지만 이상한 일은 계속된다. 주문 실수라 생각한 무명이 영수증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