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요즘 육아 금쪽같은 내 새끼> 오은영 박사의 신간! 금쪽같은 아이, 금쪽같은 부모 모두가 행복해지는 마음맞춤 육아비법 아이 마음이 궁금한 부모를 위한 오은영의 ‘특급 금쪽처방’을 만나다! 오은영 박사가 부모들에게 자주 듣는 말이 있다. “집에서 물어보면 다 모르겠다고 하는데, 원장님 앞에서만 오면 얘가 별 이야기를 다 하네요.” 방송에서든 병원에서든 아이들은 오은영 박사 앞에서는 학교생활이든 친구 관계든 부모에 대한 생각이든 시시콜콜 말한다. 왜 그러는 걸까? 비밀은 바로 소통의 방식이다. 소통방식에 따라 아이들은 자신의 생활을 더 공개하고 싶기도 하고, 더 감추고 경계하고 싶어지기도 한다. 이 책은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들이 가장 답답해하는 주제 58가지를 뽑아 그 소통에 대해서 친절히 알려준다. 낯가림, 걸음마, 먹는 것, 대소변 가리기, 한글, 동생의 존재, 장난감의 공유, 공정한 규칙, 장난과 괴롭힘, 아침 기상, 학원, 부모 말투, 부부 싸움, 스마트 폰, 게임시간까지 아이의 어려움을 어떻게 알아보고 어떻게 다뤄줘야 하는지 대화법까지 상세히 담았다. 오은영 박사가 말하는 소통의 핵심은 ‘아이의 마음’이다. 아이의 진정한 마음을 알아줘야 한다는 것이다. 마음을 알아줘야 마음이 통하고, 마음이 통해야 아이가 부모의 말을 듣는다. 따라서 이 책에는 오은영 박사의 속 깊은 따뜻한 통찰로 꿰뚫은 아이의 진정한 마음들이 생생하게 실려 있다. 더불어 아이가 스트레스가 넘칠 때 보내는 신호는 무엇인지 그 신호를 어떻게 알아차리고 도와주어야 하는지도 다룬다. 오은영 박사가 부모들에게 아이의 마음속을 전하고 싶은 진짜 이유는, 사실 누구보다도 아이에 대한 부모들의 무한 사랑을 신뢰하기 때문이다. 오박사가 만나 온 부모들은 아이의 진정한 마음을 알게 되었을 때, 하나같이 “저런 마음인 줄 몰랐어요”라고 말하며 눈물을 흘렸다.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지를 스스로 고민했다. 그것이 ‘부모’라는 사람들이 ‘아이의 마음’을 알게 되었을 때 보인 일관된 행동이었다. 아이의 진정한 마음과 부모를 위한 현실육아 특급비법이 함께 담긴 이 책은 주제마다 오은영 박사를 직접 만나 금쪽처방을 받는 듯 느껴질 것이다. 아이 마음이 궁금한 어른들에게 선물 같은 책! 부모들의 ‘1집 1오은영’에 대한 갈증이 조금은 해소되기를…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생각, ‘얘는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 걸까?’, ‘무슨 마음으로 그런 행동을 한 거야?’…. 분명 엄마 반쪽, 아빠 반쪽을 닮을 내 아이지만 아이의 마음은 도통 알 수 없어질 때가 있다. 요즘은 “오은영 박사를 만나야 해” “쟤, 금쪽인가?” “나도 금쪽이야”라는 밈이 생긴 이유도 이 때문인지 모르겠다. 오은영 박사가 금쪽이들 마음의 어려움을 섬세하게 간파하고, 서툰 부모들의 사랑을 자상하게 다듬어주기 때문이다. 이 책에는 ‘아이의 마음’이 가득 담겨있다. 오은영 박사가 30여 년 임상현장에서 직접 만난 아이들의 진짜 마음들이다. 그리고 오랜 임상경험으로 깨달은 아이의 그 마음에 딱 맞는 금쪽같은 육아 비법도 실려 있다. 요즘 부모들은 솔직히 무척 똑똑하다. 어떤 부모들은 전문가 못지않은 육아 지식과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만큼 아이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한다는 것이다. 그만큼 아이를 많이 사랑한다는 말이다. 하지만 그 많은 지식과 정보에도 불구하고 육아는 좀처럼 쉬워지지 않는다. 왜일까? 문제가 있다고 믿어지는 아이들도, 점점 지쳐가는 부모들도 늘고 있다. 왜일까? 오은영 박사는 그 지식과 정보들 안에 ‘아이의 사정’, ‘아이의 마음’, ‘아이의 목소리’가 빠져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우리들이 지금까지 해온 아이의 문제 해결은 어른들의 시각으로, 어른들이 보기에 불편한 문제를 없애주려고만 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른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려고 아이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이들에게 무엇이 불편한지를 묻고, 아이가 좀 더 마음 편하게 생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아이의 문제를 풀지 않았다. 그래서 아이에게는 문제가 아닌데 문제로 보고 과잉 반응한 것도 있고, 아이에게는 정말 심각한 문제인데 별것 아닌 것처럼 지나쳐 버린 것들도 있었다. 그러다보니 육아가 점점 힘들어지고 꼬여간 것은 아닌지. 한 아이가 있었다. 낯선 사람만 보면 울음을 터뜨린다. 부모는 아이가 사람을 많이 만나보지 않아서 그렇다고 생각했다. 더 자주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시켰다. 만나는 사람이 더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하면 아이가 좋아질 거라고 생각했다. 아이는 사람을 많이 만나지 않아서, 상대가 친절하지 않아서 울음을 터뜨리는 것이 아니었다. 낯선 사람은 자신을 해칠 것 같다고 느끼기 때문이었다. 아이는 사람을 많이 만나면 만날수록, 사람들이 친절하고 다정하게 다가오면 올수록 그 해칠 것 같은 위협이 더 강해진다고 느꼈다. 부모가 아이의 낯가림을 없애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아이의 증세는 더 심해졌다. 부모는 육아가 점점 더 힘들어졌다. 오은영 박사는 낯가림이 심한 아이의 마음을 이렇게 설명한다. ‘엄마, 왜 자꾸 나를 모르는 사람들 사이로 데려가는 거예요. 무서워 죽겠어요, 저 사람은 왜 나를 보고 계속 웃어요. 웃으니까 더 무서워요. 어 어 내 손가락을 만지네. 엄마 구해줘요! 나를 해치려나 봐요. 으악! 나보고 저 사람한테 안기라고요? 안 돼! 저 사람한테 안기면 난 죽을지도 몰라요.’ <금쪽이들의 진짜 마음속>을 펼치면 아이의 다양한 마음을 만나게 된다. 때로는 ‘어이쿠, 이런 마음이었어?’라고 놀랄 정도로 당돌하고 발칙하고, 때로는 ‘그동안 미안해서 어떡하지…’라는 마음이 들어 짠하고, 때로는 ‘어머, 귀여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순수하고 솔직하기도 하다. 읽다가 깔깔대기도 하고 순간 찔리기도 하고 왠지 눈물이 찔끔 나기도 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아이의 마음을 알아가면서 ‘아,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라는 생각이 들 때쯤, 오은영 박사는 그녀만의 할 수 있는 특유의 현실육아 비책들을 내놓는다. 그 비책은 늘 그렇듯 대부분 바로 읽고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말부터 행동까지 매우 구체적이다. 하여 지금 육아로 힘든 사람은 물론이고 앞으로의 육아가 걱정되는 사람, 아이의 마음이 궁금한 모든 어른들에게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오은영 박사는 마음을 알아줘야 마음이 통하고, 마음이 통해야 아이가 말을 듣는다고 말한다. ‘마음’이 먼저라는 것이다. 역으로 생각해보면 어떤 아이가 징글징글하게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부모와 징글징글하게 마음이 통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그만큼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그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알게 된다면, 그 아이에게는 그 부모에게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이 책이 부모들에게 동화책에서나 나오는 다른 사람의 마음이 보이는 ‘마법의 구슬’이 되기를, 그래서 우리 부모들이 아이들과 마음 꼭 맞는 사랑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소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