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왜 법을 알아야 할까? 1장 법은 왜 생겼을까? 1. 법이 없는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법이 사라진 사회, 〈파리 대왕〉 난파된 배에서 식인으로 살아남은 사람들 2. 법, 제멋대로인 왕권을 제한하다 로빈 후드, 존 왕과 마그나 카르타 시민혁명이 일어나다: 영국 명예혁명, 미국 독립혁명, 프랑스 대혁명 2장. 법과 근대 사회의 탄생 1. 시민혁명의 사상적 뒷받침, 사회 계약설 홉스: 왕의 권력은 사회와의 약속에 의해 부여된다 로크: 사유 재산권을 위해 사회 계약을 맺다 루소: 개인과 개인이 속한 공동체 간에 사회 계약을 맺다 2. 시민혁명 이후 이룩된 근대 사회의 모습은?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라 최소한 인간답게 살 권리는 보장하라 경제는 초기 자본주의, 정치는 야경국가 3장. 법이 보호하는 우리의 권리 1. 자유권과 사회권 자유권: 날 내버려둬 사회권: 최소한 인간다운 삶은 보장해 줘 자유권과 사회권 사이에서 2. 평등권, 법 앞의 평등 평등권: 법 앞에서는 누구나 평등하다 재판은 공정해야 해 취업의 평등 vs 고용의 자유 3. 참정권, 사회의 주체로 인정받는 징표 참정권 보장의 역사 모든 사람이 참정권을 가지기까지 4. 청구권, 내 권리를 지켜줘 기본권 보장을 위한 수단 헌법소원 4장. 법이 추구하는 목적 1. 법이 추구하는 ‘정의’란 무엇일까? 아리스토텔레스: 각자에게 그의 몫을! 벤담: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칸트: 침해할 수 없는 보편적 권리가 있어 롤스: 무지의 베일을 쓰고 합의해야 해 2. 권력 분립이 필요한 이유 법이 정의롭지 못한 사회, 그 원인은? 국가 권력은 나누어져야 해: 권력 분립 3. 다수의 의견은 언제나 정의로울까? : 다수에 의해 소수가 희생된다면 플레시 대 퍼거슨 사건: 분리하되 평등하다 캐리 벅 사건: 우생학에 의한 소수의 희생 드레퓌스 사건: 단지 유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5장. 범죄와 형벌 1. 형벌의 목적은 뭘까?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예방과 교화를 위한 형벌: 범죄로 인한 이득 + α 2. 처벌의 어려움 《죄와 벌》, 진짜 형벌은 무엇인가? 아돌프 아이히만, 유죄인가 무죄인가? 3. 생활 속 법과 정의 학교 폭력: 괴롭힘의 이유와 해결 사건을 바라보는 법관이 지켜야 할 원칙 에필로그: 법은 감춰진 것들을 찾는 열쇠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