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

최순우 · Humanities/History/Essay
519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1k)
Rate
3.4
Average Rating
(1k)
평생을 `박물관인`으로 살았으며 이제는 고인이 된 최순우 전 국립중앙박물관장의 선집 중에서 전문적인 논문이나 논술을 제외하고 사색적으로 한국미의 현장을 터치한 글들을 모았다. 난해하지 않으면서 저자의 심미안과 우리 문화에 대한 애정이 돋보이는 글들이다. 50만부가 팔린 베스트셀러를 깔끔한 체제와 컬러풀한 도판으로 새롭게 펴낸 개정판.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3.4(1k)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0+

Table of Contents

개정 신판에 부쳐 초판 서문 - 혜곡 최순우 선생을 기리며 한국의 미와 얼 우리의 미술|건축미에 나타난 자연관|한국의 실내의장|신라 공예송|한국의 탈|한국의 자수병풍|살결의 감촉 - 도자기| 고요한 익살의 아름다움|연경당에서|온돌방 장판 맛|후원과 장독대|하늘빛 청자|분청사기의 멋 조선의 회화 조선 초, 중기의 회화 강희안의 '물을 바라보는 선비'|사임당 신 씨의 '수박'|조속의 '나무 위에 앉은 한 쌍의 까치'|이항복 초상 조선 후기의 회화 변상벽의 '고양이와 참새'|조영석의 '장기놀이'|이인상의 '노송도'|정조대왕의 '국화'|이인문의 '산수|김득신의 '대장간'| 김득신의 '파적'|이제 초상|서직수 초상|한국 호랑이 겸제 정선 청풍계도|금강산 만폭동도|비로봉도|통천문암도|낚시하는 노인|인곡유거도 단원 김홍도 봄시내|사민도 중 `상(商)`|고누놀이|무동|군선도|평안감사의 연유도들 혜원 신윤복 미인도|연못가의 여인|월하정인|기방도|밀회|선술집|검문|초당놀이|굿놀이|봄나들이|빨래터 조선 말기의 회화 김정희의 '산수'|조희룡의 '매화서옥도'|김수철의 '송계한담도'|이재관의 '송하처사도'|허련의 '산수'|채용신의'운낭자 초상 전통건축과 공예 전통건축 불국사의 대석단|부석사 무량수전|통도사|창덕궁의 부용정| 경회루의 돌기둥|경복궁의 옛 담장|백제의 무늬벽돌| 신라의 막새기와|신라 보상화무늬 벽돌 공예 황금보관|금 귀걸이|상원사동종|성덕대왕신종|용두보당|익산 왕궁리 석탑 사리장치|송림사에서 나온 관장식| 물가풍경무늬 정병|자개장|삼층 탁자|나전칠기 소나무대나무무늬 빗접| 노리개 불상과 탑 불상 고구려 '연가 칠년'이 새겨진 부처|백제 석조불좌상|금동반가사유상|목조미륵보살반가상|장창골 석조보살입상| 석굴암 본존불|석굴암 십일면관음상|석굴암의 범천상|철조석불좌상|철조불두|한송사 석조보살좌상|안동 제비원 석불 탑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과 공양상|삼척 비석머리 토기와 도자기 신라토기 신라토우|토기 오리 한 쌍|녹유 뼈항아리 청자 청자 연못동자무늬 꽃 모양 대접|청자대나무마디무늬 병|청자보자기무늬 매병|청자 거북이 모양 주전자| 청자 석류 모양 주전자|청자 오리모양 연적|청자 구름학 무늬 매병|청자 참외모양 주전자|청자 모란구름학무늬 배개| 청자 물고기용무늬 병|청자 연꽃무늬 주전자|청자 잎무늬 매병 분청사기 분청사기 모란무늬 편병|분청사기 추상무늬 편병|분청사기 연꽃넝쿨무늬 병|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병| 분청사기 풀무늬 장군|분청사기 넝쿨무늬 대접 백자 백자 모란무늬 병|백자 풀무늬 편병|백자 대나무무늬 항아리|백자 포도무늬 항아리|백자 용무늬 항아리| 백자 달항아리|백자 제비구름무늬 항아리|백자 가을풀무늬 병|백자 낚시무늬 병|백자 연꽃무늬 병|백자 구름용무늬 병|백자 학춤무늬 항아리|백자 목련무늬 사발|백자 국화무늬 병| 백자 국화무늬 병|백자 소나무매화무늬 복숭아 모양 연적|백자 구름학무늬 베갯모

Description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개정신판 깔끔한 체제와 컬러 도판의 新결정판 발간! 서울시 성북구 성북 2동 126-20번지 한갓진 골목에 자리 잡은 ‘최순우 옛집’에는 요즈음 하루 500여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는다. 혜원 신윤복을 주인공으로 삼은 드라마와 영화가 인기를 끌면서 <미인도>를 내놓은 간송미술관의 전시에 인파가 몰리고,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의 ‘시민문화유산 1호’로 보존된 이곳을 들르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자원봉사자들은 방문객들에게 단아하고 정갈한 사랑방을 가리키며 최순우 선생의 명저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가 집필된 곳이라고 설명한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최순우 선생의 전집에서 주옥 같은 글을 추려내 엮은 단행본이다. 회화, 도자, 조각, 건축 등 한국 미술의 전 영역에 걸쳐 작품의 면면을 더듬고, 군더더기 없는 아름다움을 그린 120여 편의 글이 꾸준히 눈 밝은 독자를 찾아갔다. 이 책은 1994년 초판 출간 이래 50만 부가 나갔고, 1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도서출판 학고재는 혜곡 최순우 선생의 유작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새롭게 손질한 개정 신판으로 펴낸다. 그동안 우리의 아름다운 유물을 생생한 컬러 도판으로 감상하고 싶어 하는 많은 독자들의 요청이 있었음에도, 출판사의 여건상 책의 체제를 새롭게 바꾸기가 쉽지 않았는데, 작년부터 차근차근 진행해온 일들이 이제서야 결실을 맺었다. 옛 도판들의 컬러판을 일일이 찾아내는 것도 쉽지 않았고, 선생의 전집에서 새 글을 가려 뽑는 일에도 진지한 숙고가 필요했다. 새로운 개정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작은 활자를 키우고 목차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였으며, 시원하고 깔끔한 편집으로 가독성을 높여 새로운 세대의 독자들을 배려했다. 2. 총 130여 개 흑백 도판을 컬러 도판으로 바꾸었다.(몇 개의 도판은 개인소장품으로 컬러도판을 찾을 수 없었다.) 특히 오랫동안 석굴암과 불국사, 부석사 등 우리나라의 주요 문화재를 전문적으로 찍어온 사진작가 안장헌의 사진으로 석굴암의 본존불과 십일면관음, 부석사의 무량수전 등을 보다 생생한 컬러로 선보인다. 뿐만 아니라 겸재 정선, 단원 김홍도, 혜원 신윤복 등의 회화 작품과 오묘한 청자의 비색을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도판을 실어 최순우 선생의 해설을 더욱 실감나게 이해할 수 있다. 3. 회화 부문에서 구판에 빠져 있던 조선의 초상화(이항복 초상, 이재 초상, 서직수 초상)와 김홍도의 <군선도>, 정조대왕의 <국화>, 추사 김정희와 허련의 <산수> 작품에 대한 선생의 글 등 10꼭지를 더 보충해 조선회화사를 체계적이고 너른 시야로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4. 국립중앙박물관의 새로운 전시용어 체계에 맞추어 표제와 용어 등을 고치고 미술사 용어 등 어려운 어휘에는 간단한 주석을 달았다. 이를테면 강희안의 <고사관수도>는 <물을 바라보는 선비>로, 조속의 <노수서작도>는 <나무 위에 앉은 한 쌍의 까치>로, ‘청자상감과형주자’는 ‘청자 참외 모양 주전자’ 등으로 바꾸어 이해를 쉽게 했다. 다만 우리말로 문화재 용어를 순화하고자 했던 최순우 선생의 선구적인 노력과 그의 독특한 관점이 드러난 명명은 그대로 두었다. 예를 들면 선생이 조선 공예가 보여주는 추상정신을 강조하기 위해 통칭 ‘분청사기조화선조문 편병’을 ‘분청사기 추상무늬 편병’으로 명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즘 세인의 관심을 끌고 있는 혜원의 풍속화에 대해서도 선생의 독특한 해석이 담긴 명칭이 있어 주목할 만하다. 혜원이 ‘비구니가 기녀들을 맞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알려진 작품(통칭 )에 대해 선생은 <봄나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는 점이다.(본문 233쪽) 즉 그림에서 여인들을 맞는 이는 비구니(尼僧)가 아니라 ‘여인들의 아랫도리 흰 속곳을 훑어보고 있는 승려’이며 ‘과거 우리 사회의 남녀군상이 보여주는 생태의 이면상을 보인 것으로 자못 주의를 끌 만하다’고 말한다. 이와 더불어 혜원의 <미인도>도 선생의 눈에 특별한 존재로 비친다.(본문 201쪽) 모두가 그림 속 주인공을 기생으로 보는 데 반해 선생은 ‘지체 있는 선비의 소첩’으로 지목하고 있고, 공민왕의 <노국공주 초상>이 남아 있다면 이 <미인도>와 짝을 이룰 명품이었을 것으로 회고하고 있다. ‘한국미 전도사’ 혜곡 최순우 혜곡 최순우 선생은 한국 미술사학과 미술평론의 토대를 다진 우리 문화사의 거목이었다. 우리 미술과 문화재에 대한 깊은 사랑에다 빼어난 안목과 유려한 문장을 겸비했고, 이 땅이 순산한 아름다움을 성심으로 보듬어안은 ‘정 깊은 감식안’이었다. 그는 1916년 개성에서 태어나 1943년 개성 부립박물관에 들어간 뒤 40년 동안 한결같이 ‘박물관 인생’으로 살았다. 1984년 작고할 때까지 10년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역임하며 ‘한국미술 5천년전’ 등의 대형 해외 전시를 통해 우리 미술을 만방에 퍼뜨린 ‘한국미의 전도사’이기도 했다. 선생은 옛 것에 숨결을 불어넣는 마술사적 문장으로 우뚝하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를 펼치면 ‘연둣빛 무순 향기’ ‘연연하고도 맵자한 앳된 맵시’ ‘백옥같이 갓맑은 살결의 감촉’ 같은 청초하고 감칠맛 나는 표현들이 쏟아진다. 유홍준(전 문화재청장), 이태호(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이원복(국립 전주박물관장) 등 후학들은 선생의 기막힌 문장에 반해 미술사의 길을 걷는 행복을 함께 누린 사람들이다. 최순우의 유작이 남긴 아름다운 이야기들 1992년 학고재가 펴낸 첫 책이 최순우 선생의 전집 5권이었다. <최순우 전집>을 펴낼 당시만 해도 1억 원 이상 들어가는 미술 전집을 내는 건 다들 꺼려했다. 원로 학자들이 최순우 선생의 글로 전집을 묶으려고 하는데 출판사들이 손사래 친다는 이야기를 들은 학고재 우찬규 사장은 갓 시작한 출판사로서 이를 감히 맡겠다고 나섰다. 이 에피소드는 출판계의 미담으로 회자된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전집에서 주옥 같은 글들을 추려내 엮은 단행본이다. 전집의 버거운 분량 때문에 많은 독자들이 쉽게 구입하기가 마땅치 않자, 선생의 글을 좀 더 많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선생의 후학들이 달려들어 단촐한 체제의 단행본을 꾸민 것이다. 아름다운 저자와 아름다운 글에 아름다운 사연이 없을까. 입에서 입으로 호평을 옮긴 초기 독자들은 이 책을 우리 문화재 관련 대표 도서로 자리매김한 일등공신이었다. 문화방송 프로그램 <느낌표!>에 소개된 2002년 새로 ‘보급판’을 펴내면서 단박에 30만 부가 나갔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미술서 시장이 빠르게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고유섭, 김용준 등이 쓴 우리 미술사의 고전들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불러일으켰다. 선생은 부석사의 ‘무량수전’을 일러 “그리움에 지친 듯 해쓱한 얼굴로 나를 반기고, 호젓하고도 스산스러운 희한한 아름다움은 말로 표현하기가 어렵다”고 썼다. 부석사에 간 관광객들이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은 지금도 흔하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는 우리 것을 아끼는 모두가 여전히 기대서고픈 기둥인 것이다.

Collections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