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1 그리스 비극에 관하여- 그리스인들에게 인간의 삶을 묻다 에우리피데스가 신을 불러낸 까닭은: 플롯과 특수 효과 인간이 불행해지는 두 가지 방식: 하마르티아와 휘브리스 페르소나: 인격이 된 가면 2 인형의 꿈- 가상의 존재에 투사한 욕망 허수아비: 허수아비의 정체와 주술적 흔적 벼룩시장에서 태어나다: 마티스의 '영감'에서 네자르의 '작품'까지 죽음과 사랑: 벨머의 인형과 섹슈얼리티 로봇 부처: 언캐니와 호감 사이 기계를 닮은 인간, 인간을 닮은 기계: 우스움과 섬뜩함의 이유 3 언캐니- 죽음에 이끌리다 라스푸틴의 예언: 대제국의 신학적 환상 죽음 앞의 인간: 미시마 유키오의 죽음과 유미주의 에로티즘의 성(聖)과 속(俗): 극단적 공포, 성스런 황홀경과 결합하다 죽음의 충동: 「대사들」과 대상의 응시 시각성의 광기: 근대의 세 가지 시각 체제 4 분변증- 예술의 분변증에 깔린 충동 문명의 스트레스를 배설하라: 모차르트의 분변증적 표현 생명에서 죽음으로: 워홀의 소변과 만초니의 대변 예술, 죽음의 충동을 향하다: 두 개의 유물론 5 성과 육체와 예술- 예술이 육체를 다루는 방식 게이 미학에 관하여: 동성애 예술과 캠프 정체성이라는 문제: 마르셀 뒤샹의 여성적 자아 리펜슈탈의 육체미학: 감성 차원의 파시즘 6 예술과 정치- 예술이 정치에 제시하는 것 우리가 잃어버린 것: 민주주의적 에토스와 사랑 상식의 부재 속에서 소통하기: 공통감에 관하여 자유는 어디에 있는가: 애국과 반체제 논리의 역설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회복과 전환 7 기술미학- 융합 시대의 기술과 예술 최초의 컴퓨터 예술가, 최후의 공산주의자: 가와노 히로시를 추억함 메카니코스: 기술적 한계를 넘어서 마술을 믿습니까: 신중세주의와 디지털 테크놀로지 인문학의 미래: 현대의 대중과 디지털 매체 융합에 관하여: 기술과 예술 영상맹의 시대: 기술적 형상과 그 독해 8 예술가들- 예술에 대해 다시 묻다 허공으로 도약: 클랭의(空)과 선(禪) 빛의 방: '생각'과 '행동' 사이의 체험 세계의 자화상: 거울-회화 신이 없는 신성함: 장소 특정적 예술작품과 그 아우라 박물관은 견고하다: 예술의 무덤 고문을 위한 예술: 어떤 천연덕스러움 컴퓨터의 눈: 사실적이면서 허구적인 구르스키의 사진 사진은 회화처럼: 제프 월의 사진을 통해 본 몽타주의 역사 9 평론에 관하여- 평론의 역할은 무엇인가 평론가라는 기생충: 평론과 인민주의 선동 저자, 비평가, 작가: 롤랑 바르트의 신비평 입법자로서 비평가: 비평가는 누구인가 10 한국미- 한국적 미의 몇 가지 특질 각하의 삽질 미학: 한국적 자연미에 반하는 4대강 사업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에 기대서서: '인위적' 과장과 '자연적' 일탈 우월함은 어떻게 과시되는가: 편두와 구별 짓기 행복해져라 웃음을 통해: 이질적 언어의 공존과 충돌 거기 해방이 있네: 병신춤이라는 원초적 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