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레마의 형이상학

박제철
237p
Where to buy
content
Rate
3.5
Average Rating
(3)
Comment
More

형이상학이라는 학문 분과에서 드러나는 딜레마적 상황을 그리고 있다. 두 갈래 길 중 어느 길을 택하더라도 만족스럽지 못한 그러한 상황 말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형이상학 분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여러 주제들을 다룬다. 개체의 구조, 개체의 시간적 동일성, 개체의 통세계적 동일성, 인과성, 헴펠의 역설, 시간의 본성, 현상주의 등의 주제가 그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머리말·5 I 개체의 구조와 동일성의 문제 1 서론·13 2 개체의 구조: 기체이론, 다발이론, 실체이론·17  기체이론·20 ◇ 기체의 특성·26 ◇ 다발이론·37 ◇ 아리스토텔레스적 실체이론·43 3 다발이론에 대한 반박과 재반박: 맥스 블랙의 논증·59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의 원리·59 ◇ 다발이론과 구별 불가능자 동일성의 원리·60  블랙의 논변·62 ◇ 관계적 속성(불순 속성) 이용·64 ◇ 절대 공간 상정·66  기체의 도입·67 ◇ 블랙의 우주·68 ◇ 블랙의 오류·70 ◇ 새로운 반론·72  결론·75 4 개체의 동일성 문제·77  개체의 통시간적 동일성·79 ◇ 개체의 통세계적 동일성·102 II 상식과 이론의 충돌 5 서론·125 6 인과성·129  인과성에 관한 흄의 주장·129 ◇ 기호법·134 ◇ 귀납적 일반화 ― 모델 만들기·135  필연적 연결주의·140 ◇ 우연적 일반화와 법칙적 일반화·144  반사실 조건문적 분석·149 ◇ 결론·155 7 헴펠의 역설·157  헴펠의 역설·158 ◇ 가설과 가설 아닌 것·160 ◇ 역설의 원인·167 ◇ 결론·172 8 시간론·175  절대적 시간론과 관계적 시간론·176 ◇ 절대적 시간론을 부정하기 위한 라이프니츠의 논변: 충분이유율·177  라이프니츠의 존재론·180 ◇ 시계란 무엇인가?·181  시계 만들기·182 ◇ 주기성과 시간·186 ◇ 결론·191 9 현상주의 I: 외부세계 존재에 대한 무어 논증 비판·193  외부세계에 대한 회의론 모델·194 ◇ 외부세계 존재에 대한 무어의 증명·199  내/외 구분조건·202 ◇ 외부세계 존재 증명에 대한 여러 가능한 해석들·204  잘못된 유비논증·209 ◇ 결론·211 10 현상주의 Ⅱ: 외부세계 회의론 반박에 대한 재반박·213  외부세계 회의론 모델·214 ◇ 김진희의 해결책·217 ◇ 퍼트넘의 해결책·218  비트겐슈타인적 해결책·230 ◇ 결론·233 참고문헌·235

Description

이 책은 형이상학이라는 학문 분과에서 드러나는 딜레마적 상황을 그리고 있다. 두 갈래 길 중 어느 길을 택하더라도 만족스럽지 못한 그러한 상황 말이다. 이를 위해 이 책은 형이상학 분과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여러 주제들을 다룬다. 개체의 구조, 개체의 시간적 동일성, 개체의 통세계적 동일성, 인과성, 헴펠의 역설, 시간의 본성, 현상주의 등의 주제가 그것이다. 이 모든 주제와 관련해 논쟁들이 발생하며, 그 어떤 이론을 선택하더라도 우리는 상식과 이론의 완벽한 조화에 도달할 수 없다. 이러한 딜레마적인 상황을 보여 주는 것이 이 책의 첫 번째 목적이다. 책의 두 번째 목적은 그 딜레마적 상황을 그려 내는 과정 속에서 형이상학이라는 학문이 대략 어떤 학문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러 길을 헤매다 보면, 지도가 생긴다. 만족스러운 길이 없음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형이상학이라는 동네의 대략적 지도를 얻어 낼 수 있을 것이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