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한 손에는 빵을, 다른 손에는 펜을 든 아가씨-시인의 탄생 2014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한 심민아 시인의 첫 시집 『아가씨와 빵』이 ‘민음의 시’ 시리즈로 출간되었다. 시인은 ‘아가씨’라는 호칭이 불려 온 맥락을 거부하며 ‘아가씨’의 자리를 새로 쓴다. 시인이 그리는 아가씨는 낭만적 사랑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아가씨도, 현실을 모르는 철없는 말괄량이도 아니다. 묵직한 빵을 한 손에 든 노동하는 아가씨다. 도시에서 마주하는 삶의 누추를 꾸밈없이 바라보며 “산 것 특유의 구린내가 나는” 일상을 성실히 가꾸어 나가는 아가씨. 그는 일상의 어려움을 초식 동물의 부드러움으로 무찌르고, 삶의 부조리에 식물의 싱그러움으로 투쟁한다. 그의 스텝은 절룩일 때조차 씩씩한 모습이다. 이 아가씨-시인은 “우울한 사람들이 모여 차 한 솥”을 나눠 먹자고, 함께 “깨지지 않는 밤”을 보내 보자고 손을 내민다. 노동하는 아가씨에게, 세상의 모든 ‘휴먼 빙’들에게. ■ 더 데일리 휴먼 빙 어떻게 사나요? 가슴을 베어 내고 살지요 가슴을 베어 내는 건 무엇인가요? 저녁 식탁을 차리는 일이지요 ―「우아하고 전지전능한」에서 『아가씨와 빵』에는 매일매일 노동하는 인간의 삶이 있다. 더 데일리, 휴먼 빙이다. 이들이 살아가는 공간은 날것의 비린내가 차오르고 아침마다 어김없이 배고픔과 피곤이 찾아오는 “도시의 샅”이다. 피어나고 부패하는 생물의 세계, “젖은 털과 마른 손톱”이 끝없이 자라나는 징그럽게도 악착스러운 생존의 세계다. 그곳의 휴먼 빙들은 부지런히 일상을 가꾸어 낸다. 그것은 “매일의 미세하고 엉망인 날씨 속에/ 없는 이빨로 밤을 밤새, 기어이 뜯어 먹는” 일이다. 매일 저녁 피곤한 사람들이 모여 청유형의 대화를 나눈다. 오늘 밤을 거대하게 만드는 노래를 최선을 다해 불러 봅시다, 우리 함께 먼지투성이의 아침을 씻으러 갑시다, 라고. 누구도 아직 오지 않은 내일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아직 모르는 채로”, “아직 모르는 말로” 서로 용기 내어 남아 보자고 시인은 말한다. “가슴을 베어 내며” 이들이 나누는 저녁 식탁은 몸으로 나누는 생물성의 위로, 맨살의 에로스다. ■ 토끼의 기분을 헤아리는 아가씨 현실보다 소설에 자신 있는, 빌어먹는 작은 아가씨는 빵의 전생을 생각하는 작은, 아주 작은 취미를 가지고 ―「아가씨와 빵」에서 심민아의 ‘아가씨’는 “현실보다 소설에 자신 있는” 아가씨다. 또한 문학 속에 산다는 것은 “기어이 폐를 끼치는 것”, “수챗구멍의 반쯤 썰린 쌀알을 우글우글 세는 것”임을 잘 아는 ‘휴먼 빙’이다. 이 아가씨는 먹고살기 위해 또 다른 ‘아가씨’의 노동에 기대고 있음을 알고 있다. “설거지 후의 물기가 덜 마른 엄마”, “철쭉 같은 할머니들”, “우울한 혀를 가진 언니들”은 아가씨의 다른 이름이다. 아가씨의 또 다른 이름은 “죽고 없는 여자들”, “물을 길어다 제 핏줄을 빨고 있는 여자”, “오래전에 귀를 잃은 여자”. 이 여자들은 죽음과 삶, 인간과 동식물의 경계를 흩트린다. 토끼의 기분을 헤아리고 펠리컨의 붉은 내장을 생각하며, 가슴에는 주렁주렁 녹색 주머니를 달았다. 『아가씨와 빵』은 이 수줍고도 도발적인 여자들을 ‘아가씨’로 호명하며 ‘아가씨’의 새로운 자리를 마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