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이강백의 초기작 <파수꾼>과 <보석과 여인> 두 편을 엮었다. 전자는 알레고리와 상징을 통한 정치 현실 풍자가 돋보이는 작품이고, 후자는 보이지 않는 진실 추구라는 주제의식을 상징화한 작품이다.
<파수꾼>은
지식 독점과 불안 조장을 통해 사회 구성원의 일상을 통제하는 권력의 작동 방식을 형상화했다. 1974년 8월 ≪현대문학≫에 발표되었고 1975년 3월 현대극회가 초연했다. 이리 떼의 습격을 두려워하는 한 마을이 배경이다. 지금까지 파수꾼 ‘가’는 망루에서 이리 떼를 감시하며 “이리 떼가 나타났다”라고 소리치고, 늙은 파수꾼 ‘나’는 양철 북을 두드려 마을 사람들에게 경고하는 역할을 해 왔다. 이리 떼를 두려워하던 소년 파수꾼 ‘다’는 우연히 망루 위에 올라갔다가 그 너머에는 이리 떼 대신 아름다운 흰 구름뿐이라는 진실을 알게 된다. 이를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려 하지만 촌장은 질서 유지를 위해 가상의 적인 이리 떼가 필요하다고 오히려 소년을 설득한다. 진실을 알아 버린 소년은 결국 촌장에 의해 마을에 내려오는 것을 금지당한다. 공포심을 조장해 권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권력자와 진실을 적극적으로 알려고 하지 않는 군중의 상관관계 속에서 진실이 은폐되는 양상을 조명하고 군중과는 구별되는 희생양의 존재를 드러냄으로써 당대 한국이 처해 있었던 정치적 현실을 꼬집는 작품이다.
<보석과 여인>은
사랑을 위해 완전한 보석을 만들고자 하는 보석 세공인을 통해 보이지 않는 진실 추구를 다룬 단막극이다. 보석 세공인은 평생을 바쳐 완벽한 보석을 만들었지만 그 보석을 줄 대상이 없음에 허무함을 느낀다. 그런 보석 세공인 앞에 한 남자가 나타나 다시는 완벽한 보석을 만들지 않겠다는 맹세를 조건으로 젊음을 되찾아 주겠다고 제안한다. 보석 세공인은 이 제안을 받아들이고 남자의 도움으로 한 여인을 만나 결혼을 약속한다. 하지만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다시 보석을 깎기 시작하고, 완벽한 보석을 남긴 채 죽음을 맞는다. 1975년 9월 한국극작워크숍의 ≪단막극 선집≫ 3집에 발표되었다. 1975년 카페 떼아뜨르에서 공연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카페 떼아뜨르가 문을 닫으면서 계획이 무산되고, 1979년 2월, 이강백의 다른 작품인 <결혼>과 함께 강영걸 연출로 삼일로 창고극장에서 초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