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서문|대사건의 발생
|대담|박정희 패러다임의 붕괴: 최장집 교수와의 대화|최장집?박상훈
1부| 사태의 구조와 성격
1. 이야기를 시작하며
2. 한국 민주주의의 재공고화
3.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4. 국가와 재벌의 관계
5. 박근혜 정부에서 국가 역할
2부| 촛불 시위와 대통령 탄핵
6. 왜 대통령 탄핵인가 : 헌정 공백과 국회의 역할
7. 촛불 시위에서 나타난 특징들
8. 촛불 시위는 명예혁명인가
3부|촛불 시위의 정신적?이념적 내용
9. 2016 촛불 시위의 정신적 내용
10. 촛불 시위에서 나타나는 이념적 특징
11. 촛불 시위는 무엇을 가져왔는가
4부|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방법
12. 대의 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
13. 양손잡이 민주주의의 등장
5부|무엇을 할 것인가
14. 탄핵 이후, 한국 사회는 어디로 가야 하나
15. 정부 형태에 관한 생각의 변화
16. 왜 결선 투표제를 말하는가
민주주의의 시민권적 기반에 관하여|서복경
1. ‘어떻게’ 모르게 되었을까?
2. 지나온 이야기들 속의 몇 가지 징후들
3. 지난 30년 동안 우리가 해온 것들
4. 한국 민주주의의 시민권적 기반에 관하여
촛불과 민주주의 : 촛불 시위에서 드러난 한국 시민사회의 장점과 한계|박찬표
1. 문제를 제기하며
2. 촛불 시위의 민주주의론
1) 시민 저항권의 행사
2) 대의제의 한계에 대한 저항
3) 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
3.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시민의 의사
1) 민중 총궐기와 촛불 시위 : 대조적인 두 집회
2)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일반 의사
3)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부분 의사들
4) 촛불 시위에서 드러난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와 특징
4. 촛불 시위에서 제기된 개혁 과제의 실천 전략
1) 개혁의 전제조건
2) 정치적 개혁 과제
3) 사회경제적 개혁 과제
5. 결론 : 촛불과 한국 민주주의
촛불과 정치 변화 : 무엇이 바뀌었으며,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박상훈
1. 내가 동의하지 않는 관점들
2. 정부에 책임성의 굴레를 씌우기
3. 정치적 시민의 탄생
4. 입법부와 의회의 재발견
5. 정당 체계의 민주화
6. 헌법의 정치적 발견과 개헌
7. 새로운 발전 모델의 모색
8. 탄핵 이후 체제의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