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편집자 서문|대사건의 발생|대담|박정희 패러다임의 붕괴: 최장집 교수와의 대화|최장집?박상훈1부| 사태의 구조와 성격1. 이야기를 시작하며2. 한국 민주주의의 재공고화3. 박근혜-최순실 게이트4. 국가와 재벌의 관계5. 박근혜 정부에서 국가 역할2부| 촛불 시위와 대통령 탄핵6. 왜 대통령 탄핵인가 : 헌정 공백과 국회의 역할7. 촛불 시위에서 나타난 특징들8. 촛불 시위는 명예혁명인가3부|촛불 시위의 정신적?이념적 내용9. 2016 촛불 시위의 정신적 내용10. 촛불 시위에서 나타나는 이념적 특징11. 촛불 시위는 무엇을 가져왔는가4부|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방법12. 대의 민주주의와 직접민주주의13. 양손잡이 민주주의의 등장5부|무엇을 할 것인가14. 탄핵 이후, 한국 사회는 어디로 가야 하나15. 정부 형태에 관한 생각의 변화16. 왜 결선 투표제를 말하는가민주주의의 시민권적 기반에 관하여|서복경1. ‘어떻게’ 모르게 되었을까?2. 지나온 이야기들 속의 몇 가지 징후들3. 지난 30년 동안 우리가 해온 것들4. 한국 민주주의의 시민권적 기반에 관하여촛불과 민주주의 : 촛불 시위에서 드러난 한국 시민사회의 장점과 한계|박찬표1. 문제를 제기하며2. 촛불 시위의 민주주의론1) 시민 저항권의 행사2) 대의제의 한계에 대한 저항3) 실질적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3.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시민의 의사1) 민중 총궐기와 촛불 시위 : 대조적인 두 집회2)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일반 의사3) 촛불 시위에서 표출된 부분 의사들4) 촛불 시위에서 드러난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와 특징4. 촛불 시위에서 제기된 개혁 과제의 실천 전략1) 개혁의 전제조건2) 정치적 개혁 과제3) 사회경제적 개혁 과제5. 결론 : 촛불과 한국 민주주의촛불과 정치 변화 : 무엇이 바뀌었으며,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박상훈1. 내가 동의하지 않는 관점들2. 정부에 책임성의 굴레를 씌우기3. 정치적 시민의 탄생4. 입법부와 의회의 재발견5. 정당 체계의 민주화6. 헌법의 정치적 발견과 개헌7. 새로운 발전 모델의 모색8. 탄핵 이후 체제의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