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윤리에 대하여
제1절 윤리가 아닌 것
1. 윤리는 주로 성에 관한 것이 아니다
2. 윤리는 ‘이론적으로는 좋으나
실천적으로는 좋지 않은 것’이 아니다
3. 윤리는 종교에 기초하지 않는다
4. 윤리는 당신이 살고 있는 사회에 따라 상대적이지 않다
5. 윤리는 단순히 주관적인 취향이나 의견의 문제가 아니다
제2절 윤리인 것: 하나의 견해
제2장 평등과 그 함축
제1절 평등의 근거
제2절 평등과 유전적 다양성
1. 인종 간의 차이와 인종 간의 평등
2. 남녀 간의 차이와 남녀 간의 평등
제3절 기회의 평등으로부터 고려의 평등으로
제4절 차별시정조치
제5절 맺는 말: 평등과 장애
제3장 동물에게도 평등을?
제1절 인종주의와 종족주의
제2절 종족주의의 실제
1. 음식으로서의 동물
2. 동물실험
3. 종족주의의 다른 형태들
제3절 몇 가지 반론들
1. 동물이 고통을 느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2. 동물들은 서로 잡아먹는데, 우리는 왜 그것들을 먹지 말아야 해?
3. 윤리와 상호성
4. 인간과 동물의 차이들
5. 종족주의를 옹호하기
제4장 살생이 그릇된 까닭은?
제1절 인간의 생명
1.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족의 구성원 죽이기
2. 인격체 죽이기
3. 인격체는 생명에의 권리를 가지는가?
4. 자율성 존중
제2절 의식이 있는 생명
1. 단지 의식만을 가진 존재를 죽이기
2. 다른 생명들 간의 가치를 비교하기
제5장 살생: 동물
제1절 인간이 아닌 동물도 인격체일 수 있는가?
제2절 인간 아닌 인격체를 죽이는 것
제3절 다른 동물을 죽이는 것
제4절 맺는 말
제6장 살생: 수정란과 태아
제1절 임신중절이라는 문제
제2절 보수주의적 입장
1. 출생
2. 체외생존 가능성
3. 태동
4. 의식
제3절 자유주의적 논변들
1. 임신중절제한법의 결과
2. 법의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3. 여권주의자의 논변
제4절 태아의 생명의 가치
제5절 감각적 존재로서의 태아
제6절 잠재적 생명으로서의 태아
제7절 임신중절에 반대하는 추가적인 두 논변
제8절 실험실에서의 수정란의 위상
제9절 임신중절과 유아살해
제7장 살생: 인간
제1절 죽음을 돕는 일의 형태들
1. 자의적 안락사
2. 반자의적 안락사
3. 비자의적 안락사
제2절 유아살해와 비자의적 안락사의 정당화
1. 장애를 가진 유아에 대한 삶과 죽음의 결정들
2. 다른 비자의적인 삶과 죽음의 결정들
제3절 자의적 안락사의 정당화
제4절 반자의적인 안락사의 부당성 입증
제5절 적극적 안락사와 소극적 안락사
제6절 미끄러운 비탈길: 안락사로부터 대량학살로?
제8장 빈부의 문제
제1절 빈곤에 관한 몇 가지 사실들
제2절 풍요에 관한 몇 가지 사실들
제3절 살인과 도덕적으로 동일한 게 아닌가?
제4절 원조의 책무
1. 원조의 책무에 찬성하는 논변
2. 앞의 논변에 대한 반론들
제9장 기후변화
제1절 충분히 그리고 양질의
제2절 평등한 분배란 무엇인가?
1. 역사적 책임
2. 평등한 몫
3. 사치 대 생계
제3절 공격의 한 형태?
제4절 개인들은 마땅히 무엇을 해야 하는가?
제10장 환경
제1절 서구의 전통
제2절 미래 세대들
제3절 감각이 없는 존재에도 가치가 있는가?
1. 생명에의 외경
2. 심층생태학
제4절 환경윤리의 개발
제11장 시민불복종, 폭력, 그리고 테러리즘
제1절 개인의 양심과 법
제2절 법과 질서
제3절 민주주의
제4절 시민불복종 혹은 기타 불복종
제5절 폭력과 테러리즘
제12장 왜 도덕적으로 행위해야 하는가?
제1절 물음에 대한 이해
제2절 합리성과 윤리
제3절 윤리와 자기이익
제4절 삶은 의미 있는 것인가?
주석, 참고문헌, 그리고 더 읽을거리
역자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