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기 위해 사라지는 법

아키코 부시 · Essay
35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3.5(14)
0.5
3
5
Rate
3.5
Average Rating
(14)
끊임없는 노출과 연결에 피로해진 사람들을 위한 ‘해독제’ 같은 에세이. 저자 아키코 부시는 보이지 않는 상태의 의미, 근원 등을 다양한 사례와 경험으로 고찰하는 한편 생물학자, 물리학자, 심리학자, 예술가, 작가 들과 대화를 나누고 그랜드케이먼 섬 바닷속, 아이슬란드 항구 도시에서 물리학 실험실과 가상현실 스튜디오까지 여러 곳을 여행하며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섬세하고 지적인 안내서를 완성했다. 이 책은 해리 포터의 ‘투명 망토’가 없이도 보이지 않거나 사라지는 상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가능성, 그리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많은 것들, 눈에 띄지 않는 삶의 가치, 그리고 세계와의 연대를 이야기한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5(14)
0.5
3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5

Table of Contents

머리말 보이지 않는 것에 매혹되다 01 보이지 않는 친구 02 마법 반지와 투명 망토 03 여기 조약돌 식물이 있다 04 물속에서 보이지 않기를 선택하다 05 보이지 않는 잉크 06 내가 없는 자화상 07 익명성의 위안 08 댈러웨이 부인 다시 읽기 09 사라지고 다시 태어나는 자아 10 보이지 않는 곳을 그린 지도 11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의 경계에서 감사의 말 주 옮긴이의 말

Description

보이지 않는 모든 것에 대한 충실한 안내서. 인스타그램을 비롯한 각종 소셜 미디어에서 ‘최고의 삶’을 보여주는 것이 능력으로 여겨지는 지금, ‘사라지는 선택’이 얼마나 강력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 뉴욕타임스 북리뷰 끝없는 노출의 시대에 시기적절한 멋지고 지적인 책. ‘보이지 않는’ 수많은 상태와 모습에 대해 깊게 고찰한다. 그것은 결국 삶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 여정이기도 하다. ― 메리 루플(《나의 사유 재산 My Private Property》 저자) 해리 포터의 투명 망토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권하는 ‘보이지 않는 모든 것과 가능성’을 담은 품위 있고 지적인 안내서 앤디 워홀의 “미래에는 누구나 15분 동안은 유명해질 것이다”라는 50여 년 전 예언은 이미 현실화되었다. 누구나 소셜 미디어와 유튜브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주목받고 유명세를 얻는 ‘마이크로 셀러브리티’가 될 수도 있고, ‘자기상품화’를 위한 노력은 미덕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모든 사람의 손에 쥐어진 스마트폰에는 모든 이의 일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즉각적으로 소비된다. 소셜 미디어에 ‘최고의 삶’을 과시하는 것이 능력으로 간주되는 지금, 끊임없는 노출과 연결에 피로함을 느낀 나머지 어쩌면 앤디 워홀의 저 말을 이렇게 바꿔서 상상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을까. 15분 동안만이라도 익명이고 싶다, 아니 사라지고 싶다. 《존재하기 위해 사라지는 법》은 모든 것이 드러나고 보이고 보여주는 ‘투명성’의 시대에 비가시성(Invisibility), 즉 보이지 않는 상태의 의미, 근원 등을 다양한 사례와 경험으로 고찰하고 엮어낸 책이다. 예술, 자연, 건축, 디자인에 대한 글을 쓰고 강의하는 미국의 작가 아키코 부시는 생물학자, 물리학자, 심리학자, 예술가, 작가 들과 만나고 그랜드케이먼 섬 바닷속, 아이슬란드 항구 도시에서 물리학 실험실과 가상현실 스튜디오까지 여러 곳을 오가며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섬세하고 지적인 안내서를 완성했다. 이 책은 해리 포터의 ‘투명 망토’가 없이도 보이지 않거나 사라지는 상태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가능성, 그리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많은 것들, 눈에 띄지 않는 삶의 가치, 보다 넓은 세계와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눈에 띄지 않으려는 노력은 결국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인 동시에 우리가 누구이고 우리가 있어야 할 자리가 어디인지를 이해하게 한다는 저자의 메시지는 시의적절하며 또한 희망으로 다가올 것이다. 나는 당신에게 보이지 않는 게 무엇이 아닌지 말해줄 수 있다. 그것은 외로움도 아니고, 고독도 아니고, 비밀이나 침묵도 아니다. - 머리말 <보이지 않는 것에 매혹되다> 중에서 사라지는 법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이해하는 일이다 지금 시대를 크게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감시’로 설명하는 것은 새삼스럽지 않을 것이다. 눈에 띄고 많이 보이는 것이 힘이고 또 돈이 되기 때문에 “성공과 업적은 공개적으로 드러나야 하고, 무슨 일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보이느냐로 우리 삶이 평가되는 게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 한편으로는 우리의 일상이 촘촘하게 설치된 감시 카메라, 스마트폰과 각종 전자기기의 사물 인터넷에 모두 노출되고 엄청난 양의 개인 정보가 수집되고 있다는 사실은 애써 의식하기도 어렵다. 그렇다면 이제 보이고 보여주는 것이 최고의 가치이자 필수적인 존재 방식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까. 여기에 아키코 부시는 “눈에 띄지 않는 삶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끊임없는 노출에 대한 어떤 해독제를 찾아내고, 이 새로운 세상에서 보이지 않고, 들키지 않거나 눈에 띄지 않는 게 얼마나 값진지 다시 생각할 때”라고 말한다. 어린 시절 숨바꼭질 같은 ‘숨기’의 경험 그리고 ‘보이지 않는’ 상상 속 친구를 만들어내고 함께 자랐던 경험 등은 바로 보이지 않는 상태의 긍정적인 효과가 이미 우리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스스로를 보이지 않게 하거나 보이지 않는 존재와 대화하는 것은 관계를 확장시키고 상상력과 창의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아키코 부시는 ‘보이지 않는 상태’에 대한 우리의 오랜 믿음과 상상력을 1세기 마법의 돌과 플라톤의 《국가》 속 ‘기게스의 반지’에서부터 설명하며 그 위험하고도 매혹적인 힘에 대해서 언급한다. 문학과 영화, 드라마 등에서 반복되고 있는 ‘투명인간’ 모티브 역시 보이지 않게 될 때의 희열과 불안함이라는 양가성을 가지고 있다. 아키코 부시는 ‘해리 포터의 망토’를 현실화하려고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만나고 대화를 나누며 보이지 않게 된다는 것의 의미와 그 영향력을 다시금 곱씹는다. 보이지 않는다고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며 보이지 않는 상태에 대한 우리의 감정은 복합적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자신이 없고, 두렵고, 창피하고, 그저 사라지고 싶어서 보이지 않기를 바랄 때가 있다. 반면 보이지 않아서 크게 실망할 때도 있다. 보이지 않고 싶기도 하고, 보이지 않는 상태여서 압박감을 느끼기도 한다. 보이지 않는 상태에 대한 우리의 감정은 인간의 정체성 자체처럼 변덕스러울 수 있다.” - 104쪽 ‘보이지 않는 상태’, 눈에 띄지 않는 것은 ‘숨기’나 ‘도피’가 아니라 그 자체가 힘이 있는 조건, 자기 확신의 표시일 수도 있다. 또한 사회적인 발언으로서의 의도적인 부재(不在)나 정체성의 변형 등 ‘사라지는 법’은 물리적, 심리적, 기술적으로 무수히 다양하며 제한되지 않는다. 내면적이고 개인적인, 자기 만족적인 노력의 일환일 수도 있다. 이렇듯 다양한 ‘사라지는 법’을 이해하는 것은 어떻게 존재하느냐의 문제만큼 중요하며 결국 스스로가 누구인지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아키코 부시는 말한다. 지울 때 더 잘 보이는 것들이 있다 – 빈 페이지들의 미학과 발언 수많은 텍스트와 이미지가 쉴 새 없이 깜빡이며 흘러가는 지금, 아키코 부시는 “의외의 방식으로 빈 페이지, 희미해진 말, 지워진 문장 등 사라지는 말과 글이 설득력 있고 시의적절함을 암시해서 우리의 상상력을 더 많이 사로잡는다”고 말하며 문학, 사진, 미술 등 예술의 영역에서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주되게 살펴본다. 때로는 지우고 감추는 작업이 더 많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의 북 디자이너 이르마 봄은 샤넬 넘버 파이브 향수에 대한 책을 잉크로 인쇄하지 않고 모든 텍스트를 양각으로 새겨 만들고 이렇게 말했다. “당신은 그걸 볼 수 없어요. 그러나 그것은 거기에 있죠.” 향을 피우고 남은 재나 물로 그리거나 쓴 그림과 글은 곧 사라지고, 얼음에 새긴 구절들은 녹아 보이지 않는데 그렇다면 과연 그것은 없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 미국의 시인이자 에세이스트 메리 루플은 오래된 책들에서 수정액과 테이프로 일부 단어들을 지워 새로운 텍스트를 만들어내는 ‘삭제 책(erasure books)’ 작업에 대해 “부정적인 없애기 작업이 아니다. 나는 보이지 않는 것보다 보이는 것을 더 많이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아키코 부시는 이러한 ‘삭제’와 ‘생략’ 작업이 “모든 걸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시대에 드러내지 않는 아름다움에 대해 일깨우고 있다”고 말한다. 포토숍으로 쉽게 더해지거나 지워지는 이미지, 얼굴을 희미하게 가린 셀피와 신분을 숨겨야 하는 ‘증명사진’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례를 통해 “어떻게 보이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보이지 않느냐 역시 우리의 정체성”임을 이야기한다. 이르마 봄은 “당신은 그걸 볼 수 없어요. 그러나 그것은 거기에 있죠”라고 말하면서 우리에게 그 사실을 떠올리게 한다. 그녀는 모든 걸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시대에 드러내지 않는 아름다움에 대해 일깨우고 있다. 그녀가 만든 ‘보이지 않는 책’은 그저 프랑스 향수의 역사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게 아니다. 당신이 이야기하고 싶은 모든 것, 당신이 절대 이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