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제1장 감정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은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 엑스 마키나 튜링 테스트 중국어 방 논증 영화 <엑스 마키나>의 튜링 테스트: 인공지능은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 잭슨 폴록의 그림 원리와 흄의 극장 비유 메리 흑백방 논증 지식이론 제2장 인공지능과 사랑에 빠질 수 있을까? 영화 <Her> 사랑의 이유: De Re적 사랑과 De Dicto적 사랑 데 레(De Re)적 사랑: 아리스토파네스적 역사성, 우연성, 대체불가능성 제3장 인공지능은 공감이 가능할까? 영국 드라마 <휴먼스(Humans)> 인공지능과 감정 사교로봇(social robot) 및 케어로봇(care robot) 의 등장과 의인화 문제 강한 인공지능의 등장과 감정의 문제 인간-로봇의 상호작용: 인공지능과 공감 인간관계: 사적인 관계와 공평무사한 관점 나가며 제4장 인공지능은 인격을 가질 수 있는가? 인공지능과 인격 인공지능과 책임: 분산된 책임, 설명 가능성, 책무와 책임 제5장 인공지능은 자유의지를 가질 수 있을까? 자유와 책임 양립가능론이란? 자유의지란? 정념은 이성의 노예? 리벳실험: 자유의지는 없다 피니어스 게이지 사례: 감정을 통제하는 부위의 뇌 손상은 도덕감 상실을 유발한다 안토니오 다마지오의 사례: 복내측 전전두엽 손상 뇌 사례 -지식은 있지만 도덕적 행동이 어렵다 트롤리 딜레마: 인신적 딜레마와 비인신적 딜레마를 통해서 본 도덕적 행동의 동기는? 자유의지가 없다면 책임 귀속은 불가능한가? 책임: 반응적 태도와 사회적 관행 제6장 인공지능은 도덕적 책임을 질 수 있을까? 윤리적 인공지능의 가능성 하향식 방법: 공리주의, 의무론 게릴라 코드: 무작위로 결합된 코드, 자유? 감정? 상향식 방법: 덕윤리 자율시스템 트롤리 딜레마를 통해서 본 자율주행차의 윤리적 딜레마: 공리주의적 프로그래밍 vs 운전자 우선적 프로그래밍 필자가 제안하는 도덕적 행위자로서 인공지능이 갖추어야 할 조건 현실적인 대안 제7장 인공지능은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가? 4차 산업혁명 시대 자동화를 피해갈 가능성이 높은 육체노동과 자동화에 가장 취약한 사무직 해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