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7
Ⅰ. 프롤로그
‘봉월드’ 입문을 위한 총론적 안내
-<플란다스의 개>(2000)에서 <기생충>(2019)까지 ? 17
Ⅱ. 인터뷰
인터뷰 1 <기생충>
<기생충>, 칸을 넘어 세계로! ? 37
인터뷰 2 <설국열차>
틀을 깨고 밖으로 나가 버리는, 송강호 캐릭터의 비전이 진정한 메시지 ? 101
인터뷰 3 <마더>
“늘 변화하고 싶습니다.” ? 142
Ⅲ. ‘봉월드’ 이해를 위한 보론들
봉준호에게 배울 점은 실력보다 태도·가치관 ? 165
‘스타일의 노예’ 거부하는 아시아영화 세 거장…
- 봉준호-지아장커-마흐말바프의 공통점 ? 169
봉 감독은 낭보를 전할 것인가? 미리 보는 제72회 칸영화제 ? 174
<기생충> 리뷰
가족 희비극을 넘어 신자유주의를 비판하는 역대급 완성도의 문제적 걸작 ? 181
<옥자> 리뷰
절반의 성공에 그치고 만, 안타까운 문제작 ? 188
<설국열차> 리뷰
체제 변화의 가능성을 통해 희망을 역설 ? 191
<마더 리뷰>
봉준호의 새로운 도전…‘엄마’와 김혜자라는 중심핵으로 돌진 ? 197
<괴물> 리뷰
<기생충>을 예고하는 개성 만점의 가족 희비극 ? 204
<살인의 추억> 리뷰
사건보다는 인물·풍경·시대의 공기가 더 중요한… ? 211
<플란다스의 개> 리뷰
많은 이들의 재독해·재평가를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문제작 ? 220
<백색인>에서 <흔들리는 도쿄>까지 단편영화들 이야기
- 봉월드에 다다르기 위한 또 다른 가교들 ? 230
Ⅵ. 에필로그
‘비정상의 미학’을 통해 ‘장르’가 되다! ? 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