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 왜 그들은 극우로 가고 있을까 1장 극우 청년의 심리적 탄생 경로 1. 일베에서 우익까지 청소년과 청년들이 일베와 디시인사이드에서 살고 있다 / 우익 게시판과 극우 유튜버의 방송으로 편향되어 있다 2. 극우 청년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기 가슴속 분노와 원한 때문에 극우가 된다 / 친구 따라 극우로 간다 3. 극우로 가는 심리적 경로 살펴보기 인터넷과 유튜브를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우익화된다 / 사이비 종교의 포교와 포섭 활동으로 우익화된다 2장 극우 청년의 마음속 감정들 1. 불안과 원한이 복수심을 키운다 밀려나면 끝이라는 불안이 난폭해지게 만든다 / 좌절과 나락의 경험이 원한과 복수심을 키운다 2. 시대마다의 분노를 이해해야 한다 분노한 청년들의 칼끝은 진보로 향한다 / 외로운 유권자들은 극우 세력에 투표한다 3. 남자다움에 상처입고 우익화된다 남성 청소년들은 권리가 억압되고 피해를 받는다고 느낀다 / 남성 청소년들은 불안과 억울함을 터뜨릴 곳이 필요하다 / 남성 중심의 게임 커뮤니티에 열광한다 / 인터넷에서 마치 놀이처럼 혐오와 증오를 즐긴다 / 가입은 쉽지만 탈퇴는 어렵다 4. 기존 질서에 대한 파괴적 욕구가 있다 청년 주식 커뮤니티는 어떻게 극우 커뮤니티가 됐는가 / 2030 남성들의 눈에 트럼프는 대변자처럼 보인다 / 분노가 담긴 농담이 실제 극우 행동이 되고 있다 3장 마음의 극우화를 이해하는 이론 1 : 지위 위협 이론 1. 기존 지위를 잃고 있다 영어, 백인, 남성, 기독교의 지위가 위협받고 있다 / 주인이 바뀐다는 대교체론이 차별과 탄압 조치를 하게 된다 / 미국 중산층 백인 남성은 지위 상실 공포로 극우가 됐다 2. 문제는 이성이 아니라 감정이다 깊은 이야기 1 상실과 박탈?미국을 잃고 있다 / 깊은 이야기 2 또 다른 상실과 박탈?종교와 가부장제를 잃고 있다 / 깊은 이야기 3 경멸에 대한 분노?엘리트 집단에게 염증을 느낀다 / 깊은 이야기 4 새치기에 대한 분노?큰 정부가 가장 문제다 / 깊은 이야기 5 이질감?완전히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 깊은 이야기 6 공감 불능?경제가 아닌 문화와 감정의 문제다 3. 가부장제도의 회귀를 원한다 젊은 남성 노동자들은 자신을 피해자라고 본다 / 젊은 남성들은 남성성을 회복하자는 이념으로 뭉쳤다 4장 마음의 극우화를 이해하는 이론 2 : 원한과 약한 남성 이론 1. 포용 없는 사회에서의 원한이 극우를 만든다 깊은 원한이 우익 행동을 하게 만드는 감정적 동기다 / 누가 젊은 남성들을 깊은 원한에 사로잡히도록 했는가 / 극우 청년들은 왜 엘리트 집단을 증오의 표적으로 삼았는가 / 돌봄의 부재는 청년을 극우화한다 2. 인셀, 극우주의, 약한 남성론이 대두되다 강해야 살아남는 경쟁사회가 특정 남성을 비하한다 / 약한 남성은 유리 지하실로 추락한다 5장 마음의 극우화를 이해하는 이론 3 : 성격론, 억압, 동일시 이론 1. 누가 극우 파시스트가 되는가 희망을 잃고 공포를 느끼면 파괴적으로 변신한다 / 자아가 약하면 권위주의적 성격이 되고 파시스트가 된다 / 권위주의적이고 조작적인 사람들이 파시스트가 된다 2. 억압당한 것들에 대한 출구를 잘못 찾다 도덕의 선을 넘을 때 유능감과 스릴을 느낀다 / 비합리적 억압과 권위는 극우 청년을 만들 수 있다 3. 청년들은 극우에서 구세주를 찾고 있다 청년들은 위선적인 정치에 배신감을 느끼고 극우 운동에 빠진다 / 극우 선동가들은 구세주나 아버지가 되려 한다 / 위축된 청년들은 사이비 종교집회에서 치유받는다 4. 피해자에서 가진 자 그리고 가해자가 되다 피해자가 자기자신을 ‘공격자와의 동일시’하고 순종한다 / 피해자는 ‘공격자와의 동일시’를 통해 협력자가 되고 만다 / 피해자는 피해 의식에 빠지면 연민보다 무임승차로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