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추천의 글 어설픈 조언보다 냉정한 뇌 과학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 _정재승(뇌 과학자, 『과학콘서트』, 『열두 발자국』 저자) 일상생활에서 맞닥뜨리는 의문을 해결하는 뇌 과학의 지혜 _권준수(서울대학교 정신과학/뇌인지과학과 교수) 들어가는 말 내 인생을 스스로 관리하고 바꿀 수 있는 가장 믿을 만한 방법 1부. 나를 바꾸는 뇌 과학 여행 : 뇌를 따라가지 않고 가르칠 수 있을까? 01. 인생의 다양한 색깔을 경험하기 위하여 뇌 사용 설명서가 필요한 때 02 뇌의 한계를 알아야 나를 바꿀 수 있다 무지를 통해 과학이 태어났다 / 안다는 느낌이 기회를 막는다 03 내가 아는 것은 대부분 ‘느낌’일 뿐이다 원리1: 정보 최소량의 법칙 / 원리2: 본능 연결의 법칙 / 원리3: 일반화의 법칙 / 원리4: 동조화의 법칙 / 현명한 뇌는 지식의 양을 추구하지 않는다 04 뇌가 만들어낸 세상의 비밀 진실을 보기 위한 거짓말 / 생각과 현실이 달라질 때 05 욕망에 빠진 뇌 구출하기 욕망은 사라지지 않는다 승화될 뿐 2부. 뇌가 만들어낸 세상 : 우리는 어떻게 세상과 만날까? 01 뇌가 만드는 가상의 세계 세상의 모든 오브젝트 / 사회적 오브젝트: 사람에 대한 생각이 쉽게 바뀌지 않 는 이유 / 먹는 것과 못 먹는 것: 0.2퍼센트의 먹잇감으로 존재하는 90퍼센트 / 포식자와 피식자: 인간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포식자는? / 중립사물: 발명이 필 요를 만든다 02 뇌는 숲과 나무를 따로 본다 뇌가 인식하는 4차원의 세계 03 뇌가 추구하는 관계의 방정식 04 뇌가 만드는 ‘나’라는 존재 뇌 속의 나는 확장될 수 있다 / 나와 남을 구별하는 능력 05 뇌는 시간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크로노스의 시간과 카이로스의 시간 06 뇌는 공간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너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 상상할 수 없는 무한을 상상하는 일 3부. 몰입의 힘은 내 안에 있다 : 우리는 어떻게 대상에 끌리고 집중할까? 01 끌림을 만드는 신경은 어디 있을까? 조절되지 않는 애착은 병이다 02 너만 선명하게 보이는 이유 잘못된 설계라고 오해받는 눈의 구조 / 뇌 속에 있는 콘트라스트 애플리케이션 / 고흐의 그림이 아름다운 이유 03 내가 너에게 끌리는 이유 왜 동물도 사람도 장식물에 끌릴까? / 외모보다 행동이 중요하다 04 접근 vs. 회피 공식 본능적 의사결정 / 경험적 의사결정 / 전략적 의사결정 05 왜 우리는 예술작품에 끌릴까? 뇌 과학자의 시선으로 본 명화 06 물건에 대한 소유욕을 만드는 신경 07 소유욕은 무죄인가, 유죄인가? 잘 팔리는 물건을 만드는 법 / 소유욕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 4부. 욕망을 조절할 수 있을까? : 우리가 목표지향적 행동을 해야 하는 이유 01 견물생심의 원리 목표지향적 행동 02 욕망의 채널을 돌리자 뇌 속에 존재하는 욕구 채널 03 사기당하는 것은 본능이다 약한 본성을 이용하는 사기 수법들 5부. 내 안의 창의성 깨우기 : 창의성은 특별한 재능이 아니다 01 창의성이 필요한 순간 02 창의성을 키우는 훈련 창의성 훈련법 4가지 03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성적을 잘 받으려면 04 인공지능 앞서기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뇌의 능력 / 패턴완성과 패턴분리 / 변장해도 알아 볼 수 있는 이유 / 인공지능도 생각하고 판단하는 지능이 있을까? 05 뇌가 정보를 기억하는 법 6부. 뇌 과학이 인생에 필요한 순간 :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