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사랑, 미니멀 코뮤니즘에 이르는 멀고 험난한 여정 ·4
그 남자와 그 여자는 무엇을 꿈꾸었을까 : 이상화와 환상
제1장 돈키호테는 둘시네아를 진정으로 사랑했을까? ·29
미겔 데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 권미선
제2장 보바리 부인의 사랑, 그 신기루를 좇아서 ·61
귀스타브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 진인혜
첫사랑 vs 마지막 사랑 : 사랑과 시간
제3장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 정체성 확립의 출발점 ·97
윌리엄 셰익스피어, 『로미오와 줄리엣』 ━ 이미선
제4장 시간을 견뎌낸 사랑 ·127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콜레라 시대의 사랑』 ━ 이미선
섹슈얼리티 : 육체와 정신
제5장 사드적 욕망을 바라보는 또 다른 시각 ·163
사드, 『미덕의 불운』 외 ━ 정해수
제6장 근대와 육체, 그리고 사랑 ·201
D. H. 로런스, 『채털리 부인의 연인』 ━ 김상욱
제7장 감정과 이성의 경계에 대한 스케치 ·225
장아이링, 「색, 계」 ━ 김경석
제8장 젠더화된 재건과 낙인찍힌 섹슈얼리티 ·245
박경리, 『표류도』 ━ 김은하
제9장 2000년대 이후, 우리들이 사랑하는 춘향 ·279
작자 미상, 「춘향전』 ━ 류진희
참된 나의 확인과 공유 : 진정성 이슈
제10장 “내가 바로 히스클리프야” : 존재의 근원을 찾아 떠도는 먼 길 ·311
에밀리 브론테, 『폭풍의 언덕』 ━ 이명호
제11장 개츠비의 사랑과 개츠비의 위대성 ·343
F.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 김영미
제12장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과 그 남자의 사랑 ·367
안톤 체호프, 「개를 데리고 다니는 여인」 ━ 안지영
경계를 넘어 : 퀴어와 비인간의 사랑
제13장 카우보이들의 사랑 ·395
애니 프루, 『브로크백 마운틴』 ━ 고강일
제14장 우리도 사랑하면 안 되나요? 복제 인간의 사랑 ·421
가즈오 이시구로, 『나를 보내지 마』 ━ 김지은
불확실성의 시대 : 우리는 사랑을 할 수 있을까
제15장 1990년 여성 서사의 귀환과 낭만적 사랑의 종언 ·451
은희경, 『새의 선물』 ━ 김은하
제16장 우리가 꼭 사랑해야 하나요? 현대 일본의 연애와 결혼 ·491
무라타 사야카, 『편의점 인간』 외 ━ 심정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