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저자 서문
I. 신경미학이란?
1. 뇌과학과 미
2. 주관과 객관
3. 뇌에서 주관성을 조사하다
4. 신경미학이 다루는 범주
Box 1. 실험미학과 신경미학
II. 보이는 아름다움과 들리는 아름다움
1. 아름다움의 난제
2. 클라이브 벨의 질문
3. 보이는 아름다움
4. 들리는 아름다움
Box 2. 뇌로부터 ‘아름답다’를 추정하다
III. 볼 수 없는 아름다움
1. 볼 수 없는 정보
2. 수학의 아름다움
3. 도덕의 아름다움
Box 3. 미를 조작하는 뉴로 모듈레이션의 가능성
IV. 변화하는 아름다움
1. 지하철 바이올린 연주
2.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가치: 맥락 효과와 미적 가치
3. 평판에 휩쓸리는 가치: 동조 편향
4. 신체성과 예술 감상
V. 지식의 감옥
1. 포로가 된 지각: 피카소가 그린 스트라빈스키
2. ‘착안점’이 다른 전문가의 눈
3. 눈을 속일 수 없는 전문가의 뇌
4. 순수한 눈은 돌아오지 않는다
Box 5. 얼굴 맹목 현상
VI. 변하지 않는 가치는 존재하는가?
1. 빙하기 미술
2. 단순한 것부터 생각하다
3. 운동의 미와 5차 시각피질(V5)
4. 아기는 아름다움을 느끼는가?
5. 원시 예술과 ‘두족인’
Box 6. 시각뇌와 몬드리안
VII. 즐거움과 아름다움
1. 아름다움은 즐거움인가?
2. 즐거움의 감정을 분류하다
3. 즐거움의 뇌 활동
4. 두 가지 보상 체계
5. 두 가지 아름다움
VIII. 부정적인 감정과 아름다움
1. 즐겁지 않은 아름다움
2. 숭고와 아름다움
3. 숭고와 사회성
4. 가상의 공포와 거리
5. 비애와 아름다움
6. 비애미의 뇌과학
7. 공감, 거리 그리고 예술
IX. 추의 힘
1. 추는 왜 ‘악’한가?
2. 예술에서의 추
3. 추의 뇌 활동
4. 제4의 벽을 넘는 추
X. 창조성의 원천을 뇌에서 찾다
1. 창조성과 과학
2. 창조성을 산출하는 뇌 기능: 재즈 음악가의 뇌
3. 예술은 ‘억제’인가?
4. 창조성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
XI. 인지 체계와 아름다움
1. 프랜시스 베이컨과 얼굴, 신체, 사물
2. 얼굴 및 신체와 물체의 인지
3. 바뀔 수 없는 것과 유연한 것
4. 두 가지 인지 개념과 두 종류의 아름다움
5. 뇌와 아름다움
Box 7. 미적 판단과 지각적 판단
XII. 아름다움의 인지신경과학
1. 참됨, 선함, 그리고 아름다움
2. 생물학적 욕구와 인간적 품성
마치며
추천의 글: 신경미학의 젊은 에이스
인용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