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엑소포니, 다와다 요코의 글쓰기 EXO-PHO-NIE, YOKO TAWADA 1. 낯선 언어로 글을 쓰다 2. 나와 세계 사이에 있는 매체로서의 언어: <부적> 3. 언어로 표현되는 ‘나’ 3.1 존재하는 ‘나’를 어떻게 부를까?: <영혼 없는 작가> 3.2 ‘나’와 ‘너/당신’의 경계를 넘어가다: <용의자의 야간열차> 3.3 낯선 언어 속에서 ‘너/당신’과 ‘그/그녀’의 경계를 넘어가다: <벌거벗은 눈> 4. 언어와 시간: 기원 신화를 넘어가다 4.1 전근대에서 근대로: <오르페우스 혹은 이자나기> 4.2 남성 신화에서 여성 신화로: <오비드를 위한 마약> 5. 언어와 장소: 정체성의 경계를 넘어가다: <보르도의 매제> 6. 언어를 다른 물가로 데려가다: <해외의 혀들> 7. 엑소포니와 탈경계 글쓰기 참고문헌 저자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