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문_이론은 근육이다 제1장 마르크스를 죽여? 살려? 1. 좌파의 위기, 바로 당신 이야기 2. 마르크스에서 출발하기 3. ‘마르크스주의’들의 싸움 4. 정신분석이라는 망치로 내려치기 간주곡① 사상지형도의 비밀 제2장 보수적인 리비스주의 비판 1. 이론의 종언? 2. 1980~90년대 이론 수용의 사회사 3. 이론의 운명, 이론의 임무 간주곡② 다시 루카치를 읽다 제3장 무언가를 교란하는 정치적 기획의 탄생 1. 프로이트주의, 실패한 정치기획 2. 아감벤의 착각 간주곡③ 나의 철학책들 제4장 벤야민, 프로이트와 손잡다 1. 비평의 탄생-아름다움에 대한 집중 2. 읽기의 정치학-아케이드 프로젝트 간주곡④ 네트워크가 인문학을 구한다 제5장 헤겔, 라캉과 사르트르의 숨어 있는 1인치 1. 응시의 욕망과 근대적 주체 2. 사르트르와 응시 3. 헤겔이 주선한 사르트르와 라캉의 만남 간주곡⑤ 냉소주의 시대의 인문학자 제6장 ‘무의식의 자식들’과 과학 쟁탈전 1. 정신분석학은 과학인가 아닌가 2. 칸트와 사드의 중요한 차이 3. 애매모호함을 떨쳐버린 라캉주의의 현전성 간주곡⑥ 라캉에 대한 비판? 제7장 지젝이 부풀린 유물론이라는 빵 1. 지젝이 프랑스로 건너간 까닭은? 2. 새로운 분석 도구, 판타지의 원리 간주곡 ⑦ 폴라니 그리고 인문학의 개입 제8장 유령이 되어 귀환한 데리다 1. 데리다에 대한 애도 2. 차이의 정치학 3. 데리다의 마르크스 읽기 4. 비가시적인 것의 가시성 간주곡⑧ 개념에 대하여 제9장 먹기 힘든 네그리의 비빔밥 1. 정치 이론과 예술 2. 다중과 예술 3. 예술의 반자본주의성 간주곡⑨ 시장과 학문 제10장 모든 지식은 감각이라는 DNA를 남긴다 1. 민주주의, 극장의 체제 2. 정치와 치안 3. 주체와 참여 4. 랑시에르, 반미학을 넘어서 5. 아무나 가진 능력의 현실화 6. 랑시에르의 미학적 무의식 간주곡⑩ 술과 말과 공부 제11장 존재의 사건을 쫓는 철학적 수사관 1. 알랭 바디우, 철학의 복권 2. 철학의 조건들과 진리의 다수성 3. 사건과 존재 간주곡⑪ 학문하는 자를 위한 처세술 5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