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서구 근대 소설의 효시’로 세계 문학사에 기록된
18세기 최고의 인기 소설
세계 문학사에서 ‘서구 근대 소설의 효시’로 인정받는, 새뮤얼 리처드슨의 장편소설 <파멜라>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1740년 영국에서 출간된 <파멜라>는 18세기 유럽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누린 소설이자 당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소설이었다. 또한 최초의 서간체 소설로 알려져 있으며, 영국을 대표하는 서간체 소설로 프랑스의 <위험한 관계>(쇼데를로 드 라클로 지음, 1782), 독일의 <젊은 베르터의 슬픔>(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1784)과 함께 세계적인 서간체 소설로 꼽힌다. 이렇게 <파멜라>는 세계 문학사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작품인데도 안타깝게 아직 국내에 번역.소개된 적이 없었다. 그런 만큼 이번 출간은 고전 읽기를 좋아하는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파멜라>는 영국의 성공한 인쇄업자였던 새뮤얼 리처드슨의 데뷔작으로, 리처드슨은 동료 인쇄업자로부터 편지 쓰기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모범적 편지 형식을 보여주는 서한집을 써달라는 권유를 받고 새로운 형태의 이야기의 가능성에 대한 힌트를 얻어 <파멜라>를 집필했다. 소설은 한 귀족 부인의 몸종으로 일하던 15세 소녀 파멜라가 자신을 농락하려는 부인의 아들 B― 씨의 사악한 의도에 맞서 끝까지 부정한 관계를 거부하고 정조를 지키다 결국 B― 씨의 마음을 돌려 정식 결혼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또는, 미덕의 보답’이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주인공 파멜라처럼 어떠한 악의 상황에서도 끝까지 굴복하지 않고 미덕을 지키면 보상을 받게 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은 출간되자마자 많은 독자들의 관심 속에 1년 만에 5판을 찍는 등 이른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이후 프랑스어 등으로 번역되어 유럽 전역에서 <파멜라>를 모르면 문화인이 아니라고 여겨질 정도로 선풍을 일으켰다. 이처럼 엄청난 인기에 편승해 존 켈리를 비롯한 여러 작가들이 유사한 작품을 써서 발표하자, 리처드슨은 직접 후속편을 써서 발표하기도 했다.
<파멜라>를 ‘근대 소설의 효시’라고 하는 이유는 기존의 종교적·도덕적 우의 소설(寓意小說)과는 다르게 가정생활 문제, 특히 연애와 결혼 문제를 소재로 택했다는 점과 등장인물의 내면과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문학 기법을 도입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런 변화는 문학의 수용자 계층을 바꾸어놓았다. 즉, <파멜라> 이전까지의 소설이 귀족과 종교인 계층의 전유물이었다면, <파멜라> 이후의 소설은 일반 서민 계층에서 향유하게 되었고, 이로써 비로소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소설이 시작된 것이다.
250여 년 전 소설이지만, 파멜라의 시시각각 변하는 미묘한 심리 묘사와 아슬아슬한 상황을 간신히 모면해나가는 모험담, 그리고 마침내 모든 역경을 딛고 사랑하는 사람과의 결혼에 성공하는 낭만적 사랑 이야기는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소설’을 읽는 즐거움을 주기에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