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축 중국건축 일본건축

김동욱
36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15)
Rate
3.4
Average Rating
(15)
중국 상해 예원豫園의 정자, 일본 이즈모시의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한국 서울의 문묘 대성전. 이 세 건축물은 서로 다른 듯 닮아 있다. 중국 예원의 정자가 꾸밈이 강하고 날아오를 듯 지붕이 휘어져 있다면 일본 이즈모타이샤의 지붕은 약간 밋밋한 곡선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한국 문묘의 대성전은 기둥을 일직선상에 나란히 세우지 않고 가운데 쪽을 안쪽으로 살짝 휘어지게 만들면서 건물 전체가 곡선을 이룬다. 이 책은 동아시아 삼국의 건축을 섬세하게 비교하고 그 아름다움을 살펴보는 미학 에세이다.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을 동아시아의 범주 안에서 가능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들여다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특히 우리 건축의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중국 건축과의 공통점과 차이를 찾아보고, 또한 우리와 비슷한 전개 과정을 밟아온 일본 건축과 비교해보면서 한국 건축의 핵심을 찾아보려는 시도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3.4(15)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머리글 프롤로그 · 상호 교류를 통해 이루어낸 동아시아 건축의 성취 1. 나무로 짓는 집의 이점 왜 돌이나 벽돌이 아니고 나무였나? 기둥과 보로 집 짓기 단층과 중층 높이에 대한 도전 조선시대 목구조 기술의 쇠퇴 소나무에 편중된 조선 후기 건축 톺아보기 1 · 동아시아의 특이한 건물들 2. 부드러운 곡선의 미학, 지붕 3차원 곡선의 지붕은 어디서 왔을까? 한중일의 기와 무거운 짐을 진 지붕 송·원 이후 중국 건축의 지붕 변화 12세기 이후 일본에서 지붕의 변모 고식을 간직한 조선시대의 지붕 구조 처마 곡선의 득과 실 지붕의 장식 톺아보기 2 · 용마루가 없는 집, 무량각 3. 천변만화하는 목조건축의 백미, 공포와 화반 공포와 화반, 문화 교류의 징표 중국에서 공포의 출발 봉정사 극락전의 공포와 화반 공포가 전해주는 13, 14세기 동아시아 문화 교류의 양상 조선시대의 공포-포 식과 익공 식 화반에 나타난 조선 장인의 낙천성 톺아보기 3 · 원조만이 누릴 수 있는 자유, 중국의 공포 4. 고인돌에서 천상의 세계까지, 석조물 화강석의 문화 고대 석조 무덤의 상징성 석탑의 나라 돌로 재현한 목조의 세부-불국사 석축 천상의 세계를 구현한 영암사 석축 빛과 그림자의 물결-종묘 정전 월대 왕릉 정자각의 석조물 톺아보기 4 · 중국, 일본에 남아 있는 석탑 5. 구들과 확산과 좌식 생활, 난방시설 구들의 탄생 일본에 건너간 구들의 운명 전면온돌로 발전 온돌과 좌식 생활 좌선과 방바닥 구조 온돌과 마루의 위대한 결합 상류층에서 하층민까지 톺아보기 5 · 여러 가지 난방 방식 6. 바람이 불어오는 문, 창호 고대 동아시아 판문과 살창 중국에서 여닫이 창호의 발달 일본에서 미닫이 창호의 보급 부석사 무량수전의 들어열개 창 대청의 출입문-세살청판분합 톺아보기 6 · 창호지 이야기 7. 휘황찬란한 아름다움, 채색과 조각의 세계 중국 건축의 채색과 장식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채색과 조각 장식 폭발적인 장식의 유행-모모야마 스타일 고려·조선시대 건축의 채색 조선시대 건축의 조각 장식 톺아보기 7 · 동아시아인들이 사랑한 용 장식 8. 엄정성과 역동성 사이, 공간 배치와 누각 중국 건축의 배치 원리 지세를 중시한 9세기 이후 한반도와 일본의 건축 선종 사원의 중국식 배치 원리 조선시대 산지 사찰의 외부 공간 건축 배치의 정점-누각 톺아보기 8 · 주택에서 보는 외부 공간의 이모저모 에필로그 누각에 올라 바람을 느끼고 싶다 미주 참고문헌

Description

왜 세계에서 볼 수 없는 부드러운 3차원의 지붕 곡선이 동아시아에서 나타나는 것일까? 한옥의 자연스러운 처마 곡선은 단지 아름답기만 한 것일까? 한중일의 난방시설인 온돌과 캉과 고다츠는 어디가 어떻게 다를까? 공포?包의 원조인 중국 건축물이 보여주는 천변만화함은 어디서 연유한 것일까? 후시미성과 오사카성 등 일본 건축은 언제부터 극단적인 화려함을 뽐내게 되었을까? 마루에서 유식游息하던 선비와 고래 위를 거닐던 승려들은 대체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동아시아 삼국의 건축을 섬세하게 비교하고 그 아름다움을 다시 톺아본 미학 에세이! 동아시아의 독특한 건축유산에 대한 탐미적인 상상, 한중일의 건축을 세밀하게 비교하고 그 아름다움의 속살을 톺아보다 여기에 세 건축물이 있다. 하나는 중국 상해 예원豫園의 정자, 또 하나는 일본 이즈모시의 이즈모타이샤出雲大社, 마지막은 한국 서울의 문묘 대성전. 이 세 건축물은 서로 다른 듯 닮아 있다. 중국 예원의 정자가 꾸밈이 강하고 날아오를 듯 지붕이 휘어져 있다면 일본 이즈모타이샤의 지붕은 약간 밋밋한 곡선을 보여준다. 이에 반해 한국 문묘의 대성전은 기둥을 일직선상에 나란히 세우지 않고 가운데 쪽을 안쪽으로 살짝 휘어지게 만들면서 건물 전체가 곡선을 이룬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을 동아시아의 범주 안에서 가능한 객관적인 시각으로 들여다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특히 우리 건축의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중국 건축과의 공통점과 차이를 찾아보고, 또한 우리와 비슷한 전개 과정을 밟아온 일본 건축과 비교해보면서 한국 건축의 핵심을 찾아보려는 시도다. 부드러운 처마 곡선이 가져다준 득과 실 동아시아의 목조건물은 지붕이 건물에 비해 크고 하나같이 곡선을 이루고 있다. 동아시아 건축에서 지붕은 특별한 존재였다. 유럽의 건물이 벽체의 파사드, 즉 외관에 디자인의 초점을 맞춘 것과 대조된다. 이런 지붕 형식은 유럽이나 인도에도 존재하지만 동아시아 사람들에게는 그 의미가 남달랐다. 곡선도 단순히 처마만 곡선을 이룬 것이 아니다. 건립 시기가 오랜 건물의 경우에 지붕 곡선은, 처마는 물론 용마루, 내림마루 등 지붕의 윤곽을 이루는 모든 선들이 곡선으로 되어 있고 심지어는 넓은 지붕면 자체가 완만한 곡면을 그린다. 잘 눈에 띄지 않지만 처마의 곡선은 양 끝이 위로만 치켜 올라간 것이 아니고 앞뒤로도 곡선을 그리게 되는데, 가운데 부분이 안쪽으로 휘어지고 양 끝은 바깥쪽으로 휘어진다. 처마가 양 끝에서 위로 올라간 것을 앙곡이라고 하고 바깥쪽으로 휘어진 것을 안허리곡이라고 부른다. 앙곡과 안허리곡 탓에 지붕은 그야말로 3차원의 곡선을 이룬다. 한국의 경우에는 살림집에까지 처마 곡선을 살리려고 했다. 그것이 극단적으로 나타난 것이 서울 가회동 북촌마을의 집들이다. 북촌마을 주택은 대개 1930년대에 와서 서울의 주택이 부족해지자 큰 집터를 잘게 쪼개서, 작은 집을 여럿 지어 팔 목적으로 지은 소위 집 장사 집이다. 이런 집들은 비좁은 대지에 집을 최대한 압축시켜 방을 여럿 만들고 구조도 전통적인 방식을 흉내 내면서 간략하게 처리해 지었다. 그런데 이런 열악한 집에서 특별히 눈에 띄게 돋보이도록 한 부분이 지붕 처마이다. 처마는 집 규모에 비해 과다하게 곡선을 이루었고 거기다 함석 차양까지 덧달아서 한층 휘어오르는 느낌을 강하게 했다. 북촌마을 한옥의 지붕 처마는 조금 과장된 측면이 있지만 이것이 일반인들에게 한국 건축의 처마에 대한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세상일은 역시 얻는 것이 있으면 잃는 것이 있는 법이어서 이런 멋진 처마를 유지하는 데 적지 않은 수고가 따랐다. 집 지을 때의 수고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고 이를 유지 관리하는 데도 지속적인 손길을 필요로 했다. 제일 큰 문제는 건축이란 것이 시대 흐름에 발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해나가는 것인데 그 부분에서 뒤처진 점이다. 집 짓는 과정에서 경제성이 큰 비중을 차지해나가는 역사적 흐름 속에서, 한국 건축이 처마 곡선을 유지하느라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한국의 처마 곡선을 단지 아름답다고만 말하고 있을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다포 식과 주심포 식과 익공 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우리 문화유산을 다룬 책들에는 주심포 식이나 다포 식 같은 용어들이 자주 나온다. 그러나 독자들 중에는 이 용어들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주심포 식과 다포 식을 구분하는 기준은 ‘공포’다. 공포란 밖으로 길게 내민 처마를 지탱할 목적으로 기둥 위에 짜여지는 작은 재목들의 총칭이다. 공포는 단일 부재가 아니고 ‘주두’라는 기둥 위에 놓이는 넓적한 받침재와, 앞과 옆 방향으로 팔처럼 뻗은 ‘첨차’라는 부재들과, 이들을 연결해주는 ‘소로’라는 작은 연결재로 이루어진다. 공포와 공포 사이에는 ‘화반’이라는 받침재가 놓인다. 동아시아 건축에서 공포가 차지하는 비중은 자못 크다. 특히 목조건축은 속성상 기둥이나 창문, 지붕 같은 부분에서 다른 건물과 구분되는 독창성이나 차이점을 만들어내기가 어렵다. 이렇게 볼 때 공포는 기술자들이 자신의 창의력이나 재주를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시대에 따라 표현 방식에 차이가 생기고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곳도 공포다. 한국 건축의 개설서들에서는 고려 말부터 주심포 식과 다포 식이 있었고, 여기에 16세기 이후에 익공 식이 추가되는 것으로 주로 기술한다. 그런데 여기서 약간의 혼란이 발생한다. 왜냐하면 주심포 식과 익공 식은 둘 다 기둥 위에만 공포가 짜여지는 점에서는 동일한 방식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건물은 이것을 주심포 식으로 분류해야 할지 익공 식으로 해야 할지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한 건물을 두고 이를 주심포 식이라고 설명하는 책도 있고 익공 식이라고 적은 책도 나와서 혼란을 일으킨다. 이 책에서 저자 김동욱 교수는 시간 개념을 도입하여 ‘보간포작補間包作(기둥 사이에 놓이는 간포)’을 갖춘 다포 식은 고려 말부터 조선 말까지 줄곧 존재해온 형식으로 보고, 기둥 위에만 공포가 짜여지는 것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약 200년 동안 주심포 식으로 존재하다가 16세기 이후로는 익공 식으로 대체된 것으로 구획 정리를 한다. 나아가 건축 형식의 분류를 공포만을 대상으로 해서 구분하는 방식에서 탈피해 건물의 전체 짜임 방식에서 새로 출발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 제기를 던진다. 동아시아인들이 사랑한 용 장식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은 수천 년간의 문화 교류를 통해 건축에서 다양한 영향을 서로 주고받았다. 동아시아 건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공통적 요소는 ‘용’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6,000년 전 유적인 산서성의 반파半坡 유적에서 용의 형상이 새겨진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후로 용은 중국의 제반 기물이나 건축에 등장했다. 중국 건축학자 러우칭시樓慶西에 의하면 자금성 태화전 한 건물에 묘사된 용이 무려 1만 2,654곳이라고 한다. 중국 건축에서 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얼마나 큰지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나라도 용 장식으로는 중국에 버금간다. 용의 발톱은 보통 넷이나 다섯을 그리는데, 넷 발톱은 제후, 다섯 발톱은 천자를 나타낸다. 그런데 경복궁 근정전 천장에 매달린 용의 발톱은 7개나 된다. 뿐만 아니라 서민들이 즐겨 찾던 작은 절들에서도 용 장식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불전 중앙 기둥 상부에 있는 ‘안초공’이라는 돌출한 부재는 바깥은 용 머리로 조각되고 내부는 꼬리로 다듬어지며, 충량이라는 대들보에 걸쳐지는 측면 들보는 전체를 용 몸통으로 채색하고, 들보에 걸쳐지는 충량 끝도 용 머리로 새긴다. 해남 대흥사 천불전이나 화성 용주사 대웅보전을 비롯해 18세기 이후에 지어진 사찰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일본은 중국이나 우리나라에 비해 용 장식이 많지는 않지만 볼만한 용 그림들이 적지 않다. 압권은 교토 선종 사원 법당의 천장 그림이다. 묘신지妙心寺 법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