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름 느와르 리더

알랜 실버 and 2 others
334p
Where to buy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역자의 말 감사의 말 서문 1부 필름 느와르의 정의 필름느와르의 정의에 대하여 - 에리몽 보르드, 에티엔 쇼메통(1955) 느와르 시네마 - 찰스 하이엄, 조엘 그린버그(1968) 검게 칠하라: 필름느와르의 계보 - 레이먼드 더그넷(1970) 필름느와르에 대하여 - 폴 슈레이더(1972) 필름느와러의 시각적 모티프에 관하여 - 제이니 플레이스, 로웰 피터슨(1974) 노 웨이 아웃: 필름느와르의 실존적 모티프 - 로버트 포르피리오(1976) 필름느와르에 대한 신중한 제안 - 제임스 다미코(1978) 어떤 과거로부터인가? B필름느와르에 대한 고찰 - 폴 커(1979) 2부 케이스 스터디 <킬러스>: 필름느와르에 나타난 사운드와 이미지의 표현성 - 로버트 포르피리오 <밤 그리고 도시>에서 표현주의자의 파멸 - 글렌 에릭슨 <키스 미 데들리>: 스타일의 증거 - 알랜 실버 포스트 느와르 탐정들: <롱 굿바이>와 <히키 앤 보그스> - 엘리자베스 워드 3부 느와르 그리고 지금 필름느와르, 보이스 오버 그리고 팜므파탈 - 카렌 홀린저 느와르라고 불리는 것은 무엇인가? - 알랜 실버, 린다 브룩오버 초당 60필드 세계의 고뇌 - 제임스 어시니 나를 두 번 죽여라: 무브먼트가 장르가 되다 - 토드 에릭슨 느와르의 후예: 네오 필름느와르와 네오 B무비들 - 알랜 실버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