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독일 미학

김남시 and 3 others
320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3.6(8)
0.5
4
5
Rate
3.6
Average Rating
(8)

지금까지 국내에서 현대 독일 미학은 아도르노, 벤야민 등 소수의 이론가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고, 그들의 사상에 접근하는 방식 역시 비판이론적 관점에만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아쉬움을 보완하고자 <현대 독일 미학>은 ‘감각, 기억, 사유의 변증법’이라는 부제가 암시하듯,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현대의 미학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 책의 지은이들은 감각과 감성의 이론으로서 폭넓게 전개되어온 현대 독일 미학의 다양한 맥락을 살펴보기 위해 독일의 미학적 전통에 기초하면서도 현대의 예술과 문화의 철학적 의미를 탐구해나간 여섯 명의 사상가 ― 아비 바르부르크, 발터 벤야민, 한스 블루멘베르크, 게르노트 뵈메, 귄터 안더스, 프리드리히 키틀러 ― 의 미학을 조명한다. 이 책은 벤야민을 제외하고는 아직 국내에 활발히 소개되지 않은 이들의 이론을 살펴보고 그 저작의 일부를 함께 읽어봄으로써 현대 독일 미학의 큰 흐름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각 사상가의 생애와 주요 저작 등 배경지식부터 차근차근 설명해나가는 지은이들의 글을 따라가다 보면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각 이론가들의 미학에 조금이나마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Rating Graph
Avg3.6(8)
0.5
4
5

엘지이닷컴 단독 이벤트

스탠바이미 세트 구매 혜택

LG전자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머리말 I. 기억의 그물망으로서의 예술사 아비 바르부르크의 문화학 김소영 1. 생애 및 연구 활동 1) 유년기와 청년기 2) 연구 활동 3) 미국 여행 4) 피렌체 5) 다시 함부르크로 2. 미학사적 위치 1) 도상해석학의 선구자 2) 문화학으로서의 미학 3. 주요 저작 1) 저술 활동 2) 저작 목록 4. 영향사 및 연구 동향 1) 바르부르크 도서관과 연구소 2) 미술사와 문화학, 그리고 미학의 사이 공간 원문 읽기 『이미지 아틀라스 ─ 므네모시네』의 「서론」 해설 ─ 사유 공간의 창출로서의 시각적 상징 II. 색채, 판타지, 놀이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적 미학 김남시 원문 읽기 색깔 판타지와 색깔 아이의 관점에서 바라본 색깔 색깔 없는 그림책의 평면에 대하여 회화에 대하여 판타지에 대한 생각 판타지 예술과 색깔에서의 반성 무지개 ─ 판타지에 대한 회화 회화 또는 기호와 반점에 대하여 놀이와 놀잇감 경험 III. 은유로서의 삶과 세계 한스 블루멘베르크의 역사현상학적 미학 전예완 1. 생애 및 연구 활동 2. 미학사적 의의 1) 블루멘베르크 사상의 기본 성격 2) 은유의 철학적 지위와 감성학으로서의 미학 3) 창조적 인간의 복권과 문화학으로서의 미학 3. 주요 저작 1) 주제 및 대표작 2) 대표작 해제解題 원문 읽기 『은유학의 범형들』의 「서론」 『난파선과 구경꾼: 실존 은유의 범형』의 「1. 경계 위반으로서의 항해」 IV. 아이스테시스 게르노트 뵈메의 몸과 분위기 미학 임성훈 1. 생애와 주요 저작 2. 이성, 감각, 미학 3. 근대 미학의 빛과 그림자 4. 몸의 미학과 분위기 1) 서구 지성사가 바라본 몸 2) 몸의 미학 5. 자연 미학 6. 분위기의 미학 V. 기계시대 인간의 구식성 귄터 안더스의 기술 철학 김남시 1. 귄터 안더스의 생애 2. 기술/테크닉과 프로메테우스적 격차 3. 실천가로서의 안더스 4. 비관적 전망 5. 번역된 텍스트에 대하여 원문 읽기 『인간의 구식성: 두 번째 산업혁명 시대의 영혼에 대하여』의 「서문」 VI. 테크놀로지와 기록 시스템 프리드리히 키틀러의 매체 미학 임성훈 1. 생애와 주요 저작 2. 기술 미디어 이론 3. 미디어와 미학 4. 기록 시스템 1) 기록 시스템 1800 2) 기록 시스템 1900 원문 읽기 정보 폭탄 『기록 시스템 1800/1900』 영문판의 「서문」 지은이 소개

Description

현대 미학의 새로운 경향: 관념적 미학에서 ‘감성적 인식의 학’으로의 전회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