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석기 시대의 반도체

김태섭
316p
Where to buy
content
Rate
3.6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21세기를 지식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컴퓨터와 초고속통신망을 종횡무진 누비는 지식이 생산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는 사회라는 의미이다. 즉 원시수렵사회, 농경사회, 산업사회로 이어지는 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이지식정보화 사회로 들어섰다는 뜻이다.필자는 이 지식정보화 사회를 도구의 관점에서 ‘규석기 시대’로 정의하고 있다. 를 잇는 규석기 시대…. ‘규석’으로 만들어진 반도체를 도구로 사용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반도체는 우리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원이다. 1900년대 초 진공관이 발명된 이래 반도체는 인간의 정신노동뿐만 아니라 이제 인간의 사고마저 대신하게 이르렀다. 특히 반도체는 대한민국 수출 1위 품목으로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반도체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모든 지식을 그림으로 이해한다! 지금까지 어떤 책도 시도하지 못했던 ‘비주얼 반도체 교본’ 『규석기 시대의 반도체』는 전문용어, 교과서적인 기술은 피하고 쉽고 편한 글, 가능한 많은 사진과 도표를 넣어 누구든 반도체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반도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쓰였다. 대학시절 PC 사업으로 시작한 이후, 30여 년간 ICT업계에 종사해 현재 종합 반도체기업 바른전자와 관계 계열사를 경영하고 있는 지은이의 경험과 산 지식 역시 반도체에 대한 생생한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도체를 이해하는 것이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필연적으로 해야 할 일이며, 4차 산업혁명을 따라잡는 길로 빠르게 안내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1장_반도체란? 제1절 반도체 기본 지식 1. 대한민국 반도체 2. 도체, 부도체, 반도체 3. 꼬마전구 실험 4. 구석기? 규석기? 제2절 원자의 세상 1. 태양계와 원자 2. 공유결합 3.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제3절 디지털의 세계 1. 디지털의 이해 2. 아톰에서 비트로 3. 아날로그로 느끼고, 디지털로 기억하고 제4절 반도체 용어 1. 0과 1의 세계 2. 비트, 바이트 3. 셀(cell) 4. 헤르츠(Hz) 5. 메가, 기가 6. 마이크로, 나노 7. 연산과 기억 제5절 주판에서 반도체로 1. 파스칼의 계산기 2. 컴퓨터의 아버지 찰스 배비지 3. 진공관 4. 트랜지스터 5. 집적회로(IC) 6. 초밀도 집적회로 2장_다양한 반도체 제1절 반도체의 분류 1. 산업혁명 2. 메모리, 비메모리 제2절 메모리 반도체 1. 휘발성, 비휘발성 2. 램(RAM) 3. 롬(ROM) 4. 저장장치의 진화 제3절 비메모리 반도체 1. 쌀 중의 쌀 2. 시스템 반도체 3. 광 반도체 4. 개별 소자 5. 멤스(MEMS) 제4절 주문형 반도체 1. 수요와 공급 2. ASIC와 ASSP 3. FPGA 3장_반도체 제조공정 제1절 반도체 전공정 1. 전공정, 후공정 2. 공정의 흐름 제2절 반도체 후공정 1. 반도체 패키지 2. 패키징 공정 3. 반도체 패키지의 종류 4. 표면실장 제3절 시스템 반도체 설계 1. 설계 전문기업 2. 시스템 반도체 설계 공정 4장_반도체 산업과 미래 신기술 제1절 반도체 산업 1. 다양한 반도체 기업 2. 반도체 기업의 협력 관계 3. 반도체 제조공장 4. 반도체 시장 제2절 반도체 신기술 1. 팹(FAB) 기술 2. 패키지 기술 및 기타 제3절 한국 반도체 산업의 과제 1. 문명 서진설 2. 한국의 반도체 산업 3. 치킨게임 4. 일본의 영욕 5. 반도체 업계의 M&A 6. 중국의 부상 7. 우리의 갈 길은

Description

반도체 강국 대한민국! 당신은 반도체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반도체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반도체 바이블’이 태어나다. 2006년 우리에게 다가온 아이폰은 우리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인류 역사상 이 손바닥만한 기기에 인간의 삶이 이토록 통째로 얽매이기는 처음일 것이다. 스마트폰은 반도체 덩어리이다. 모바일 AP, 메모리, 커넥티비티(통신),인터페이스 및 센서류에 이르기까지 무려 20여 종 40여 개 반도체가 탑재되어 있다. 제품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60%에 달한다. 우리는 흔히 반도체를 생각하면 둥근 원판과 손톱만한 플라스틱 덩어리에 지네다리가 촘촘히 달린 모습을 떠올린다.하나는 반도체를 만드는 웨이퍼(wafer)이고, 하나는 패키지가 끝난 반도체 모습이다. 반도체의 정의를 내린다면, 물론 어려운 말들도 많겠지만, 도체도 아니고 부도체도 아닌 말 그대로 반도체(semiconductor)이다. 전기를 흐르게도,안 흐르게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전기 전도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반도체의 핵심이다. 이렇듯 이 책에서는 반도체의 기본적인 원리를 각종 인포그래픽과 이미지 사진을 통해 입체적으로 알려준다. 반도체는 우리 일상에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자원이다. ‘산업의 쌀’이라고도 비유한다. 대한민국 수출 1위 반도체는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반도체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 학교에서 누구나 교양과목을 배운다. 교양이라면 현대를 사는 문명인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과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다. 반도체가 그렇다. 이미 우리 일상에서, 우리가 살아갈 미래 세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반도체이다. 더구나 우리 국민 50분의 1이 직·간접적으로 종사하는 반도체 강국의 한 사람으로서 반도체에 관심을 갖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규석기 시대의 반도체》는 반도체에 관심이 있는 독자라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반도체를 공부하고 이해할 수 있다. 전문용어, 교과서적인 기술은 피하고 쉽고 편한 글, 가능한 많은 사진과 도표를 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어떤 공학교과서도 해내지 못한 반도체의 이론과 실제를 이 책이 완성하였다. 반도체 기업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고,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을 조망하고 있으며, 3D-V낸드, TSV, 그래핀, 양자컴퓨터 등 반도체 산업의 미래 신기술에 대해서도 예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