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탄탱고 : 벨라 타르에 들어가기 앞서

정태수 and 4 others
138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8(8)
0.5
3.5
5
Rate
3.8
Average Rating
(8)
Comment
More

헝가리의 영화 감독 '벨라 타르'는 1978년 단편 <호텔 마녜지트>를 시작으로 30여년 간 총 9 편의 장편 영화를 연출했다. 그리고 그는 2011년 <토리노의 말>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했다. 그의 이름은 오랜 시간 시네필들 사이에서 회자 되었다. 2008년 제 9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는 그의 회고전을 진행하며 벨라 타르가 직접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리고 벨라 타르에 관한 담화의 중심에는 언제나 그의 매그넘 오퍼스(Magnum Opus), <사탄탱고>가 있었다. 하지만 그 명성에 비해 벨라 타르는 한국의 관객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감독이었다. 그의 작품 대부분이 20세기에 발표되었을 뿐만 아니라, 7시간 30분에 달하는 영화 <사탄탱고>는 그 자체로 오르기 어려운 나무와 같았기 때문이다. 2025년 3월 '시네마토그래프' 주관으로 예술영화관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사탄탱고> 상영이 예정되어 있다. 이를 기념하며, 그리고 이 영화적 사건에 참여할 많은 관객들을 위하여 가 발간된다. 이 책은 벨라 타르의 생애와 커리어를 망라한다. 국내외 영화 연구가들이 기술한 벨라 타르의 초기작, 그리고 <사탄탱고> 분석을 포함하며, 벨라 타르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필모그래피와 오늘날 영화계를 바라보는 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벨라 타르 영화학교 출신의 일본 다큐멘터리스트, '오다 카오리' 감독의 회상은 거장에 대한 경외와 친근감을 동시에 전달한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8(8)
0.5
3.5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BEFORE 머리말 4 타르, 벨라 8 ENTERING 헝가리 개혁 공산주의 사회 현실과 인간을 향한 영화적 응시 (유창연, 정태수) 28 <사탄탱고>를 통해 본 영화의 움직임과 시간, 서사 구조 (전준혁) 69 BELA TARR 인터뷰 I 104 인터뷰 II 112 인터뷰 III 121 인생에, 생명에, 귀를 기울이라고 벨라 타르는 말한다. (오다 카오리) 132

Description

헝가리의 거장 영화 감독 벨라 타르의 작품 세계를 심도 있게 탐구한 책, 가 2025년 3월 출간된다. 이 책은 벨라 타르의 영화 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관객과 영화 애호가들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벨라 타르는 1978년 단편 영화 <호텔 마녜지트>를 시작으로 30여 년 간 총 9편의 장편 영화를 연출하며 독창적인 영화 미학을 구축했다. 특히, 그의 대표작인 <사탄탱고>는 7시간 30분이라는 긴 상영 시간에도 불구하고 세계 영화사에 길이 남을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미국을 대표하는 작가 수전 손택은 <사탄탱고>를 90년대 최고의 영화 중 한 편으로 꼽으며 “매순간 강력하고 매혹적인 7시간, <사탄탱고>를 해마다 기꺼이 감상해도 좋을 것이다”라는 찬사를 남겼다. 2011년 <토리노의 말>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벨라 타르는 그 후 영화학교를 설립해 후학을 양성하고, 미술관과 협업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책은 <사탄탱고> 상영을 기념하여, 벨라 타르의 생애와 작품을 다각도로 조망한다. 특히 벨라 타르의 초기 작품과 <사탄탱고> 분석을 비롯해, 벨라 타르의 인터뷰를 통해 그의 영화적 철학과 현대 영화계에 대한 통찰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벨라 타르 영화학교 출신의 일본 다큐멘터리 감독 오다 카오리의 회상은 벨라 타르와의 특별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깊은 존경과 친근감을 동시에 전달한다. 2025년 3월에 독립영화관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상영될 예정인 <사탄탱고>는 벨라 타르의 영화를 처음 접하는 관객들에게도 큰 의미를 지닌 상영이 될 것이다. 이번 상영과 책 출간을 통해 벨라 타르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