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연쇄살인은 사회적 난치병이다 어린이 토막살해 - 최인구 사건 1장. 연쇄살인이란 무엇인가? 1. 연쇄살인의 충격과 파장 2. '연쇄살인'의 정의 3. '연쇄살인' 용어의 유래 4. 연속(連續)살인과 연쇄(連鎖)살인? 5. 연쇄살인의 조건 6. '한국형 연쇄살인' 한국 최초의 연쇄살인범 하룻밤새 벌어진 17건의 살인 - 이판능 사건 남자아이를 노린 변태성욕자 - 이관규 사건 2장 연쇄살인범은 누구인가? 왜 연쇄살인범이 되는가? 1. 선천적(先天的)인 요인 2. 어린 시절의 학대 등 충격적 경험 3. 사회적 스트레스 4. 촉발요인(triggering event) 5. 자유의지에 의한 선택 연쇄살인범의 프로필(profile) 3장 1970년대의 연쇄살인 피로 물든 가을 - 김대두 사건 사체에 남겨진 낙서 -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추정 사건 4장 1980년대의 연쇄살인 '살인여마(殺人女魔)' - 김선자 연쇄독살 사건 거리의 도살자 - 심영구 사건 끝나지 않은 악몽 - 화성연쇄살인사건 5장 1990년대의 연쇄살인 인면수심의 범행 - 조경수/김태화 룸살롱 살인사건 냉혈인간 - 지춘길 사건 6장 사라진 아기들 - 대천 연쇄유괴 살인 추정사건 강간 살인마 - 황영동 사건 살인공장의 악마들 - 지존파 사건 "내 나이만큼 사람을 죽이겠다" - 온보현 사건 7장 2000년대의 연쇄살인 "내 안에 악마가 있다" - 정두영 사건 십자가 형태의 사체 - 고창 연쇄살인 사건 사라진 여자들 - 수원 여성 연쇄납치 살인 사건 끝없는 학살 - 유영철 사건 에필로그) 연쇄살인을 막은 당신이 바로 영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