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머리글 1부 고대 철학의 위로 1 신과 인간 헤시오도스와 호메로스의 이야기 2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 물을 통한 존재의 근원에 대한 물음 3 한계를 가지지 않는 아페이론Apeiron 만물의 근원은 양적?질적으로 무한한 것이며, 신적인 것이다 4 만물의 근원은 공기이다 공기는 세상의 모든 것을 살아 있게 하는 원인이다 5 신이 되기를 원하는 자 신이라 불리기를 원했던 엠페도클레스Empedocles 6 본질적 구성과 시간적 구성 자연은 각각의 존재 자체로 순수체이며 존재체이다 7 사물은 본질적 누스 Nous에 의해 생겨난다 생성과 반복의 무한한 운동 8 세상의 모든 것은 닮은꼴들로 이루어져 있다 살아 있지 않은 인간은 존재나 실체를 논하거나 생각할 수 없다 9 하나의 세계, 두 가지 생각 헤라클레이토스와 파르메니데스의 이야기 10 인간의 마음 마음은 행복과 불행의 이중구조 11 절제된 정신에서 나오는 받아들임 소박한 삶의 스토아주의 12 인간은 무엇 때문에 사는가 나의 존재는 세계의 존재이고, 세계는 나를 통해 존재한다 13 인식의 가치에 대한 상대성 한 번도 묻지 않고 무심코 바라만 보았던 세계 2부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위로 14 정의로운 국가 소크라테스의 정의와 국가 15 믿음은 마음이 갖는 가장 순수한 해석 소크라테스의 개와 이리의 이야기 16 절제란 통제되지 않는 욕망의 질서 욕망은 삶의 의지 속에서 싹트는 에너지이다 17 변명 말은 욕망과 함께 섞이면 변명이 되고 진실과 함께 섞이면 정의가 된다 18 봄에 피어난 생명 봄의 생명성은 시간과 삶의 중요성을 동시에 일깨워준다 19 신의 눈물과 인간의 염치 자연의 현상은 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20 이데아Idea의 세계 인식되는 모든 물질의 근원 21 미메시스Mimesis 예술은 인간의 삶이 추구하는 행복의 사다리이다 22 인간의 관념 관념은 언제나 변할 수 있는 시간성 위에 있다 23 창조의 힘, 로고스Logos 인간이 신의 존재를 믿지 않고 어떻게 자신의 존재를 믿을 수 있겠는가? 24 조화로운 세계 조화란 세상의 모든 것이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질서이다 25 공간과 시간의 속성 신의 속성은 공간과 시간의 본질 안에 존재한다 26 형이상학적 실체 실체란 무엇임, 보편적인 것, 그리고 밑바탕이다 27 행복은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선 나는 인간으로서 나이고, 우주 속에 고독한 존재로서 나이다 28 보편적 실체에 대한 의구심 모든 것은 어떤 것이, 어떤 것에 의해서, 어떤 것으로 변화한다 29 플라톤의 향연 사랑, 그 아름다운 말의 속성에 대하여 3부 중세 철학의 위로 30 신을 향한 고백과 구원 현재는 과거의 기억과 미래의 기대감으로 존재한다 31 시간이 멈춘다는 것은 시간이 멈춘다는 것은또 다른 삶의 시간이 시작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32 이성으로서의 믿음과 스콜라 철학 떨어지는 낙엽은 실재적 이성이고, 초월적 이성은 낙엽 그 자체이다 4부 근대 철학의 위로 33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cogito ergo sum 변치 않는 진리는 주장되어지는 것이 아니고, 스스로 그렇게 존재하는 것이다 34 시간의 규칙이란? 시간의 흐름에도 규칙이 있다는 것이다 35 삶에 있어 생각의 방법 삶은 인간의 생각에 따라 가벼운 구름 같기도 하고, 무거운 바위 같기도 하다 36 스피노자의 에티카Ethica 자연의 속성은 신의 본성을 대변하는 실체이다 37 코나투스Conatus의 욕망 삶의 의지와 욕망을 넘어서 38 세상을 움직이는 소통의 모나드Monad 사람의 마음은 소리에 따라 요동치는 파도와 같다 39 인간의 경험과 오성 경험은 인간 지식의 근원이며 관념을 형성한다 40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 삶의 지각은 삶의 존재가치를 발견하는 것이다 41 인상과 관념 관념의 한계를 넘어 구름처럼 살고 싶다 42 순수이성을 향한 선험적 인식 선험성이란 순수를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