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형법총론
제1편 총설
01 형법의 기본개념 3
제1절 형법이란 3
제2절 사실관계의 확정과 형법의 구성요건 포섭 3
02 죄형법정주의 4
Ⅰ. 서설 4
제1절 명확성의 원칙 4
Ⅰ 의 의 4
Ⅱ. 내 용 5
Ⅲ.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는 법률의 효과 9
제2절 유추해석(적용)금지의 원칙 10
Ⅰ. 서 설 10
Ⅱ. 적용범위 10
Ⅲ. 확장해석과의 관계 11
Ⅳ. 관련문제(목적론적 축소해석의 허용범위) 21
제3절 적정성의 원칙 24
Ⅰ. 의 의 24
Ⅱ. 인정여부 24
Ⅲ. 내 용 24
제4절 소급효금지의 원칙 31
Ⅰ. 서 설 31
Ⅱ. 적용범위 32
Ⅲ. 소송법규정의 변경과 소급효금지 32
Ⅳ. 판례의 변경과 소급효금지 33
Ⅴ. 보안처분과 소급효금지의 원칙 34
Ⅵ. 개정형법상의 보호관찰이 보안처분인지 여부 36
03 형법의 적용범위 40
Ⅰ. 시간적 적용범위 40
Ⅱ. 장소적 적용범위 48
Ⅲ. 범죄의 종류 52
제2편 범죄론
01 범죄의 개념 56
제1절 서설 56
제2절 행위의 주체 56
제3절 법인의 범죄주체성 56
Ⅰ. 서 설 56
Ⅱ. 법인의 범죄능력 57
Ⅲ. 양벌규정에 의한 법인의 처벌과 그 근거 58
02 구성요건론 64
제1절 부작위범 64
Ⅰ. 서설 64
Ⅱ. 구성요건 68
Ⅲ. 보증인 지위 69
Ⅳ. 관련문제 77
제2절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80
Ⅰ. 서설 80
Ⅱ. 인과관계가 문제되는 경우 80
Ⅲ.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82
Ⅳ. 객관적 귀속이론 86
Ⅴ. 형법 제17조의 해석(합법칙적 조건설에 의하여) 89
제3절 구성요건적 고의 89
Ⅰ. 서설 90
Ⅱ. 고의의 내용 90
Ⅲ. 고의의 종류 92
제4절 구성요건적 착오 100
Ⅰ. 서설 100
Ⅱ. 구성요건적 착오의 유형 101
Ⅲ. 구성요건적 착오와 고의의 성부 102
Ⅳ. 형법 제15조의 해석 104
제5절 과실범 105
Ⅰ. 서설 105
Ⅱ. 과실의 행위성 106
Ⅲ. 과실의 체계적 지위 107
Ⅳ. 과실범의 구성요건 107
제6절 신뢰의 원칙 110
Ⅰ. 서설 110
Ⅱ. 법적 성질 110
Ⅲ.적용범위 111
Ⅳ. 적용한계 116
제7절 결과적 가중범 118
Ⅰ. 서설 118
Ⅱ. 결과적 가중범과 책임주의와의 관계 119
Ⅲ. 결과적 가중범의 종류(부진정결과적 가중범) 120
Ⅳ. 결과적 가중범의 미수 124
Ⅴ. 결과적 가중범의 공동정범 127
03 위법성론 130
제1절 위법성의 이론 130
Ⅰ. 서설 130
Ⅱ. 책임과의 관계 130
제2절 주관적 정당화 요소 130
Ⅰ. 의의 130
Ⅱ. 주관적 정당화 요소의 要否 131
Ⅲ.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내용 131
Ⅳ.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법적 효과 132
제3절 정당방위 133
Ⅰ. 성립요건 133
Ⅱ. 오상방위와 과잉방위의 문제 139
Ⅲ. 오상과잉방위 141
Ⅳ. 정당방위의 제한 142
제4절 긴급피난 144
Ⅰ. 서설 144
Ⅱ. 긴급피난의 본질과 근거 145
Ⅲ. 성립요건 146
Ⅳ. 긴급피난의 특칙 148
Ⅴ. 과잉피난과 오상피난 148
제5절 자구행위 148
Ⅰ. 서설 148
Ⅱ. 성립요건 149
Ⅲ. 정당방위와의 한계 151
제6절 피해자의 승낙 152
Ⅰ. 서설 152
Ⅱ. 피해자의 승낙 154
Ⅲ. 추정적 승낙 156
제7절 정당행위 158
Ⅰ. 서설 158
Ⅱ. 법령에 의한 행위 158
Ⅲ. 업무로 인한 행위 164
Ⅳ.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 167
Ⅴ. 판례 172
04 책임론 180
제1절 책임이론 180
Ⅰ. 책임의 의의 180
Ⅱ. 행위책임의 원칙 180
제2절 책임능력 181
제3절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184
Ⅰ. 의의 184
Ⅱ. 가별성의 인정근거 184
Ⅲ. 실행의 착수시기 185
Ⅳ. 원인에 있어 자유로운 행위의 유형 186
Ⅴ. 심신장애의 자의적 야기 188
제4절 위법성의 인식 188
Ⅰ. 서설 188
Ⅱ. 위법성 인식의 대상과 내용 188
Ⅲ. 체계적 지위 189
Ⅳ. 판례 - 제한고의설 191
제5절 법률의 착오(금지착오) 191
Ⅰ. 서설 191
Ⅱ. 유형 191
Ⅲ. 판례 연구 - 허가 등의 대상인줄 모르고 한 행위의 처벌 193
Ⅳ. 위법성 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관한 착오 194
Ⅴ. 제16조의 해석 197
제6절 기대가능성 203
Ⅰ. 서설 203
Ⅱ. 기대가능성의 체계적 지위 204
Ⅲ.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207
Ⅳ. 기대가능성에 대한 착오 207
Ⅴ. 기대불가능성에 의한 책임조각사유 208
제7절 강요된 행위 208
Ⅰ. 서설 208
Ⅱ. 요건 209
Ⅲ. 효과 211